•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적 특성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otemporal Query Extension on ORDBMS (ORDBMS 기반 시공간 질의 확장의 설계 및 구현)

  • Yun, Sung Hyun;Nam, Kwang 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4
    • /
    • pp.37-50
    • /
    • 2003
  • In the paper, we describe the query extension techniques for spatiotemporal query functionalities on object-relational DBMS. The spatial objects in real world change the shapes over time. Spatiotemporal databases support to manage a temporal dimension as well as a spatial dimension for history of the objects. The proposed techniques can make conventional object-relational databases to support spatiotemporal databases system by the implementation and inheritance of abstract data types. We define and implement spatial and temporal classes as superclass. And, spatiotemporal classes inherits and extends the classes. The proposed extensions make it easy that conventional database systems not only are transformed into the spatiotemporal database systems, but also do not need to be changed to support spatiotemporal applications.

  • PDF

4D Data Provider Supporting a Multidimensional Index (다차원 인덱스를 지원하는 4D데이터 제공자)

  • 이선준;김상호;류근호;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4-36
    • /
    • 2002
  •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시간 지리 정보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지화하여 제공되므로 과다한 구축비용과 재사용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시간 지리 정보 시스템은 복잡하며 대용량인 특성을 가진 시공간 데이터를 처리해야만 한다. 따라서 시공간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재사용성을 위해서 소프트웨어 부품화물 제공하는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을 사용해야하며 시공간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인덱스 구조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시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4차원 시공간 객체에 대한 인덱스를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다차원 인덱스를 이용하는 4D 데이터 제공자를 COM 기반의 OLE D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Urban Drainage Network Characteristics in Seoul (서울지역 배수관망 특성 분석)

  • Seo, Yongwon;Hwang, Junsik;Kim, Gy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6-96
    • /
    • 2015
  • 도시의 배수관망은 빠른 배수를 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배수 시스템은 홍수기에 가능한 한 빠른 배수를 목표로 설계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공 배수망은 자연 하천망보다 보다 효율적이라 생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깁스모형을 이용 서울지역 30개 배수분구의 배수망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배수망 특성면에서 인공적인 배수망이 자연배수망보다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기존 상식과 다소 대치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배수망의 특성은 도시 유역의 유출특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효율적인 배수망과 그렇지 않은 배수망의 유출 특성은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유출 특성의 차이는 강우의 이동으로 인한 시공간적 변동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즉, 효율적인 배수망의 첨두유출량은 이동강우에 대하여 그렇지 않은 배수망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우의 변동성에 대비하여 첨두유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최적의 배수관망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Radar Rainfall Adjustment Methods Using Interpolation Techniques (Interpolation 기법을 이용한 Radar 강수량 보정기법 개발)

  • Kwon, Hyun-Han;Kim, Byung-Sik;Ho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70-1374
    • /
    • 2009
  • 국지강수로 발생하는 홍수사상을 예측하기 위해서 국내외적으로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레이더 강수량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은 레이더 강수량이 제공하는 강수량의 공간 분포를 최대한 활용하여 단기홍수를 효과적으로 예측하자는데 있다. 레이더 강수량이 강수의 시공간적 특성을 잘 묘사할 수 있는 반면에 강우량에 대한 신뢰성은 의문에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강우량을 보정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공간적 정보를 손실시키지 않고 동시에 강우량의 편차를 보정하는 기술의 발전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상강수와 지상강수지점의 해당하는 레이더 강수량의 비율을 일괄적으로 모든 격자에 적용하는 GR 공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런 경우 레이더 자료의 공간적 정보의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조건부합성 방법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레이더강수의 공간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점강수량 수준의 분산을 회복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여 이용하고 있다. 조건부합성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크리깅 방법을 통해 레이더강수와 지점강수량을 공간 분포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Variogram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지점강수량 및 레이더강수량에 대해서 공간분포를 실시할 수 있는 Harmonic Spline기법, Nearest Neighbor기법 등 다양한 Interpolation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조건부합성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국내 레이더 강수자료에 적용하여 모형에 대한 신뢰성 및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 PDF

Characterizing three-dimensional drought events and spatio-temporal migration patterns (3차원적 가뭄사상 특성 분석 및 시공간적 이동 패턴 분석)

  • Yoo, Jiyoung;Kim, Jang-Gyeong;Yoo, Do-Guen;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2
    • /
    • pp.1025-1031
    • /
    • 2019
  • There are various research works on the spatio-temporal drought analysis because spatio-temporal behaviors of drought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and migration patterns of drought events. This study quantified three-dimensional drought events using the 6-month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6). A total of 45 drought events were found during the analysis period, and the migration patterns of drought event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centers of drought events. In South Korea, more droughts were migrated frequently in the north/south direction than in the east/west direction. In addition, droughts moving eastward have decreased since 2000, while droughts moving northward have been found to be longer. The results of spatio-temporal drought analysis may be highly utilized for understanding drought development and migration patterns.

Evaluation of spatio-temporal rainfall variation on runoff focusing on masan areas (폭함수 단위도법을 이용한 시공간 강우변동의 유출영향 평가)

  • Gwon, Yu-Jeong;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3-313
    • /
    • 2020
  • 여름철 발생하는 집중호우는 해안지역 및 하천유역의 저지대에 상습적인 침수를 유발하며, 도시지역은 높은 불투수율로 인해 추가적인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폭함수를 통해 하천망의 공간적인 특성을 함수형태로 나타내어 유역의 수문분석에 이용하는 폭함수 단위도법(WFIUH, Width Functio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을 소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유역 및 강우 사상에 적용해보았다. WFIUH는 기존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다르게 매개변수를 물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유역특성과 시공간적 변동성을 수문곡선 산정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FIUH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3년 한반도에 심각한 침수피해를 입힌 태풍 매미로 인해 발생한 강우사상과 그로인해 큰 피해가 있었던 마산 지역의 남천, 삼호천 일부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용 수문모형인 HEC-HMS와 비교 시 유사한 결과를 보이며, 실제 관측치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의 이동을 반영하여 강우의 이동이 수문곡선과 첨두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 하였다.

  • PDF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from Meteorological to Hydrological Drought Considering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of Drought Events (가뭄사상의 시공간적 이동 패턴을 고려한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전이 분석)

  • Yoo, Jiyoung;So, Byung-Jin;Lee, Joo-He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2
    • /
    • pp.135-143
    • /
    • 2020
  • Natural drought is a three-dimensional phenomenon that simultaneously evolves in time and space. To evaluate the link betwee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s, we defined a drought event from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and analyzed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ime and spaces.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77 % of the total cases of spatio-temporal droughts was propagated based on the single category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events, while 23 % was affected by multiple meteorological drought events to the occurrence of hydrological drougts. Especially, it turned out that the hydrological drought was caused by the spatio-temporal effects of the propagation of four meteorological drought events generated due to long-term lack of precipitation in 1994-1995. In addition, the meteorological drought caused by the lack of precipitation in the summer of 2001 lasted for several months, and was propagated to the hydrological drought in April 2002.

Comparison of Two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odels Using Satellite Imagery (인공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한 두 공간 증발산 산정 모형의 비교 분석)

  • Hwang, Kyo-Taek;Sur, Chan-Yang;Kim, Hyun-Woo;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39
    • /
    • 2011
  • 토양과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 증발산은 주로 증발접시, 침루계 등을 이용하여 실측하거나 에디 공분산, Bowen 비 등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지점별 실측 자료는 공간적인 변동성이 큰 수문기상인자 특성상 지역적인 대표값으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증발산 관측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한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Penman-Monteith (PM)와 Priestley-Taylor (PT) 공간 증발산 산정 모형을 적용, 우리나라 증발산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산정하였다. Terra 인공위성에 탑재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에 연구된 증발산 모형을 이용하여 증발산을 산정하고 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양 및 식생이 소비하는 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시공간적으로 파악하여 정부 차원의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Monitoring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 during summer (여름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시공간적 특성 모니터링)

  • Kim, Ui Seok;Byeon, Sang Don;Park, Tae Seon;Nam, Chang Dong;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5-175
    • /
    • 2021
  • 농업용 저수지는 양질의 농업용수를 저장하여 알맞은 시기에 적절하게 급수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농업용수의 용도가 점차 확장되면서 농산물의 품질에 필요한 관개용수의 수질뿐만 아니라 인근 하천과 생태계의 환경유지용량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규모가 작거나 환경적 보전가치가 없어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측정 및 조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모니터링을 통해 시공간적인 수질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에 위치한 반곡저수지로 선정하였고, 2020년 7월에서 10월까지 8회에 걸쳐 상부와 하부지점에서 총 7개의 수질항목 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적인 특성분포 파악을 위해 총 13지점에서 수질 관측 지점별로 7개의 수질항목에 대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반곡저수지는 호소 생활환경기준과 OECD 부영양화 기준으로 과영양상태에 도달하였다. 집중적 강우로 인해 희석효과가 발생하여 수질항목 간의 경향성이 저하되어 정확한 분석은 어려웠지만 Chl-a와 T-P, DO와 pH 간의 유의함이 나타났으며, Chl-a와 T-P의 TSIKO 상호편차가 양의 값을 나타내며 다량의 인과 함께 조류가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고 있었다. 공간적 특성분포는 저수지의 상부지점에서 농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강우 시 인근 농경지와 축산시설에 적치된 축산분뇨의 호 내 유입과 얕은 수심으로 바람에 의한 수직혼합이 영양물질을 용출시켜 부영양화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곡저수지 상부에 녹조제거제 투입 및 저감시설이 필요하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수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Influence of Digital Animation on the choreography of K-pop idol (K-pop아이돌 무대 퍼포먼스 디자인에 반영된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영향)

  • Park, Yoo Shi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4
    • /
    • pp.129-165
    • /
    • 2014
  • K-pop performances are in the center of the contemporary popular arts and cultural industry, and implicitly reveal the way that our society views the body and the time-space. This paper explores the motif of automaton in the K-pop idol group ShiNee's stage performance of 'Everybody' and the song's music video. At the same time, the paper relates the motif with the automaton of the digital era-that is, the sense of time-space in digital animations. The motif of the automaton has its origins in the mythical forms related to the animation, and is related to the human desire to create humanlike forms. Also, this motif is closely linked to the aesthetical meaning of the animation, being played in different variations since the beginning of the anim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tradition of automaton motif in culture and the arts, and look into the cases in which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body performance harboring the automaton motif has been displayed in 19th century ballet or modern body expressional art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compare and analyz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works that reveal digital viewpoint and the choreography of 'Everybody', and compare other works that stand in similar aesthetic tradition,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digital animation reflected in the K-pop idol and its aesthetic and social undert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