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적 특성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pplicability of a Space-time Rainfall Downscaling Algorithm Based on Multifractal Framework in Modeling Heavy Rainfall Events in Korean Peninsula (강우의 시공간적 멀티프랙탈 특성에 기반을 둔 강우다운스케일링 기법의 한반도 호우사상에 대한 적용성 평가)

  • Lee, Dongryul;Lee, Jinsoo;Kim, Dongk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9
    • /
    • pp.839-852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a rainfall downscaling algorithm in space-time multifractal framework (RDSTMF) in Korean Peninsul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8 heavy rainfall events that occurred in Korea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8 and 2012 were analyzed using the radar rainfall imager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the multifractality for all 8 heavy rainfall events. Based on the multifractal exponen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the parameters of the RDSTMF were obta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intensity of the rainfall events and the parameters of the RDSTMF was developed. Based on this relationship, the synthetic space-time rainfall fields were generated using the RDSTMF. Then, the generated synthetic space-time rainfall fields were compared to the observati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ndicated that the RDSTMF can accurately reproduce the multifractal exponents of the observed rainfall field up to 3rd order and the cumulative density function of the observed space-time rainfall field with a reasoable accuracy.

Moving Object Segmentation Using Spatio-temporal Entropic Thresholding (시공간 엔트로피 임계법을 이용한 형태학적 이동 객체 분할)

  • 백경환;신민수;곽노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410-414
    • /
    • 2003
  • 본 논문은 비디오 시퀀스에 카메라 패닝 보상과 2차원 시공간 엔트로피 임계법을 적용하여 추출한 객체포함영역을 대상으로 영상 분할을 수행하는 이동 객체 분할 기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웨이블렛 변환에 의해 구성한 피라미드 계층 구조상에서 카메라 패닝 벡터를 추정하여 전역 움직임을 보상한다. 이후, 전역 움직임이 보상된 기준영상을 대상으로 각 프레임간에서 2차원 시공간 엔트로피 임계법을 적용하여 이동 객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블록 단위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2차원 시공간 엔트로피 입계법에 의해 분류된 영역을 토대로 각 블록을 움직임블록, 준 움직임 블록, 비 움직임 블록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 검색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어서, 검색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탐색 계층 및 탐색 영역을 적응적으로 선정함으로써 피라미드 계층 구조상에서 효율적인 고속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이동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포함영역만을 추출한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추출된 객체포함영역에서 임계 기울기 영상을 정의한 후, 이를 기준 삼아 객체포함영역에 화소 단위의 형태학 기반 영상 분할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이동 객체를 분할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고찰할 때, 제안된 방법은 이동 객체에 대한 상대적으로 우수한 분할 특성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저대조 경계면의 분할 특성을 제고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via Integrating Transportation and Land Use Information, Based on Four-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s (교통과 토지이용 정보를 결합한 서울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분석: 4차원 시각화 방법을 토대로)

  • Lee, Keumsook;Kim, Ho S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1
    • /
    • pp.20-33
    • /
    • 2018
  • Population distribution in urban space varies with transportation flow changing along time of day. Transportation flow is directly affected by the activities of urbanites and the distribution of related facilities, since the flow is the result of moving to the point where the facilities associated with their activities are located. It is thus necessary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population distribution by integrating the distribution of activity spaces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urbanites and the flow of transpor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pulation distribution in urban space with daily and weekly time bases using the building database and T-card database in the city of Seoul, which is rich in information o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flow. For a time-based analysis that is difficult to grasp by general statistical techniques, a four-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combining time and space using a Java program is devised. Dynamic visualization in the four-dimensional space and time allows intuitive analysis and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more effectively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distribution. For this purpose, buildings are classified into three activity groups: residential, working, and commercial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traveling to and from each stop site of bus and subway networks in the T-card database for one week is calculated in one-minute increments, Visualizing these and integrating transportation and land use, we analyz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Seoul displays distinct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and use. In particular,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 along the time axis according to the mixed aspects of working, commercial, and resident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very useful for transportation and location planning of city facilities.

Projection of Temporal and Spatial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Change in Urban Area according to Extreme Indices (극한기후 지수에 따른 도시지역의 시공간적 강우 특성 변화 전망)

  • Soo Jin Moon;In Hee Yeo;Ji Hoo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6-316
    • /
    • 2023
  • 2022년 8월 수도권 이상폭우로 인해 서울 도심지역의 지하시설, 도로, 주택 등에 침수가 발생하면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동서로 가로지르는 정체전선으로 좁고 긴 비구름이 집중되면서 국지적으로 피해가 집중되었다. 서울시의 경우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지역 증가 및 내수배제 불량에 따른 빗물 역류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따른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을 초과하는 빈도의 이상폭우로 인해 하천범람과 내수배제 불량에 따른 복합적인 원인으로 침수피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전체 자연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 등의 지역적 편차가 매우 큰 도시로 지형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취약시설(병원, 학교 등), 수방시설물(하천, 배수시설, 빗물펌프장 등) 및 방재시설(대피소, 구호소 등) 밀도 등에 따른 침수 취약성 및 위험성 등의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지역특성에 대한 피해사례가 다원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0년 이상의 종관기상관측(ASOS)과 서울시 자치구별 20년 이상의 방재기상관측(AWS)자료를 기반으로 CMIP6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 경제경로)시나리오에 따른 극한기후 지수(강수강도, 호우일수, 지속기간, 1일 최대강수량, 95퍼센타일 강수일수 등)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하고 공간자기상관분석 등 시공간적인 강우특성에 대한 변화를 전망하였다. 특히 여름철 강우의 경우 자치구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이를 통해 대도시의 도심지역의 경우 세분화하여 지역의 정확한 강우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심지의 방재성능 초과강우 정의와 기준을 수립하고, 장기적인 수자원 및 도시계획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위기에 따른 기록적인 호우(지역별 방재성능을 초과하는 강우)에 따른 재해는 구조적인 대책을 통해 모두 저감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기후위기에 대한 적응단계로 인식하고 수리·수문학적, 사회경제학적 등 지역특성에 따른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법제도(풍수해보험, 저류조설치 의무화 등), 개인별 재해예방, 취약계층 안전망 확보, 반지하주택 침수안전대책, 재해지도 개선 등 구조적/비구조적인 대책을 통합 수립 및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 PDF

Characterizing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for Sulmachun Watershed Through a Continuous Monitoring (설마천 유역의 토양수분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토양수분 시공간 변화양상의 특성화)

  • Lee, Ga Young;Kim, Ki Hoon;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09-214
    • /
    • 2004
  • Time Domain Reflectometry with multiplex system has been installed to configur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oil moisture in a mountainous hillslope. An intensive surveying was performed to build a refined digital elevation model and flow determination algorithms with inverse surveying have been applied to establish an efficient soil monitoring system. Steady state wetness index, quasi-dynamic wetness index and fully dynamic wetness index have been calculated. Continuous monitoring of soil moisture data were analyized with wetness indices. Limitations and hydr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is approach have beer discussed.

  • PDF

시공간 데이터를 위한 클러스터링 기법의 성능 비교

  • 강주영;이봉재;송재주;신진호;용환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9-51
    • /
    • 2004
  • 최근 GPS시스템, 감시 시스템, 기상 관측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응용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시공간 속성을 가진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하는 시공간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시공간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연구는 문자.숫자 데이터를 기반의 마이닝 기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시공간 속성을 충분히 고려한 분석으로는 한계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 인식과 클러스터링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SOM을 기반으로 시공간 클러스터링 모듈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듈의 성능과 클러스터링 정확성에 대하여 K-means, 응집 계층 알고리즘(Average Linkage, Ward)과 비교함으로써 시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각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입력 데이터의 특성과 클러스터링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나타내어 가시적인 분석을 도울 수 있도록 시공간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위한 가시화 모듈을 개발하였다.

  • PDF

A Statistical Downscaling of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합성곱 신경망(CNN)기반 한반도 지역 대상 기후 변화 시나리오의 통계학적 상세화 기법 개발)

  • Kim, Yun-Sung;Uranchimeg, Sumiya;Yu, Jae-Ung;Cho, Hemie;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6-326
    • /
    • 2022
  • 기후 변화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에어로졸, 토지이용 변화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복사강제력 변화를 지구시스템 모델에 적용하여 산출한 미래 기후 전망정보(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등)를 생산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미래에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평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선제적인 정보로 활용된다. GCM과 RCM은 구조 및 모수화 과정, 불확실성 등의 한계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큰 시공간적 규모를 가지며, 실제 관측된 기상인자들을 재현하는데 시공간적 차이 즉 편의(bias)가 발생하며. 실제 관측된 기상인자의 시간적 변화 특성을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후모델에서 생산된 정보를 수문학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적 상세화와 편의 보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재해석 자료를 편의보정 한 뒤.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합성곱 신경망(CNN)을 기반으로 상세화 과정을 진행하여 고해상도 자료를 생산하였으며, CNN 기반 상세화 기법 적용성은 지상 관측자료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 PDF

Expanded Petri-Net Modeling for Real Time Embedded System Context-awareness Service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 상황 정보 서비스를 위한 확장된 Petri-Net 모델링)

  • Yang, Seung-Weon;Lee, Jae-B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
    • /
    • pp.16-25
    • /
    • 2011
  • Some context is characterized by a single event in computing environment, but many other contexts are determined by a lot of things which occur with a space and a time. The Realtime Embedded System context-awareness service that interacts with the physical space can have property such as time. The exceptional behaviors of the system that interact with physical space can result in critical damage and cause danger to the operation of an embedded system. we propose an approach which should include spatio-temporal property and exceptional management in the context model,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using an expanded Petri-Net. The context-awareness service modeling of an embedded system is discussed the properties of model such as basic Petri-Net, patterned Petri-Net, or Spatio-temporal Petri-Net for the exceptional behaviors of the system. The proposed methodology demonstrated using an example that is emergency medical service. The use of expanded Petri-Net will contribute not only to develop the application but also to model the spatio-temporal context awareness for the exceptional handling.

Hotspot Analysis of Urban Crime Using Space-Time Scan Statistics (시공간검정통계량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핫스팟분석)

  • Jeong, Kyeong-Seok;Moon, Tae-Heon;Jeong, Jae-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3
    • /
    • pp.14-28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rime hotspot areas using the spatio-temporal cluster analysis which is possible to search simultaneously time range as well as space range as an alternative method of existing hotspot analysis only identifying crime occurrence distribution patterns in urban area. As for research method, first, crime data were collected from criminal registers provided by official police authority in M city, Gyeongnam and crime occurrence patterns were drafted on a map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Second, by utilizing Ripley K-function and Space-Time Scan Statistics analysi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rime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sk of crime was significantly clustered at relatively few places and the spatio-temporal clustered areas of crime were different from those predicted by existing spatial hotspot analysis such as kernel density analysis and k-means clustering analysi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not only utilized as a valuable reference data for establishing urban planning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but also made available for the allocation of police resources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 security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