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계열

Search Result 3,23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uzzy Logic-based Modeling of a Score (퍼지 이론을 이용한 악보의 모델링)

  • 손세호;권순학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3
    • /
    • pp.264-269
    • /
    • 2001
  • In this paper, we interpret a score as a time series and deal with the fuzzy logic-based modeling of it. The musical notes in a score represent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a sound and pitches, etc. In this paper, using melodies, tones and pitches in a score, we transform data on a score into a time series. Once more, we foml the new Lime series by sliding a window through the time series. For analyzing the time series data, we make use of the Box-Jenkins s time series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time series, we construct the fuzzy model.

  • PDF

Development of Frequent Sequence Extractor Based on Hadoop (하둡 기반 빈발 시퀀스 추출기 개발)

  • Park, Joon-Ha;Lee, Byung-Hee;Park, Sang-Jae;Lee, J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99-1202
    • /
    • 2013
  • 최근 증권, 센서, 기후, 의료 분야 등에서 수많은 시계열 데이터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이러한 시계열 빅 데이터를 통해 의미를 찾아내고자 하는 시계열 해석 및 분석, 예측 작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계열 해석 및 분석, 예측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 될 수 있는 기초 작업은 유사한 시계열 시퀀스를 찾아내는 유사 시퀀스 매칭과 이러한 매칭을 통해 특정 시계열 데이터의 하나의 특징이 되는 빈발 시퀀스 추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계열 빅 데이터에서 유사 시퀀스 매칭을 이용한 빈발 시퀀스 추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빈발 시퀀스 추출기(Frequent Sequence Extractor)를 개발 및 구현하였다. 또한 분산처리 플랫폼인 하둡을 이용한 데이터 파싱을 사용하여, 각 분야별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는 전문가에게 효율적인 분산처리 효과를 제공한다.

Learning model management platform based on hash function considering for integration from different timeseries data (서로 다른 시계열 데이터들간 통합 활용을 고려한 해시 함수 기반 학습 모델 관리 플랫폼)

  • Yu, Miseon;Moon,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45-48
    • /
    • 2022
  • IoT 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다양한 도메인에서 서로 다른 특성의 시계열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일 목적으로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만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들 또한 통합하여 분석활용하려는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파편화된 시계열 데이터들을 선택하여 통합한 후 딥러닝 모델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해시함수 기반 학습 모델 관리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들을 기반하여 모델을 학습하고 활용할 경우 생성 모델이 개별적으로 어떤 데이터로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기술되어야 향후 활용에 용이하다. 특히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 학습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해당 정보의 관리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시 함수를 이용해서 생성된 모델을 계층적으로 저장하여 원하는 모델을 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ime Series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Level Data for Abnormal Behavior Detection (농업용 저수지 이상거동 탐지를 위한 시계열 수위자료 특성 분석)

  • Lee, Sung Hack;Lee, Sang Hyun;Hong, Min Ki;Cho, Jin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5-275
    • /
    • 2015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강우사상의 증가로 인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재해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사고가 발생할 때 마다 파손/붕괴된 시설물을 보수하는 대응형 유지관리체계에서 벗어나 기반시설의 성능과 생애주기 등을 고려하여 재해 발생을 사전에 예보 및 경보를 알릴 수 있는 예방적 관리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전국 1,500개 저수지에서 10분 단위 수위자료를 측정하고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재해예방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재해 징후를 분석할 수 있는 재해 예방적 분석기술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 수위자료를 이용한 저수지 이상거동을 판별하기 위하여 전국 34개 한국농어촌공사 관할 저수의 시계열 수위자료의 특성(Feature)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계열 자료의 시계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의 전국 34개 저수지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저수지는 지역별, 저수용량, 안정등급, 붕괴발생, 1개 지사관할 저수지로 각각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각 저수지의 수위 측정기간(최소 5개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농업용 저수지의 시계열 수위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료의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전처리는 시계열 수위자료의 잡음 특성, 기상자료 관련 변동특성 등 분류(Classification)에 영향을 미치는 노이즈 요소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전처리과정을 거친 자료는 특징(Feature) 추출 과정을 거치게 되고, 추출된 특징의 적합성에 따라 분류 알고리듬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시계열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특징을 추출하는 것은 이상치 탐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자료 특징 추출 방법으로 물리적인 한계치, 확률적인 문턱값(Threshold), 시계열 패턴, 주변 저수지와의 시계열 상관분석 등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이후 분류알고리듬 학습에 적용하여 정상치와 이상치를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농업용 저수지의 시계열 특성은 다양한 분류알고리듬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저수지 이상거동 판별을 위한 최적을 분류알고리듬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Selection of a Mother Wavelet Using Wavelet Analysis of Time Series Data (시계열 자료의 웨이블릿 분석을 위한 모 웨이블릿의 선정문제)

  • Lee, Hyunwook;Song, Sunguk;Zhu, Ju Hua;Lee, Munseo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9-259
    • /
    • 2019
  • 시계열 자료들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자료가 정상성(stationarity)을 만족하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계절성을 제거한 자료들에서는 정량화하기 어려운 주기성이 많이 관찰된다. 즉, 어떤 특정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다른 기상 현상에 영향을 미칠 것은 자명한 일이나 그 관련성이 선형(linearity)일 가능성은 극히 드물다. 따라서 그들 사이의 관련성이 선형성에 근거한 지표들로 정량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그중에서 웨이블릿 분석을 통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s)은 특수한 함수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기존 웨이블릿 신호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변환은 푸리에 변환에서 변형된 방법으로 특정한 기저 함수(base function)를 이용하여 기존의 시계열 자료를 주파수로 바꾸는 변환이다. 웨이블릿 변환에서 기저 함수를 모 웨이블릿이라고 하며 이를 천이, 확대 및 축소 과정을 통해 주파수를 구성한다. 웨이블릿 분석은 모 웨이블릿을 분해하고 재결합하여 시계열 분석을 할 수 있다. 모 웨이블릿 함수에는 Haar, Daubechies, Coiflets, Symlets, Morlet, Mexican Hat, Meyer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모 웨이블릿 함수가 있으며 모 웨이블릿이 달라지면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기존에는 Morlet 웨이블릿을 주로 이용하여 주파수분석에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시계열 자료는 크게 백색잡음(White Noise), 장기기억(Long Term Memory), 단기기억(Short Term Memory)으로 나뉜다. 각 시계열 자료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시계열 자료를 산정하여 그에 따른 웨이블릿 분석을 통해 모 웨이블릿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릿 분석을 통해 시계열 자료의 최적 모 웨이블릿을 결정하고자 남방진동지수(SOI), 북극진동지수(AOI)의 자료를 이용하여 웨이블릿 분석을 시도하였다. 웨이블릿 분석은 모 웨이블릿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정상성과 지속성에 따라 분류된 시계열에 적용하여 최적 모 웨이블릿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시계열 자료에서 설정한 최적의 모 웨이블릿을 AOI와 SOI와 같은 실제 시계열 자료에 대입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자료의 종류를 구분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라 가장 적합한 모 웨이블릿을 구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f Phase Correlation for Time Series Analysis (시계열 분석을 위한 위상분포의 상관성 연구)

  • Kim, Seung-Han;Lee, Myeong-Sun;No,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88-390
    • /
    • 2006
  • 본 논문은 종합주가지수, 코스닥 지수의 시계열 일간 데이터의 위상분석을 통해 시계열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시계열의 데이터는 비선형, 비정상이다. 따라서 위상성분의 정확한 추출을 위해서 전통적인 수학적 방법이 아닌 순간 위상값을 이용한 새로운 신호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두 시계열의 연도별 위상차의 왜도와 첨도값을 기준으로 시계열의 상관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Visualization Tool of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왜곡 제거 시계열 매칭의 시각화 도구)

  • Moon, Seongwoo;Lee, Sanghun;Kim, Bum-Soo;Moon, Yang-Sa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9
    • /
    • pp.377-384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ualization tool for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Supporting distortion-fre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ime-series matching to get more accurate matching results. In this paper, we visualize the result of time-series matching, which removes various time-series distortions such as noise, offset translation, amplitude scaling, and linear trend by using moving average, normalization, linear detrending transformations, respectively. The proposed visualization tool works as a client-server model. The client sends a user-selected time-series, of which distortions are removed, to the server and visualizes the matching results. The server efficiently performs the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on the multi-dimensional R*-tree index. By visualizing the matching result as five different charts, we can more easily and more intuitively understand the matching result.

Temporal Fusion Transformers and Deep Learning Methods for Multi-Horizon Time Series Forecasting (Temporal Fusion Transformers와 심층 학습 방법을 사용한 다층 수평 시계열 데이터 분석)

  • Kim, InKyung;Kim, DaeHee;Lee, Jaeko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2
    • /
    • pp.81-86
    • /
    • 2022
  • Given that time seri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inance, IoT, and manufacturing, data analytical methods for accurate time-series forecasting can serve to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Among time-series analysis methods, multi-horizon forecasting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data because it can extract meaningful statistic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time-series. Furthermore, time-series data with exogenous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predicted by using multi-horizon forecasting methods. However, traditional deep learning-based models for time-series do not account for the heterogeneity of inputs. We proposed an improved time-series predicting method, called the temporal fusion transformer method, which combines multi-horizon forecasting with interpretable insights into temporal dynamics. Various real-world data such as stock prices, fine dust concentrate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were considered in experiment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temporal fusion transformer method has better time-series forecasting performance than existing models.

An Analysis of Categorical Time Series Driven by Clipping GARCH Processes (연속형-GARCH 시계열의 범주형화(Clipping)를 통한 분석)

  • Choi, M.S.;Baek, J.S.;Hwan, S.Y.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4
    • /
    • pp.683-692
    • /
    • 2010
  • This short article is concerned with a categorical time series obtained after clipping a heteroscedastic GARCH process. Estimation methods are discussed for the model parameters appearing both in the original process and in the resulting binary time series from a clipping (cf. Zhen and Basawa, 2009). Assuming AR-GARCH model for heteroscedastic time series, three data sets from Korean stock market are analyzed and illustrated with applications to calculating certain probabilities associated with the AR-GARCH process.

Multi-horizon Time Series Forecasting Using Temporal Fusion Transformer (Temporal Fusion Transformer 모델을 활용한 다층 수평 시계열 데이터 분석)

  • Kim, Inkyung;Kim, Daehee;Lee, Jae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479-482
    • /
    • 2021
  • 시계열 형태의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되고 응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시계열 예측은 많은 분야에서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분석 방법으로 고려된다. 그중 다층 수평 예측은 사용자에게 전반적인 시계열 데이터 경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는 데이터에 내재한 이질성(heterogeneity)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한 방법을 통해서만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많은 시계열 분석 모델들이 데이터의 이질성을 반영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우리는 Temporal Fusion Transformer 모델을 사용하여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데이터에 적용하여 이질성을 고려한 향상된 예측을 수행하였다. 실제, 주식 데이터와 미세 먼지 데이터와 같은 실생활 시계열 데이터에 적용하였고 실험 결과 기존 모델보다 Mean Squared Error(MSE)가 0.3487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