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 응답

Search Result 3,006, Processing Time 0.069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Catchment Response Time in Midsize Catchment (중규모유역에서의 유역응답시간 특성 분석)

  • Park, Jong Young;Lee, J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42-1046
    • /
    • 2004
  • 본 연구는 국내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역응답시간 산정식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8개의 도달시간 산정식과 6개의 지체시간 산정식을 유역면적이 $50\~500km^2$인 중규모유역에 적용하였으며, 실측수문 자료로부터 두가지 정의에 의해 산정한 도달시간과 지체시간을 비교, 검토하였다. 기존의 도달시간 산정식에 의한 도달시간은 실측 도달시간에 비해 모든 대상유역에서 과소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지체시간 산정식의 경우 Clark 공식과 SCS 공식은 모든 대상유역에서 과소한 값을 나타내었고 Snyder 공식, Linsley 공식, Eagleson 공식, Rao와 Delleur 공식은 대상유역에 따라 과다 또는 과소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측수문자료에서 산정된 유역응답시간과 기존의 산정식에서 결정된 값들이 상이하게 나타나 중규모유역에서 기존의 유역응답 시간 산정식의 적용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었다. 대상유역에서 적합한 유역응답시간 공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역응답시간과 유역특성인자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내 중규모유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도달시간과 지체시간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 PDF

원자로 정지 관련 동적보상기의 응답시간 평가

  • 주운표;황희수;우숭웅;김건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309-314
    • /
    • 1996
  • 가압 경수로형 원전 안전정지/ 안전 주입 변수와 관련된 계기는 관련 기술 기준에 따라 정기 보수시 교정이 이루어지면, 정지 신호를 모의 주입하여 물리량 검출기로 부터 원자로 정지집계 권선의 풀림시간까지의 총 응답 시간이 사고해석시 가정된 계통의 응답 지연시간이내에 들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이 정지 신호에 응답하는 동적 보상기의 특성과 관련하여 설계과정에서 삽입된 근사화 오차에 대한 정략적인 평가가 이미 알려진 바 있고, 시간 응답 측정시 삽입되는 지연 요소로 인한 오차도 이에 포함시켜 분석한 바 있어 실제 교정시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하여 원자로 정지계통의 응답시간 측정시 노 냉각수 평균 온도 변화율 동적 보상 미분-지연 카드에 모의입력으로 스텝신호를 주입할 경우, 이를 과도하게 큰 신호로 인식하여 매우 짧은 시간(1초 이내)에 응답되고, 스텝신호대신 1%P.U./초로 평균온도 변화율만을 주입할 경우, 보다 늦게 응답됨을 밝혔다. 따라서 모의 시험 방범에 있어서 입력 선택을 적합하게 하여야만 계통의 건전성을 응답시간으로 확인한 수 있는 데, 이에 적합한 모의 입력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mounts of Responding Times and Unreliable Responses at Online Surveys (온라인 조사의 응답오차에 대한 연구 : 설문 응답 시간과 응답 성실성의 관계)

  • Lee, Yun-Suk;Lee, Ji-Young;Lee, Kyoung-Taeg
    • Survey Research
    • /
    • v.9 no.2
    • /
    • pp.51-83
    • /
    • 2008
  • While online surveys are considered to be the viable alternative to face-to-face and telephone surveys, many clients express a strong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unreliable responses. Given this concern, survey experts hypothesize that amounts of time on responding can represent the extent to which respondents fill out the questions with sincerity. This study examines this hypothesis using data from an online survey sample of 1.052.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while "long time" informants are reliable, "short time" informants are not. Those in the short time group spend only 2.4 seconds per question and show very different patterns of responses to 49 Likert -typed questions.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mply that these unreliable respondents are interested in monetary gifts and maybe as a result, participate in surveys much more frequently. In conclusion, we provide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o the quality of online surveys.

  • PDF

A Study for a Method of Response Time Evaluation Through Latency Test in Intranet System (Latency Test를 활용한 인트라넷 시스템에서의 응답시간 측정방법)

  • Noh, Si-Choon;Bang, Kee-Ch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0 no.4
    • /
    • pp.501-507
    • /
    • 2009
  • On intranet system, it is essential element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decrease response time. To realize this efficiencies of response time of the network, a lot of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implementation is to shorten the response time of information system. We can realize final goal of information system through fast response time. This final goal of information system is to secure the performance efeciency within the required time. In order to acquire the method of warranty of fast response time, the efficient measurement method is essential. This research suggests a latency test techniques being used on infrastructure system and also offers a response time measurement methodology.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research has proven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response time through the scheduled method. Also it is possible to develop a enhanced networking capabilities, and information system capab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

  • PDF

Static Document Scheduling with Better Response Time (HTTP/1.1 환경에서 응답시간을 개선한 정적 문서 스케줄링)

  • Bang, Ji-Ho;Ha, R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425-427
    • /
    • 2000
  • 접속이 빈번한 웹사이트들의 서버는 동시에 수백개의 커넥션을 처리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SRPT(Shortest Remaining Processing Time first)를 이용한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은 가장 짧은 처리시간이 남아있는 커넥션을 먼저 처리함으로써 각 문서에 대한 응답시간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커넥션으로 다수의 정적 문서들을 동시에 요청할 수 있는 HTTP/1.1에서 크기가 다른 다수의 정적 문서들이 요청됐을 때, 각 문서에 대한 응답시간은 빠를 수 있으나 커넥션에 대한 전체 응답시간의 향상은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HTTP/1.1 환경에서 웹 서버의 CPU와 메모리의 부하가 높을 때 발생되는 성능저하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정적 문서 요청에 관한 응답시간을 향상시키는 pipelining 기반의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서 제안한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이 전체적으로 커넥션에 대한 빠른 응답시간을 보이고, 스케줄링 윈도우의 사용으로 스케줄링에 공평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 PDF

The Estimation of the Floor Vibration in Structure for Application of Response Spectrum Analysis Method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바닥진동해석)

  • 이동근;김태호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2 no.4
    • /
    • pp.169-178
    • /
    • 1998
  • In general,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method is widely used for seismic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and the time history analysis is applied for computation of structural vibration caused by equipments, machines and moving loads, etc. However, compared with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method, the time history method is very complex,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In this study, the maximum responses for the vertical vibration are calculated conveniently by the response spectrum method. At first, Response spectrum and time history analysis for some earthquake excitations are carried out, and the accuracy of maximum displacements obtained from response spectrum analysis is investigated. Secondly, the process for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in excitation is calculated, and the maximum modal responses are combined by CQC method. Finally,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time history analysis.

  • PDF

$OP\DeltaT/OT\DeltaT$ 응답시간 시정수 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

  • 윤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21-226
    • /
    • 1998
  • 과잉온도 차온(Overtemperature $\Delta$T) 및 과잉출력 차온(Overpower $\Delta$T)트립에 쓰이는 온도 측정계통 총 지연시간은 6초로 구성되며 RTD 우회배관 제거시 4.5초의 RTD 응답시간(일차지연 상수로 가정)과 1.5초의 순수지연시간(전자회로 지연시간 + 그립퍼 풀림시간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RTD우회배관 제거전 사고분석을 일차지연상수를 3.5초, 순수지연을 2.5초로 모델링하였으므로 Simulink를 통한 영향분석과 Rack 응답시험 계단파 입력신호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RTD 응답시간은 전형적인 1차 지연요소로 나타내며 계전기나 제어봉 Gripper Release 시간 등은 순수 지연으로 가정하고 분석을 수행하고 기타 지연/지상 필터를 발전소와 동일하게 모델링하여 분석하므로써 발전소에서 일어나는 과도현상을 묘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RTD우회배관 제거후 응답시간 지연상수가 바뀌더라도 안전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 PDF

User Interactivity Improving Mechanism in Linux-based Systems by Using Page Zeroing with DMA (DMA를 사용한 페이지 Zeroing을 통한 Linux 기반 시스템의 사용자 응답성 향상 기법)

  • Yang, Seok-Woo;Kim,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351-354
    • /
    • 2018
  • 데스크탑과 모바일 기기가 고성능화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고사양 응용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들의 응답성은 사용자 경험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측정에 따르면 고사양 응용들 중 하나인 웹 브라우저의 응답시간에서 페이지 zeroing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페이지 zeroing이 발생시키는 캐시 오염에 의해 추가적인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페이지 zeroing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zeroing에 의한 캐시 오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스템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사용자 응답시간이 아닌 구간에서 페이지들을 DMA를 사용하여 캐시를 거치지 않고 zeroing하여 보관해 두었다가 페이지 할당 요청시 선 zeroing 된 페이지들을 응용에게 제공한다. 이를 Linux 커널 4.17이 탑재된 데스크탑 환경에서 구현하였고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응답시간이 평균 20%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 PDF

Adaptive Page Pre-Zeroing Mechanism for Improving User Interactivity in Linux-Based System (리녹스 기반 시스템의 사용자 응답성 향상을 위한 적응형 페이지 선 Zeroing 기법)

  • Yang, Seok-Woo;Kim,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
    • /
    • 2018
  • 고성능 모바일 기기가 보급화 됨에 따라 증강 현실, 3D 게임과 같은 고사양 응용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들의 응답성은 모바일 기기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고사양 응용들 중 하나인 웹 브라우저의 응답 시간에서 페이지 zeroing 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본 논문은 페이지 zeroing 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적응형 페이지 선 zeroing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응답 시간이 아닌 구간에서 페이지들을 미리 zeroing 하여 보관해 두었다가 응답 시간인 구간에서 페이지 할당 요청 시 미리 zeroing 된 페이지들을 응용에게 제공한다. 이를 리녹스 커널 3.4 가 탑재된 Nexus 5 에 구현하였고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모델링 된 응용의 응답 시간이 평균 39.52%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Worst Case Response Time Prediction of RT Process (실시간 프로세스의 최악 응답 시간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Dongsik;Kim, Ki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576-5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Ingo Molnar 의 realtime-preempt 패치가 적용된 리눅스를 활용한 실시간 시스템에서 다른 프로세스와 동시에 수행하지 않고도 다른 프로세스에 의한 실시간 프로세스의 최악 응답시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최악 응답 시간에 영향을 주는 커널 모드에서 선점 금지 시간을 프로세스 별로 분석을 하기 위한 도구를 커널 모듈로 구현하여 실시간 프로세스의 최악 응답 시간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