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 동기화

Search Result 83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MPEG-4 Based Multimedia Synchronization Model and Application (MPEG-4 기반의 멀티미디어 동기화 모델과 응용)

  • Sung, Seung-Kyu;Lee, Myeong-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5
    • /
    • pp.1159-1166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a multimedia synchronization model based on the MPEG-4(Moving Picture Expert Group) system. It defines and modifies new nodes for representing temporal relationships between media objects in the BIFS(Binary Format for Scene) of MPEG-4 system which Integrates, manages and transfers multimedia objects such as audio, video, image, etc. The relationships are represented by using a multimedia temporal model during the start, play and delay time interval. In addition, we illustrate a multimedia authoring system that includes the Interface used for defining the temporal relationships. Differently from several contentional tools generally appropriate for professional users who can edit the BIFS nodes of themselves, the system provides end-users with the function that can define the temporal relationships of multimedia objects directly in the interfac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for Distributed Manifold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분산 다중노드를 위한 시간동기화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Kim, Ki-Hyeon;Kim, Hie-Cheol;Hong, Won-K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50-55
    • /
    • 2006
  • 저전력 연산능력과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한 경량의 센서노드들로 구성된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자연 환경의 모니터링에서 군사적인 목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창출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저가 무선 노드를 배치해야 하는 센서네트워크의 특성상 안정성이 높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보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무선 노드들 간의 시간동기화는 가용 무선 대역폭이 적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TDMA 스케줄링등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반기술로서 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동기화 기법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노드의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 동기화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요인을 분석하여, 넓은 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되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간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Representaion Model of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for Sketching Scenario (시나리오의 스케치를 위한 시간 공간 동기화 표현 모델)

  • 하수철;성해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38-43
    • /
    • 1998
  • 서로 다른 개발 과정에 있거나, 이미 개발된 게임 공간에 새로운 시나라요의 스케치를 포함시키는 경우 시간(temporal)과 공간(spatial)의 개념적인 동기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의 표현 공간에 대한 범주를 나누며, 게임 장면 순서의 시간 관계성과 동적 장면의 공간 개념과의 동기화에 관한 표현법률 확장하는 표현 모델에 대한 논의를 한다.

  • PDF

Protocol for Synchronized Application in Terrestrial DMB Data Broadcasting and its Implementation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에서 연동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동기화 규약 설계 및 구현)

  • Jung, Moon-Ryul;Lee, Cha-Won;Nam, Yoon-Seok;Lee, Gwang-Soon;Kim, Kw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3-1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에서 비디오 영상과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데 필요한 규약을 제안하고, 비디오와 데이터간의 동기화 규약을 생성하는 저작도구 구현을 기술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서는 단순히 오디오만 청취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DMB 방송에서는 비디오 영상과 관련된 정보들이 결합하여 시청자의 의견이 즉각 방송에 반영 가능한 인터랙티브 TV 프로그램을 시청 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퀴즈 쇼에서 출제된 문제(데이터)들이 비디오 영상과 동기를 맞추는 것이 가능해 짐에 따라 시청자도 퀴즈 쇼 출연자와 동시에 같은 문제를 풀 수도 있고 정답을 바로 응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위와 같이 비디오 영상과 동기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비디오와 데이터간의 동기를 이루어 낼 수 있는 기준 시간 즉 동기화 시간의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동기화 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시간 값으로는 DMB의 한 서비스 형태인 Slide-Show Application 에서 사용되는 UTC를 이용하는 방법, 혹은 비디오 영상의 CTS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와 데이터간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UTC가 적합하지 않고 CTS를 사용해야 된다는 것을 보이고, CTS를 이용하는 동기화 규약을 생성하는 저작도구를 기술한다.

  • PDF

Synchronized Transmission for Real-Time Remote Control in the Wireless Network (무선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원격제어를 위한 동기화 전송)

  • Kang, Hongku;Kim, Namgon;Kim, Jong-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2 no.2
    • /
    • pp.64-70
    • /
    • 2021
  • Nowadays, there are significant interests in real-time remote control using wireless networks. In implementing real-time remote control, one important factor is delay performance of real-time control message. Especially, the technique to reduce jitter of delay is necessary in transmitting periodically real-time control message. In this paper, we proposed synchronized transmission to reduce jitter of delay, when real-time control message was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networks. The proposed transmission kept synchronization between source node and wireless transmitter and controlled transmission instance to transmit real-tie control message with fixed delay in wireless networks. According to results of experiment in military unmanned vehicle system, the proposed transmission reduced jitter of delay as 32% as that of a non-employing cas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current Synchronizations Protocol of Multiple Client (다수 클라이언트의 동시 동기화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Kim, Hong-Ki;Lim, Chang-Woo;Lee, Sang-Sin;Ki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35-138
    • /
    • 2008
  • The existing protocol which processes sequentially synchronization has the problem where synchronization tasks which are requested subsequently from multiple client. Should be waited for a long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implementation of concurrent synchronization protocol that is capable of reducing the waiting time. If there are no update conflicts among different synchronization tasks, the proposed protocol synchronizes using the multi-queue based on the round-robin scheme, in order to reduce the waiting time.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IRIG-B Protocol for Time Synchronization of IEC 61850 based Merging Unit (IEC 61850 기반 병합단위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IRIG-B 프로토콜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Gwan-Su;Lee, Hong-Hee;Kim, Byung-Ji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3 no.4
    • /
    • pp.303-310
    • /
    • 2008
  • Recently, IEC 61850 supports the standardized communication technique in both station bus and process bus, and presents substation automation model. In order to implement the IEC 61850 based communication in a substation using the MU (merging unit)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data acquisition equipments in substation automation, the time synchronization is demanded for cooperative operation between the devices. This paper proposes the precision time synchronization technique using IRIG-B protocol to develop the MU under IEC 61850 communication protocol. The proposed technique is implemented and its performance is verified experimentally.

The Method of MBS Data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Using Loss Preventive Device of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Its Packet Data (전송 동기화 정보와 패킷 데이터 손실 방지 장치를 이용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데이터 전송 동기화 방법)

  • Kim, Kwang-Yong;Kim, Young-Il;Cho, Cheol-Hoe;Ry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51-254
    • /
    • 2011
  • 와이브로(Wibro) 또는 WiFI 망에서 동일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이동 단말기들은 동일한 MBS(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송 서비스) 콘텐츠를 수신한다. 동일한 MBS 존 내의 기지국(RAS: Radio Access Station) 들이 MBS 콘텐츠 소스로부터 수신된 MBS 콘텐츠에 대한 전송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도록 기지국들은 전송 동기화 정보와 신뢰성 있는 데이터 패킷 수신을 동기 시간을 결정하기 이전에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 만약에 동일한 MBS 존에 속하는 다수의 기지국 중에 전송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패킷 데이터 일부 또는 전부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동기 전송 시간을 결정하기 전에 이미 손실된 정보와 패킷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MBS 콘텐츠를 수신하면서 동일 MBS 존 내의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게 되면 MBS 콘텐츠에 대한 끊김없는 수신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이득을 얻기 위한 동일한 MBS 존에서 이동 단말기들에게 전송되는 MBS 콘텐츠들의 동기를 보장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기 전송 시간을 결정하기 앞서서 다수의 RAS가 전송 동기화 정보와 신뢰성 있는 패킷 데이터 콘텐츠 수신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장치를 보완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데이터 전송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ynchronization System based on the multi-queue on Mobile Environments (모바일 환경에서 다중 큐 기반의 동기화 시스템 구현 및 성능 비교)

  • Kim, Hong-Ki;Kim,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
    • /
    • pp.141-146
    • /
    • 2011
  • The GIS service has to provide latest spatio-temporal data for the effective service. The two-way synchronization scheme collects updated spatio-temporal data in the field and synchronizes with a server by using the wireless network. However, since the two-way synchronization scheme processes sequentially synchronizing work of clients, it has the problem that the synchronization of multiple clients takes long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ncurrent synchronizations scheme based on the multi-queue in order to reduce the waiting time of multiple clients. We also build both schemes and evaulate the performance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reduce the waiting time by 31%.

Hardware Architecture of Timing Synchronization for IEEE 802.11n Wireless LAN Systems (IEEE 802.11n 무선 LAN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하드웨어 구조)

  • Cho, Jong-Min;Kim, Jin-Sang;Cho, Won-Ky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1A
    • /
    • pp.1124-1131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iming synchronization scheme and its hardware architecture of the next generation IEEE 802.11n wireless LAN standard which is based on MIMO-OFDM technique. Proposed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takes two steps which consist of two modified auto-correlators. For coarse timing synchronization, a sliding window differentiator is used after a conventional auto-correlation in order to avoid plateau problem. The conjugate symmetry property of L-LTS is utilized for the simplification of fine timing synchronization. Since cross-correlation based methods are not required,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the number of multipliers can be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hardware complexity, we have used sign multipliers. Based on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a conventional method. The proposed scheme can be applied to IEEE 802.11n systems and can easily be expanded to frequency synchronization sc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