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 동기

Search Result 1,84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search of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시간동기화 프로토콜 연구)

  • Jeong, Keong-Ja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746-749
    • /
    • 2009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센서노드는 동종의 센서 노드와 많은 수의 이기종 센서 노드들을 포함하게 된다. 이기종 센서노드들간의 시간동기화로 인한 배터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싱크노드 아래에 있는 싱크노드와 클럭소스가 같은 동종 센서노드를 시간동기 마스터로 설정하고, 싱크노드와 다른 클럭소스를 가지는 다수의 이기종 센서노드를 마스터 아래에 속하는 시간동기 슬레이브로 설정하여 시간동기 마스터가 동작을 개시할 때에만 시간동기 슬레이브 노드들이 동작하도록 동기화하는 이기종 센서노드들의 시간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Time Synchronization using the Accumulative Time Inform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누적 시간 정보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

  • No, Jin-Hong;Ho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44-49
    • /
    • 2006
  • 최근 무선 통신의 발달과 임베디드 시스템의 확산으로 주변 상황을 감지하고 통신할 수 있는 저전력 장치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 간의 동기화, 순서화, 그리고 일관성 유지를 위하여 시간 동기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지난 20여 년간 연구되어진 분산 시스템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들은 풍부하지 않은 자원과 에너지 소모 등을 고려해야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상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누적 시간 정보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무선 브로드캐스트의 특성을 활용하여 시간 동기화의 제약 조건을 완화하여 높은 정확성을 제공하면서 한 번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만으로 시간을 동기화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이를 위해 송신자-수신자 방식의 구조에서 송신자는 시간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수신자는 누적된 시간 정보를 통해 편차와 편차율을 계산하여 송신자의 시간을 추정하고 동기화된 시간인 가상 시간을 계산하였다. 전체 센서노드들의 시간이 동기화할 수 있음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 PDF

Clock Synchronization in Wireless Embedded Applications (무선 임베디드 환경에서의 시간 동기화)

  • No, Jin-Hong;Hong, Young-Sik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2 no.6
    • /
    • pp.668-675
    • /
    • 2005
  • With the proliferation of wireless network and the advances of the embedded systems, the traditional distributed systems begin to include the wireless embedded systems. Clock synchronization in the distributed systems is one of the major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diverse Purposes including synchronization, ordering, and consistency. Many clock synchronization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over the years. Since clock synchronization in wireless embedded systems should consider the low bandwidth of a network and the poor resources of a system, most traditional algorithms cannot be applied directly. We propose a clock synchronization algorithm in wireless embedded systems, extending IEEE 802.11 standard. The proposed algorithm can not only achieve high precision by loosening constraints and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wireless broadcast but also provide continuous time synchronization by tolerating the message losses. In master/slave structure the master broadcasts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stave computes the clock skew and the drift to estimate the synchronized time of the master.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achieved standard deviation by the Proposed scheme is within the bound of about 200 microseconds.

Group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daptive Synchronization Delay Time for Media Streaming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적응적 동기 지연시간을 이용한 그룹 동기화 기법)

  • Kwon, Dongwoo;Ok, Kisu;Kim, Hyeonwoo;Ju, Hongtae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3
    • /
    • pp.506-515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oup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daptive synchronization delay time by the bit rate of media to synchronize a play position of streaming media between mobile smart devices. This method consists of streaming server-side and client-side synchronization algorithms based on synchronization delay time which includes connection time, control packet transmission time, streaming data buffering time, and synchronization processing time. We implement the Android media player application with synchronization support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and present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Time Synchronization for WSN Nodes Operating on Low-Energy Sleep-Wake Cycles (저 에너지의 취침 기상 사이클로 작동하는 무선센서 네크워크 노드들을 위한 시간 동기화)

  • Yun, Ho-Jung;Yun, Joo-Sung;Lee, Sung-Gu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3
    • /
    • pp.331-335
    • /
    • 2010
  • Previous low-energy time synchronization methods have mainly focused on reducing the number of transmission or reception packets. However,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reduces the percentage of time a node has to be awake (the duty cycle), assuming that a periodic sleep-wake cycle is used to conserve energy. Based on our experience with actual WSN devices, a system model is proposed, and the potentia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different parameter values, is analyzed. To further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our metho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nine WSN devices in a $3{\times}3$ grid network topology. The results show the average synchronization error is 107.57 $\mu{s}$ in duty cycle 5% and synchronization period 10 sec, and 130 $\mu{s}$ in duty cycle 2.5% and synchronization period 20 sec.

Performance Analysis of Time Synchronization considering Message Collision Probability in Link-16 (Link-16 의 메시지 충돌 확률을 고려한 시간 동기 성능 분석)

  • Ko, Sangsoon;Baek, Hoki;Yu, Jepung;Lim, J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157-159
    • /
    • 2014
  • 전술데이터링크는 전장 환경에서 모든 플랫폼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로 묶어 전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통신 기술이다. 이러한 전술데이터링크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플랫폼간 시간 동기가 필수적이며, 대부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술데이터링크인 Link-16 에서는 네트워크에 가입하면서 NTR(Network Time Reference) 과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이러한 시간 동기 절차는 대략적인 동기와 정밀한 동기의 두 단계로 구분된다. 대략적인 동기는 프레임이 시작하는 첫 타임 슬롯에서 주변 노드로부터 IEM(Initial Entry Message)을 수신하여 전송 시간만큼의 오류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 실험을 통해 IEM 을 전송하는 노드의 거리에 따른 메시지의 충돌 확률을 구하고, 그 충돌 확률에 따라 시간 동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Link-16 의 시간 동기 성능을 분석하였다.

A Clock Synchronization Protocol to Enhance the Clock Accuracy in Distributed Component Systems (분산 컴포넌트 시스템에서 동기화된 시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법)

  • Park, Soo-Hwan;Lee, Chang-Gun;Ha, E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500-503
    • /
    • 2008
  • 분산 컴포넌트 시스템에서 여러 컴포넌트가 맞물려 서비스를 수행할 때 기준이 되는 시간이 필요하고 각 컴포넌트 별로 시간 오차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시간 동기화 과정이 필요하다. 안정성이 중요시되고 실시간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동기화된 시간의 정밀도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제안된 시간 동기화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딜레이 요소들로 인해 동기화된 시간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환경에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때 오차를 발생시키는 요소들을 지적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법들은 제안함으로써 시간 동기화의 정확도를 높인다.

  • PDF

Timeline Synchronization of video clips based on sound waveform (소리 파형 기반 동영상 간 시간축 동기화 기법)

  • Kim, Shin;Yoon, Kyou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82-83
    • /
    • 2017
  • 파노라마 영상은 최근 몇 년 사이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에게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파노라마 동영상은 기술상의 어려움이 있다. 파노라마 동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두 대 이상의 스마트 폰으로 동시에 촬영을 하여야 하는데, 하드웨어의 차이로 인해 시간축을 동기화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영상 정보를 이용한 시간축 동기화도 시도되었다. 하지만 영상 정보를 이용한 시간축 동기화에도 어려움이 있다. 영상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계산복잡도가 높고 영상 내 움직임으로 인해 시간축 동기화 정확도도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는 대신 소리 파형을 이용한 시간축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소리 파형 이미지를 이용하여 시간축을 동기화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향상되고 시간축 동기화 프로세싱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Design of Time Model for Synchronization of sptio-temporal data on a Mobile Environments (모바일 환경에서 시공간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시간 모델 설계)

  • Kim, Hong-Ki;Cho, D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7-210
    • /
    • 2009
  • The time information of sptio-temporal data in synchronization system of a mobile environmen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ime data of various kinds. However, that previous data is synchronized related with progress of synchronization operation is a problem when saving the time data of sptio-temporal data depends on the registration time. In this paper, classifies the time used as time data for synchronization data, defines time data model suitable for synchronization of sptio-temporal data and suggests a synchronization system which uses time data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