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적 밀집도

Search Result 20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Grid-Cell Assessment System for the Optimal Location of Offshore Wind Farms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한 Grid-cell 평가 시스템 개념 설계)

  • Lee, Bo-Kyeong;Cho, Ik-Soon;Kim, Dae-H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7
    • /
    • pp.848-857
    • /
    • 2018
  • Recently, around the world, active development of new renewable energy sources including solar power, waves, and fuel cells, etc. has taken place. Particularly,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have been developed for saving costs through large scale production, using high-quality wind power and minimizing noise damage in the ocean area. The development of floating wind farms requires an evaluation of the Maritime Safety Audit Scheme under the Maritime Safety Act in Korea. Floating wind farms shall be assessed by applying the line and area concept for systematic developm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sea wate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is also required. In this study, proper standards for marine traffic surveys and assessments were established and a systemic treatment was studied for assessing marine spatial area. First, a marine traffic data collector using AIS or radar was designed to conduct marine traffic surveys. In addition, assessment methods were proposed such as historical tracks, traffic density and marine traffic pattern analysis applying the line and area concept. Marine traffic density can be evaluated by spatial and temporal means, with an adjusted grid-cell scale. Marine traffic pattern analysis was proposed for assessing ship movement patterns for transit or work in sea areas. Finally, conceptual design of a Marine Traffic and Safety Assessment Solution (MaTSAS) was competed that can be analyzed automatically to collect and assess the marine traffic data. It could be possible to minimize inaccurate estimation due to human errors such as data omission or misprints through automated and systematic collection, analysis and retrieval of marine traffic data. This study could provides reliable assessment results, reflecting the line and area concept, according to sea area usage.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by Spatial Type using UAV and ENVI-met (UAV와 ENVI-met을 활용한 공간 유형별 열환경 특성 분석)

  • KIM, Seoung-Hyeon;PARK, Kyung-Hun;LEE, Su-Ah;SONG, Bo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1
    • /
    • pp.28-43
    • /
    • 2022
  • This study classified UAV image-based physical spatial types for parks in urban areas of Changwon City and analyzed thermal comfor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hysical spatial types by comparing them with ENVI-met thermal comfort results. Physical spatial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UAV-based NDVI and SVF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ENVI-met thermal comfort, the TMRT difference between the tree-dense area and other areas was up to 30℃ or more, and it was 19. 6℃ at 16:00, which was the largest during the afternoon. As a result of analyzing UAV-based physical spatial types and thermal comfort characteristics by tim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spatial types with high NDVI and high SVF showed a similar to thermal comfort change patterns by time when using UAV, and the physical spatial types with dense trees and artificial structures showed a low correlation to thermal comfort change patterns by time when using UAV. In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thermal comfort based on UAV images was confirmed for the spatial type consisting of open and vegetation, and the area adjacent to the trees was found to be more thermally pleasant than the open area. Therefore, in the urban planning stag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pen space in consideration of natural covering materials such as grass and trees, and when using artificial covering materials, it is judged that spatial planning should be done considering the proximity to trees and buildings.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urban climate phenomena and establish urban planning considering thermal comfort through ground LIDAR and In-situ measurement-based UAV image correction.

Treahment Scheme of Sea-water Red-tide and Ship Ballast-water (해수적조현상과 선박안정수의 처리 방안)

  • 소대화;전용우;중국명;중국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772-777
    • /
    • 2003
  • 선박이 배출하는 안정수(ballast water)는 외부로부터 유해 생물들이 유입되어 전파해 오는 주요경로로써 해양환경의 매우 중요하고 위험한 일종의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방법은 아직까지도 개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강 전리방전을 이용하여 고 밀집 산소와 물분자를 고농도 수산자유기(OH: hydroxyl radical)로 전리, 활성입자를 발생시켜 신속히 확산시키면 넓은 범위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로 유해성 침입 생물을 잔류물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살균제나 촉매제의 사용 없이 소멸시켜 처리하는 효과적인 새로운 녹색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산기는 강 산화제로써(산화환원 전위는 2.80 eV), 적조생물을 신속, 효과적으로 사멸시켜 잔유물과 오염물 발생 없이 이상적으로 해양적조현상을 처리할 수 있는 활성물질이다. 고출력 강 전리장치를 활용하면 수산기 활성제의 발생 농도를 Sr104 이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해양적조처리에 요구되는 문턱 값 농도(~l$\times$$10^{-6}$)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조생물 소멸처리시간은 불과 10 sec 내외이므로 선박 안정수 처리문제와 함께 적조발생의 난문제를 해양동력학적으로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다. 실험결과로부터 시간당 1 k톤의 활성물질을 발생하는 수산기활성제 제조장치의 경우, 약 4$\times$$10^2$ $\textrm{km}^2$/h의 적조해면을 처리할 수 있으며, 그 비용은 약 US$l,000 정도에 상당하므로, 적조에 따른 경제손실과는 비교될 수 없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활성물질의 생성시간과 가공시간은 불과 수십 $\mu\textrm{s}$ 및 수 sec 에 불과하므로, 1 kton/h 용량의 수산기활성제 제조장치의 환산소비동력은 약 200 kW이고, 장치의 체적은 10~30 ㎥의 공간으로 충분하므로, 소형선박으로 상당면적의 적조피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PDF

Partition and Caching Mechanism for GML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GML 가시화를 위한 분할 및 캐싱 기법)

  • Song, Eun-Ha;Park, Yong-Jin;Han, Won-Hee;Jeong, Young-Si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7
    • /
    • pp.1025-1034
    • /
    • 2008
  • In this paper, we developed GridGML for efficiently supplying a GML and visualizing the map with partitioning map and caching method to a mobile device. In order to overcome the weighting of a file, which is the biggest weakness of a GML, GridGML extracts only the most necessary parts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map among GML attributes, and makes the file light as a class instance by applying an offset value. GridGML manages a partition based on the visualization area of a mobile device to visualize the map to a mobile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partition area by serializing it for the benefit of transmission. Also, the received partition area is compounded in a mobile device and is visualized by being partitioned again as four visible areas based on the display of a mobile device. Then, the area is managed by applying a caching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repetitiveness for a received map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resources. Also, in order to prevent the delay in transmission time as regards the instance density area of the map, an adaptive map partition mechanism is proposed for maintaining the transmission time uniformly.

  • PDF

A Study on Process Optimization for CSOs Application of Horizontal Flow Filtration Technology (수평흐름식 여과기술의 CSOs 적용을 위한 공정 최적화 연구)

  • Kim, Jae-Hak;Yang, Jeong-Ha;Lee, Young-Sh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56-63
    • /
    • 2018
  •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and Separated Sewer Overflows(SSOs) discharge directly to the effluent system in an untreated state, which occurs when the facility capacity is exceeded due to heavy rai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recent years as the heavy rain becomes a regular phenomenon. Despi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filtration technology, targeting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CSOs are rarely appli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he process to apply CSOs in a pilot-scale horizontal flow filtration system with a rope-type synthetic fibe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a preliminary study using artificial samples and a field study using sewage. In the preliminary study using an artificial sample, head loss of the filter media itself was analyzed to be approximately 1.1cm, and the head loss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0.1cm as the linear velocity was increased by 10m/hr. In addition, the SS removal efficiency was stable at 81.4%, the filtration duration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recovery rate of 98% was obtained by air backwashing only. In the on-site evaluation using sewage, the filtration duration was approximately 2 hours and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83.9% was obtained when belt screen (over 450 mesh) was applied as a pre-treatment process to prevent the premature clogging of filter media. To apply the filtration process to CSOs and SSO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with the pre-treatment process was important to reinforce the hydraulic dimension for the stable maintain of operation period, rather than efficiency. Compared to the dry season, the quality of incoming sewage was lower in the rainy season, which wa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inage area with higher sanitary sewer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fluent quality of the wet season and dry season was small.

Tectonic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I): A Geo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rthquakes (한반도의 지반운동 (II): 한반도 지진분포의 지형학적 해석)

  • 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4
    • /
    • pp.488-505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wofold; 1) to verify spatial differences of tectonic movement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rthquakes, and 2) to infer mechanisms that generate spatial accumulation patterns of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first part of this sequential paper (Park, 2007) argues that the Korean Peninsula consists of four geostructural regions in which tectonic deformation and consequent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patter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ince this conclusion has been made by terrain analyses alon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is suggestion using other independent geophysical data. Because earthquakes are results of movement and deformation of land masses moving in different directions, the distribution of earthquake epicenters may be used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rates of land mass movement. This paper first analys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rthquakes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the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patial arrangement of geostructural region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ly, the intensity of earthquakes shows only weak spatial dependency, and shows large difference even at adjacent regions. Secondly, the epicenter distribution has a clear spatial accumulation pattern, even though the intensity of earthquake shows a random pattern. Thirdly, the high density area of earthquakes shows a clear 'L' shape, passing through Pyeongannam-do, centered at Pyeongyang, and Hwanghae-do, Seosan and Poha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density of earthquakes and distance from geostructral region boundaries is much higher than those between the density of fault lines and distance from tectonic division boundaries. Since fault lines and tectonic divis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re the results of long-term geological development, there is an apparent scale discrepancy to fi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rthquakes. This result verifies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into four geostructral regions in which each has its own moving direction and spatial deformation characteristics. The existence of geostructural regions is also supported by the movement parrerns of land masses estimated from the GPS measurements. This conclusion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earthquake occurrences in the Korean Peninsula.

Conjoint Analysis를 이용한 대학 급식소 선택속성 규명 및 급식소 신설 전략 도출

  • 김창준;양일선;박문경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84-1085
    • /
    • 2003
  • 최근 대학생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혹은 중학교 때부터 급식을 받아온 세대로 급식체계에 싫증을 내고 학교 밖의 외부식당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세대이다. 또한, 위탁급식전문업체의 대학 내 급식사업 참여와 많은 선행 연구 등을 토대로 여러 면에서 대학 내 구내식당이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부식당과의 경쟁으로 현재 급식인원수가 매년 감소하여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S 대학 학생식당 고객의 급식소 선택속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 현재 운영중인 급식소 이외에 추가 설립하고자 하는 식당 신설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SPSS통계 package (ver. 11.0)를 활용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컨조인트 분석 (conjoi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현재 학생식당 이용빈도 감소원인은 ‘음식이 맛이 없어서’가 44.8%, ‘거리가 멀기 때문’이 19.9%로 조사되어, 학생식당의 이용빈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음식 맛'과 '거리'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학생식당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37.8%, ‘불만족 한다’가 36%, ‘매우 불만족한다’가 18.4%, ‘만족한다’가 7.8%로 조사되어 응답자의 대부분이 식당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었다. 거리에 의해 식당의 이용빈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현 학생식당의 위치가 강의 동과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강의 동이 밀집해 있는 건물과 근거리에 식당이 개설된다면 이용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64.7%가 이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26.1%는 이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적정 거리의 식당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식당으로 이용하는 소요시간에 대해서 조사대상자가 멀다고 인식하는 시간과 가까운 거리라고 인식하는 시간에 대한 조사 결과 가까운 거리로 인지하는 평균 이동소요시간(분)은 5분이었으며 먼 거리로 인지하는 평균이동소요시간은 10.9분으로 적당한 식당의 위치는 S~10분내의 거리로 9분 30초의 거리에 식당이 위치하면 학생들의 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사전 대면면접을 통해 가격, 소요시간, 음식의 맛으로 선정된 속성과 각 속성별 수준을 활용한 컨조인트 분석 실시하여 도출된 학생들의 급식소 선택 시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은 가격대, 소요 시간, 음식 맛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중요도는 가격이 65.42%, 소요시간인 24.76%, 음식의 맛이 9.82%였다. 즉, 학생들은 학생식당의 서비스 품질 속성 중에서 상대적으로 식사 가격을 가장 중요하기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식사를 하기 위해 식당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 음식의 맛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조인트 분석결과 조사대상자가 가장 선호하는 대학 식당으로는 이동하는데 6-10분이 소요되는 거리에 위치한 식당으로 2,100-2,500원 정도의 가격대로 맛있고 깔끔한 식당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 운영중인 학생식당이 모두 1,800원의 단일 식단가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학생식당을 신설할 경우에는 이동하는데 10분 이상 소요되지 않는 장소에 가격대는 현재보다 더 높은 2,000-2,500원의 가격대에서 맛있고 깔끔한 현재와는 차별화 된 일품메뉴 위주의 식단의 학생식당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ing Geologic Loss Estimation Factors : Effect of DEM Resolution in Site Classification (지질재해예측 입력인자 개발 : DEM 해상도가 지반분류에 미치는 영향)

  • Kang, Su Young;Kim, Kwang-He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1-161
    • /
    • 2011
  • 지진, 산사태, 액상화 등의 지질재해 예측을 위한 지역적 지반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지질도 또는 지형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DEM에서 추출한 경사도는 지반분류 시 하나의 기준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고, 이때 DEM의 해상력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산출될 수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DEM의 해상력에 따라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지반분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각기 다른 해상도의 DEM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동남부 지형을 경사도 기준으로 지반분류한 후 그 면적차이를 해상도별로 비교한 결과, 지반분류 C 지역의 면적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다. $V_s30$ 범위로 분류한 결과에서는 180 m/sec 이하의 지역에서 해상도별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 고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B와 E의 지역에서 면적이 저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고, 저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C와 D 지역의 면적이 고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DEM의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각기 다른 지반정보를 함유한 작은 셀이 큰 셀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평균화되는 지반정보가 과대평가 또는 저평가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지역 내 시추지역의 지반과 지반분류 결과를 비교하면 해상도별로 78%~52%까지 일치하였고, 고해상도에서 일치율이 더 높았다. 지형의 변화가 심하고 인구나 산업시설이 밀집된 재해 고위험군 지역은 고해상도의 지도를 이용하고, 지형의 변화가 없거나 단단한 지반의 지역은 재해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저해상도의 사용으로 자료처리 시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 PDF

Macro Block Placement Using Simulated Annealing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이용한 마크로 블럭의 배치)

  • Park, In-Cheol;Kyung, Chong-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6 no.2
    • /
    • pp.147-154
    • /
    • 1989
  • An effective placement of macro blocks having arbitrary width and height is very important in reducing the chip area and the signal delay.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macro block placement to obtain the globally optimal placement using simulated annealing, and an efficient algorithm for eliminating the overlaps between the rectangular macro blocks which may remain even after the simulated annealing process is terminated. Each macro block was enlarged to take into account minimal routing area, and these macro blocks were compacted as much as possible during the placement. This procedure was implemented in C language running on MV10000/UNIX computer system, and good placement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is procedure to two circuits which were consisted of 50 and 160 macro blocks respectively. Several parameters giving great effects to final placements were investigated.

  • PDF

Query Flooding of Multiple Static Sink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센서 망에서의 다중 정적 싱크의 쿼리 플러딩)

  • Jin, Min-Sook;Choi, Young-Hwan;Lee, Eui-Sin;Park, Soo-Chang;Yu, Fu-Cai;Kim, Sa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273-276
    • /
    • 2007
  • 전형적인 센서 네트워크는 사용자, 싱크 그리고 센서들로 구성되며, 사용자와 싱크간은 기반 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그러나, 재난지역이나 전투지역에서의 실제 사용자들은 기반 망이 없는 밀집 된 센서 영역 내부를 이동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받아 임무 수행할 수 있기를 원한다. 따라서, 사용자와 싱크 간 센서 노드만이 통신 채널로 유일하게 존재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이동성 지원이 필요 된다. 다중의 정적 싱크 기반 센서 망 구조에서 사용자의 이동성이 고려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얻고자 하여 싱크에게 쿼리를 보냈을 때 각 싱크는 정보를 찾고자 한다. 기존 제안된 알고리즘들은 하나의 패킷에 수많은 쿼리를 담아 주기적인 메시지 전송을 요구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싱크가 정보를 찾고자 할 때 시간 동기화 기법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다소 줄이고자 한다. 각각의 싱크에 수많은 쿼리를 할당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도록 하는 임무로 플러딩할 때 패킷에 실어야 하는 값을 최소화 하여 에너지 효율성과 속도를 빠르게 하여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하는 장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시에 검증할 매트릭스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