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의존효과

Search Result 51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nhanced Metadata Model for Growing Data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성장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된 메타데이타 모델)

  • 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386-38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필드의 추가, 삭제에 의해 데이터 큐브의 확장과 서로 다른 시간구간의 뷰가 존재함을 밝히고 이에 따른 두 가지 문제점을 제안한다. 첫째 새로 추가된 필드에 따라 이전 데이터를 변화할 것인가\ulcorner 둘째 필드의 추가로 불필요해진 실체화된 뷰를 계속 유지할 것인가\ulcorn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데이타를 통하여 데이터 큐브의 재구성이나 불필요한 뷰의 실체와 없이 다른 시간구간의 실체화된 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시간 축을 고려함으로써 데이터 큐브의 격자구조를 따라 의존관계의 뷰들을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결과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변화 시 기존의 기법보다 좋은 질의처리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보다 빠른 질의처리를 위하여 데이터 큐브를 사용하고, 큐브를 구성하는 뷰들을 실체화 한다. 하지만 새로운 필드의 추가나 삭제와 같은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변화, 성장에 의해 구조변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대하여 적절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

신문용지의 소프트 닙 캘린더링

  • Lee, Hak-Rae;Lee, Sa-Yong;Ryu, Hun;Jeon, Dae-Gu;Kim, Ch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1999.04a
    • /
    • pp.44-44
    • /
    • 1999
  • 전적으로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소프트 닙 캘린더 피복의 국산화를 위해 시험 제작 된 소프트 닙 캘린더용 연질롤의 캘린더링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정 변수에 따른 신문 용지의 물성변화를 평가하였다. 연질 롤로는 (주)광성고무롤에서 시험제작된 경도 90 Shore D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캘린 더링 시의 압력, 가열 롤의 표면온도, 닙 체류 시간, 유입지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신문용지 의 별크, 평활도, 광택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불투명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별크는 캘린더링 시 압력, 가열 롤의 표면온도,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높을수록 별크가 크게 감소되었으며, 닙 체류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1 120 226;C 이하에서 캘린더링을 실시하는 것이 별크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평활도는 가열 롤의 표연 온도, 닙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되었으며, 선압과 함 수율 증가에 의해서도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 인장강도는 유입지의 함수율, 닙 체류시간,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모두 상승할 경우 증 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함수율 증가에 의해 섬유의 유연성이 향상된 상태에서는 칼렌더링 온도와 닙체류 시간 증가에 의한 섬유의 기계적 변형과 열전달에 의한 섬유의 열 변형이 효과적으로 발생하여 섬유간 결합면적이 증가된 결과로 생각되었다. 인열강도는 소프트닙 캘린더링 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캘린더링 온도와 닙체류시 간은 인열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 닙 캘린더링 시 발생하는 인 열강도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닙 체류시간을 짧게 적용하고 섬유의 열변형이 종이의 표변 에서만 일어날 수 있도록 유입지 함수율과 가열롤의 표면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 하리라 판단되었다.광택도는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닙 체류시간에 따라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20도씨에서는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광택도가 오히려 감소하기도 하였다. 불투명도는 벌크와 마찬가지로 압력이 높고 가열롤의 표면온도가 높은 경우 낮게 나타 났다 특히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보였다.

  • PDF

Antibacterial Activity and Macrophage Ac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유산균의 항균효과와 대식세포 활성화)

  • Park, So-Hee;Kim, Yun-A;Lee, Do-Kyung;Lee, Sang-Jin;Chung, Myung-Jun;Kang, Byung-Yong;Kim, Kyung-Jae;Ha, Nam-Jo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2 no.4
    • /
    • pp.287-297
    • /
    • 2007
  •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과 같은 병원균에 항균 활성을 지니며 면역 증강효과를 나타내는 등 건강에 이로운 다양한 역할을 한다. 유산균에 의한 항균 효과는 E. coli와 S. typhiumurium에 대항하는 항균 활성으로 측정되어 졌으며, 면역 증강 효과는 유산균을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의 활성화로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ifidobacterium bifidum의 E. coli와 S.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은 9시간 이상 혼합 배양하였을 때 가장 좋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E. coli와 S. typhiumurium 두 균주가 9시간 이후에는 모두 콜로니를 형성하지 않았다. RAW264.7 세포는 유산균에 의한 NO와 $TNF-{\alpha}$의 생성과 대식세포의 형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대식세포로서 이용되었다. NO와 $TNF-{\alpha}$의 생성은 유산균을 처리한 RAW264.7세포의 24,48시간 배양 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식세포의 형태 변화 역시 유산균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주)쎌바이텍으로부터 분양받은 유산균은 항균활성과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여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Bee Venom Acupuncture at Sinsu($BL_{23}$) in a MPTP Mouse Model of Parkinson Disease (MPTP 유발 파킨슨 병 동물 모델에서의 신수혈($BL_{23}$) 봉독약침의 항염증 효과)

  • Kim, Chan-Young;Lee, Jae-Dong;Lee, Sang-Hoon;Koh, Hyung-Kyu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4
    • /
    • pp.49-58
    • /
    • 2009
  • 목적 : 파킨슨 병은 기저핵 흑질의 치밀부에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퇴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신경 염증이 주요 병인으로 밝혀져 있다. 이 연구는 MPTP 유발 파킨슨 병 동물 모델에서 신수혈($BL_{23}$)에 대한 봉독 약침의 항염증 효과 및 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C57_{BL}$/6쥐를 무처치군, MPTP+saline군, MPTP+BVA(0.06mg/kg)군, MPTP+BVA(0.6mg/kg)군의 4군으로 나눈 뒤 무처치군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 총 8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MPTP-HCl(20mg/kg per dose$\times$4)을 복강내로 주입하였다. MPTP+BVA 군에서 봉독약침은 마지막 MPTP 주입 2시간 후부터 48시간 간격으로 신수혈($BL_{23}$)에 양측으로 각 20${\mu}\ell$씩 주입하였고 MPTP+saline군에서는 봉독약침 대신 Saline을 주입하였다. 마지막 MPTP 주입 후 7일째에 쥐의 뇌를 적출한 후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MPTP 유발 파킨슨 병 동물 모델에서 신수혈에 대한 봉독약침은 농도 의존적으로 TH-Immunoreactivity neuron의 감소와 microglial activation을 억제하였다. HSP70-IR neuron은 모든 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봉독약침이 용량의존적으로 microglial activation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해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파괴를 억제함으로써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봉독약침이 microglial activation 억제를 통해 임상적으로 파킨슨 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병에 있어 유용한 치료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Induction of p53-dependent Apoptosis by Resveratrol in Human Cancer Cells, A549 and SKOV3 (레스베라트롤에 의한 인간 암세포주, A549와 SKOV3의 p53의존적 Apoptosis 유발)

  • Lee, Seul Gi;Nam, Ju-Oc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44 no.2
    • /
    • pp.194-200
    • /
    • 2016
  • Resveratrol, a polyphenolic compound present in many fruits and vegetables such as grapes, mulberries, and peanuts,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effect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resveratrol-induced apoptosis in A549 ovarian cancer cells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sveratrol on A549 lung cancer cells (expressing wild-type p53) and compared it with that observed for SKOV3 ovarian cancer cells (expressing null-type p53). Resveratro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A549 cells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its effects on SKOV3 cells. It also induced A549 cell apoptosis, but did not affect anoikis resistance. Furthermore, the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p53-knockdown A549 cells were unaffected by the presence of resveratrol. Therefore, we demonstrate that the anticancer effect of resveratrol against A549 lung cancer cells is dependent on the presence of functional p53.

Beta-adrenergic regulation of the DNA Synthesis and Epidermal Growth Factor Secretion in cultured Submandibular Gland Cells (악하선 배양세포의 DNA합성 및 Epidermal Growth Factor분비에 관련된 Beta-adrenergic 조절에 관한 연구)

  • 이금영;소준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3
    • /
    • pp.410-419
    • /
    • 1991
  • 마우스 악하선 배양세포의 DNA와 단백질 합성 및 epidermal growth factor(EGF) 분비에 미치는 isoproterenol(IPR)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마우스 악하선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양된 상피형세포의 DNA및 단백질 합성은 IRP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와는 달리 IPR처리 1시간 후에 IPR-처리 마우스로부터 얻은 혈청은 악하선 배양세포의 단백질 합성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DNA합성은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IPR에 의한 악하선 세포의 DNA 합성능의 감소는 propranolol에 의해 차단되지 않았으나 ascorbate에 의해서는 회복되었다. 악하선 배양세포의 DNA 및 단백질 합성을 저해한 IPR의 처리에 의해 배양세포의 EGF분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악하선 세포의 DNA 및 단백질 합성에 작용한 IPR의 효과는 beta-adrenoceptor의 흥분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IPR로부터 유래된 free radical에 의한 세포독성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IPR의 생체내 투여에 의한 악하선의 비대화를 보고 한 기존의 결과는 IPR이 악하선에 직접 작용하여 유발된 것이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로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ropolis (EEP) on the Storage of Sausage (소시지의 저장 중 propolis 에탄올 추출물의 첨가효과)

  • 오인석;오동환;조영숙;강갑석;손미예;서권일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7 no.2
    • /
    • pp.35-39
    • /
    • 2002
  • Propolis 에탄올 추출물(EEP)의 천연 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한 propolis추출물을 소시지에 농도별로 첨가한 후 $20^{\circ}C$에서 7일 동안 저장하면서 그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EEP가 농도별로 참가된 소시지의 pH는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하여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생균수 및 대장균 군수는 저장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낮게 나타나 향균활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육제품의 선도 판단의 지표가 되는 TBA가 및 VBN 함량도 역시 EEP 첨가 농도에 비례적으로 감소하여 propolis가 식품의 천연 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또한 EEP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EEP 5% 첨가 소시지가 가장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Analysis of a Bridge Installed with Anti-seismic Devices using PVDF/MgO Friction Material According to Friction Analysis Models (마찰해석모델에 따른 PVDF/MgO 마찰재 적용 면진 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성능 비교 분석)

  • Hye-Ri Park;Sung-Jo Kim;Tong-Seok Ha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6 no.2
    • /
    • pp.105-112
    • /
    • 2023
  • In this study, structur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 bridge to which friction pendulum systems (FPSs) were applied using different friction models. A Coulomb friction model and a rate dependent friction model were constructed using the friction coefficient of a PVDF/MgO friction material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friction analysis models. The Coulomb friction model uses a single friction coefficient regardless of friction velocity, while the rate dependent friction model can reflect the change in the friction coefficient with friction velocity. Nonlinear time history and seismic fragility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nfirm responses of the bridge. The seismic responses of a deck and a column wer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base isolated bridge, and a friction model that can effec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solated bridges was analyzed.

Associations of Longitudinal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Couples: An Application of the Dyadic Grow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노년기 부부의 관계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 사이의 관련성: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 Lee, Ka-Hyun;Jeong, Seong-Chang;Jahng, Seungmin
    • Survey Research
    • /
    • v.18 no.4
    • /
    • pp.25-59
    • /
    • 2017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elderly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change over time and examined how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unt for changes in depression between and within the dyads. The longitudinal dyadic data from the first wave(2006) to the fifth wave(2014)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analyses. Because husbands and wives are interdependent within couples, we applied statistical models for dyadic data. The dyadic growth model(DGM) was used to model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order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these growth factors, we proposed the dyadic grow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DG-APIM) and applied the model to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on average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but decreased faster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than the wives'. It also showed that the average depression of the husbands was lower than that of the wives but the husbands' depression increased faster than the wives'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The variance of the averages of husbands' (wives's) depression was accounted for by that of wives'(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howing a partner effect. The variance of the slopes of husbands'(wives') depression was accounted for by that of marital satisfaction of themselves, showing an actor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longitudinal interdepend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supported the marital discord model of depression.

Antitumor Activity of Corni Fructus Ethanol Extract in Sarcoma-180 Cancer Cells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Sarcoma-180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 Kwon, Seong-Hyuk;Kwon, Soon-Jae;Kim, Jae-Yong;Kang, Kap-Suk;Shim, Ki-Hwan;Lee, Mi-Kyung;Seo, Kwo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9 no.7
    • /
    • pp.960-965
    • /
    • 2010
  • To develop Corni Fructus as a cancer preventive food material, the in vitro cytotoxicities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ie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80% Corni Fructus ethanol extract (CFEE) were investigated using sarcoma-180 cancer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and cell death rate was increased in both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in cells treated with CFEE at 10, 100, 300, and $500\;{\mu}g/mL$ concentrations for 24, 48, and 72 hr. Proliferation was also inhibited more than 60% in cells treated with CFEE at the $100\;{\mu}g/mL$ concentration for 48 hr. In addition, the morphology of cells treated with CFEE at the 100 and $500\;{\mu}g/mL$ concentrations was distorted with shrunken cell masses and lower cell numbers compared to the control cells. In the cells treated with CFEE, the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and nuclear condensation were observed in dose dependent manners. CFEE also increased DNA fragmentation values at the 100 and $500\;{\mu}g/mL$ concentrations. The apoptosis induced by CFEE was connected to the proteolytic activation of caspase-3. When CFEE was administered at 100 and 300 mg/kg, ip, for 7 consecutive days in mice inoculated with sarcoma-180 cancer cell, the life span of the mice was found to be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mice that did not receive the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ni Fructus may be used as a potential cancer preventive food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