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의존효과

Search Result 51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mputation of Wave Height Distribution Inside a Harbor Using Time-Dependent Mild-Slope Equation (시간의존 완경사방정식을 이용한 항내 파고분포 계산)

  • 곽문수;홍길표;편종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 no.1
    • /
    • pp.18-27
    • /
    • 1990
  • The calmness inside a harb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ppropriate disposition of har-bor structures. However, it is not easy to get the accurate computational results because they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concerning with the wave transformation. Successful solution also depends on determining the boundary values appropriately. This paper presents the numerical model which is able to calculate wave heights inside a harbor It is based upon the time-dependent mild-slope equation involving wave refraction, diffraction, shoaling effect and reflection. In particular, the arbitrary reflectivity is used at the boundary in order to simulate the real harbor reflection condition. This numerical model is applied for Hupo-Harbor and its validities are investgated by comparing with experimental values from the hydraulic model test as well as computational results from Taka-yama's numerical model (1981). It is shown that the model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results from hydraulic model and Takayama's.

  • PDF

Inhibition of the Jun Aminoterminal Kinase by SP600125 Blocks PMA-Induced 92kDa Type IV Collagenase Secretion (PMA 유도 제4형 단백분해효소 분비를 차단하는 SP600125에 의한 Jun Aminoterminal Kinase의 억제)

  • Shin, Mi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2
    • /
    • pp.95-105
    • /
    • 2001
  • 제 4형 콜라젠을 분해하는 MMP-9은 조직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목받아 왔는데, 이전의 문헌들에서 PMA에 의해 이 유전자 발현이 강하게 상승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MMP-9 발현을 조절하는 PMA의 기전이 잘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른 유전자발현에서의 이 phorbol ester의 효과는 c-raf-1-ERK 신호전달통로의 활성에 관해 연구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저자는 MMP-9 발현에서 PMA의 상승효과에는 대개는 스트레스성 자극과 관련된 JNK1 의존성 신호전달과정이 또한 필요하다는 다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JNK 억제재중 하나인 SP 600125가 UM-SCC-1세포주에서 PMA에 의해 유도된 MMP-9 상승발현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72시간동안 전처치를 한 경우에 그의 억제효과가 최대이었다. phorbol ester로 처리한 세포에 GAL4 luciferase reporter와 vector를 주입해서 조사한 결과 PMA가 c-Jun transacting 활성을 상승시켰다. 그뿐 아니라 PMA에 의한 MMP-9 촉진자 활성에는 AP-1 motif가 필요하며 이 motif에 c-Jun이 결합하는 것을 EMSA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UM-SCC-1 세포주에서 PMA에 의한 MMP9의 증가된 발현은 이미 밝혀진 ERK 경로뿐 아니라 JNK 경로를 통한 결과임이 밝혀져 이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이 또하나의 암치료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 PDF

감마나이프 방사선치료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시간설정차이에 의한 처방선량에 주는 영향

  • 서원섭;임영진;신동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60-60
    • /
    • 2003
  • 목적 : 감마나이프 치료계획용 소프트웨어인 감마플렌에서 처방선량을 계산하는 단위와 실제 시간을 설정하는 하드웨어인 조정판의 시간설정 단위의 차이에 의한 실제 처방선량에 끼치는 영향을 계산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감마나이프는 주어진 4 개의 헬멧을 가지고 최소 한번 또는 최대 20 번 이상의 방사선 조합으로 한번에 많은 방사선을 목표물에 조사한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위한 치료계획용 소프트웨어인 감마플렌 5.32에서는 처방선량에 대한 치료시간을 최대 지점 또는 지정하는 지점에 규격화하여 소숫점 두 자리 즉 0.6 초까지 계산한다. 그러나 실제 치료를 위한 조정판의 시간설정은 모델 B 에서는 소숫점 한자리까지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러므로 모델 B를 사용하는 기관의 치료계획 컴퓨터인 감마플렌에서는 소숫점 한자리로 만들기 위해 반올림과 내림을 하게 되며 이것을 프린트하여 사용하게 된다. 실제 임상에서 멀티삿에 대한 반올림과 내림에 대한 효과를 선량으로 환산하여 처방선량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치료 계획에 서 처방선량을 입력한 후 계산된 각 조사에 대한 소숫점 두자리 시간을 화면에 표시한 후 스냅tit으로 스크린 캡쳐하여 프린트하였으며, 소숫점 한자리로 된 최종 치료계획을 프린트하여 서로 비교 계산하였다. 결과 : 20 여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 결과에 대한 분석은 조사의 수나 처방선량에 관계하지 않고 우연히 올림이 많으냐 내림이 많으냐에 의존하였다. 최대지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0.48부터 +0.47로 -2%부터 +1.9%의 정도로 영향을 끼쳤다. 결론 : 반올림과 내림의 결과는 처방선량을 줄일 수도 있고 늘일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최대선량 지점에 대해 비교를 하였으나 실제로는 각 조사의 위치가 서로 다르므로 영향은 이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생각되어 소숫점 한자리로 치료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mm, AP 방향에서는 2.1$\pm$0.82 mm이었다. 그리고 복부의 later의 방향에서는 7.0$\pm$2.1 mm, AP 방향에서는 6.5$\pm$2.2 mm 이었다. 또한 표적 위치측정을 위해서 환자의 피부에 임의의 가상표적을 부착하고 CT 촬영한 영상결과, 프레임으로 가상표 적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 제작된 프레임을 적용하여 방사선투과율 측정실험, 환자 외부자세에 대한 오차 측정실험, 가상표적 위치측정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환자 외부자세에 대한 오차 측정실험 경우, 더 많은 Volunteer를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오차 측정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정확한 표적 위치 측정실험을 위해서 내부 마커를 삽입한 환자를 적용한 임상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위치결정에서 획득한 좌표값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팬톰을 이용한 방사선조사 실험이 추후에 실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작된 프레임에 Rotating X선 시스템과 내부 장기의 움직임을 계량화하고 PTV에서의 최적 여유폭을 설정함으로써 정위 방사선수술 및 3 차원 업체 방사선치료에 대한 병소 위치측정과 환자의 자세에 대한 setup 오차측정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충전재는 암모니아의 경우 코코넛과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3번과 소나무수피와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6번에서 다른 혼합 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코코넛과 소나무수피의 경우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흡착 능력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사료되며, 코코넛의 경우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조달이 용이하며, 구입 비용도 적게 소요되는 소나무수피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사료된다. 5. 마지막으로

  • PDF

A Coupling Metric between Classes for Efficient System Design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를 위한 클래스 간의 결합 척도)

  • Choi, Mi-Sook;Lee, Jong-Suk;Lee, Seo-Jeo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5
    • /
    • pp.85-97
    • /
    • 2008
  • Recently, service-oriented systems have been issued by their properties of reducing software development time and effort by reusing functional service units. The reusability of services can effectively promote through loose coupling between services and loose coupling between services depends on component-based system. That is, the component-based system is designed by grouping the tightly coupled classes of the object-oriented system and the service-oriented system is designed by the component-based system. Therefore, to design the component-based system and service-oriented system efficiently, a metric to measure the coupling between classes accurately nee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upling metric between classes applying a structural property, a dynamic property, and the normalized value by 0-1. We prove the theoretical soundness of the proposed metric by the axioms of briand et al, and suggest the accuracy and practicality through a case study. We suggest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metric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rics.

  • PDF

Synergistic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by a Combination of Bacteriophage and Organic Acid (박테리오파지와 유기산의 병용처리에 의한 효율적인 대장균 생육 억제)

  • Kim, Seon-Gyu;Moon, Gi-Seo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4 no.6
    • /
    • pp.591-594
    • /
    • 2019
  • Some strains of Escherichia coli are categorized as pathogenic bacteria and alternative antimicrobials including bacteriophages for controlling these bacteria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screened antimicrobial candidates that present synergistic inhibition of the growth of E. coli DH5α as a model when co-treated with the bacteriophage ECP27 to target the bacteria. As candidates, CaCl2, lactic acid, and citric acid were tested. CaCl2 showed a synergistic inhibition against the strain by dose-dependent manner at 6 h of incubation but the viable cell count was recovered at 12 h. However, lactic acid and citric acid at 30 mM concentration showed synergistic inhibitions at 6 h of incubation and cleared the viable cells of E. coli DH5α at 12 h when co-treated with the bacteriophage even though lactic acid or citric acid alone was effective. Therefore, co-treatment using the bacteriophage and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acid and citric acid can be a solution for synergistic inhibition of the growth of E. coli.

Effect of intravenous deferoxamine in multiply transfused patients (대량 수혈을 받은 환아들에서 정맥 투여한 deferoxamine의 효과)

  • Oh, Sang Min;Kang, Joon Won;Kim, Sun 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0 no.12
    • /
    • pp.1225-1230
    • /
    • 2007
  • Purpose : Multiple transfus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anemia can result in excessive iron deposition in tissues and organs. Effective iron chelation therapy in chronically transfused patients can only be achieved when iron chelators remove sufficient amounts of iron equivalent to those accumulated in the body from transfusions, thus leading to maintain body iron load at a non-toxic level.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venous iron chelation therapy with deferoxamine in patients who have received multiple transfusions. Methods : From March 2005 to January 2007, 15 patients who have received multiple transfus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ransfusion dependent patients were defined as those receiving >1 packed red blood cell (RBC) units/month for at least 6 months. They received intravenous deferoxamine for 7 days (10-30 mg/kg/day, 24 hour continuous infusions). Before and after deferoxamine infusions and 3 months later, we compared serum iron, TIBC, and ferritin in transfusion dependent patients and transfusion independent patients. Results : There were 6 males and 9 females and their age range was 5.6-21.3 (median 8.3) years. Transfusion dependent patients were 7 and 8 were transfusion independent states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or chemotherap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erritin level after deferoxamine treatment for the transfusion dependent patients but significant falling of ferritin level was observed for the transfusion independent patients 3 months later compared with baseline ferritin level (P=0.046). Some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but symptoms were mild and tolerable. Conclusion : Seven days of intravenous deferoxamine was safe and effective in transfusion independent patients. In transfusion dependent patients, chelation therapy should be maintained, in order to minimize or prevent iron accumulation and storage in the tissues.

A Study on Hydraulic Experiment for Improvement of Dredging Efficiency (준설 효율 향상을 위한 수리실험 연구)

  • Chae, Dong-Seok;Park, Jae-Hyeon;Kim, Young-Do;Lee, Ma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73-1377
    • /
    • 2007
  • 준설은 수중굴착, 운반(배송), 매립 기술로 구분되는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각 기술을 통합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준설분야는 토질, 수리 등의 토목 분야 기술뿐만 아니라 기계, 제어, 환경 등 여러 분야의 기술들이 매우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제한된 소수의 기술자들과 특수 대형 장비-준설선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장비의 대형화, 첨단화가 진행되면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로 인해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어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는 현장기술 분야이다. 유럽의 델프트 공대, IHC, 준설협회(CEDA)는 세계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육군공병단의 수로국에서 준설을 담당하고 있으며 DOER(Dredging Operation & Environmental Research) 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준설기술이 정착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현대건설에서 보유중인 아산3호를 모델로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실험으로 성층형성 및 석션펌프 작동시 물입자의 운동방향을 PIV로 촬영한 결과에 커터헤드를 추가 장착 시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수치해석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수정 보완 할 것이다. 차후 실험에서는 준설토의 조건과 기계적 조건 및 환경적인 영향력을 고려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행할 계획이며, 실험 조건에서는 각 매개변수를 달리하여 이를 토대로 데이터를 구성하고, 측정을 통해서 얻어지는 결과 값을 기초로 하여 준설시에 환경과 매개변수의 조건에 따른 준설량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이를 통해서 기본적인 메뉴얼을 구성할 계획이다. 수리실험의 결과값을 바탕으로 이를 현실무 작업에 적용할 경우 효율적인 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차가 없었다. 간조직 중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함량은 HC군이 N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HC-LREL 군과 HC-LREH군은 HC군에 비하여 간조직 중 총지질 함량만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 연근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HMG-CoA reduct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하시켰으며, in vivo 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급여로 증가되어진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 감소되어진 인지질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콜레스테롤 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연근의 어떠한 성분의 작용 기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nlein$ nephritis가 3례로 가장 많았다. 미세변화 신증후군 71명 중 비재발군이 16명으로 22.5%, 비빈발 재발군 49.3%, 빈발 재발군 18.3%, 스테로이드 의존군 9.9%를 보였다. 결론 : 대전시에서의 신증후군 환아의 발생빈도는 15세이하 소아 10만명당 약 5명으로 추정되었으며 10여 년전과 비교하여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

  • PDF

Effects of deer antler Water Extract (pilose antler of Cervus Korean TEMMINCK var. mantchuricus Sinhoe) on chondrocytes (연골세포에서 녹용약침의 효과)

  • Kim, Moo-jin;Lee, Seung-deok;Kim, Kyung-ho;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1 no.2
    • /
    • pp.73-87
    • /
    • 2004
  • 전통적인 면역억제제와 면역활동제인 녹용수용추출액(DAA)은 뼈의 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녹용약침이 비활성 연골세포의 분화를 야기시킬수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융합된 세포 배양균을 녹용약침과 함께 24, 36, 48, 72, 120 시간동안 먼저 처리하였다. 이러한 처리후에 배양액을 10-10 ~ 10-8M 1,25-(OH)2D3를 포함하는 새로운 배양액으로 바꾸어 세포들을 추가로 24시간동안 배양했다. 앞선 연구에서 더 성숙된 활성연골세포가 이러한 Vit D3 대사산물에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이러한 두 번째 처리를 선택하였다. 세포성숙에 있어서 녹용약침의 전처리 효과는 ALPase의 특이활동을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기질 단백질 합성의 변화는 35SO4 결합이 proteoglycan으로의 변화되는것과 collagen 합성을 측정함으로써 증명되었다. 비활성 연골세포가 녹용약침과 함께 120시간동안 전처리되고 다시 1,25-(OH)2D3를 추가한 처치에서 ALPase 특이활동과 collagen 합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를 일으켰다. 그러나 proteoglycan의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25-(OH)2D3와 함께 전처리 된 비활성 연골 세포는 어떠한 전처리도 받지 않았던 비활성 연골세포처럼 반응했다. 이러한 결과는 녹용약침이 직접적으로 비활성 연골 세포를 활성 연골세포로 성숙시키는데 관여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러므로 녹용약침은 연골내 골화과정에서 연골세포의 성숙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ioactive Functions of Detoxified Puffer Liver Oil (제독처리한 복어 간유의 생리활성)

  • 최종원;김나영;김동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7
    • /
    • pp.1126-1131
    • /
    • 200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toxified puffer liver (PL) oil on fatigue, hepatotoxicity and hyperlipidemia. There are no toxicities in both raw and purified PL oil. The test of swimming time was extended in detoxified PL oil pre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When rats treated with PL oil, the hepatic injurie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or DL-galactosamine were reduced. The increased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by poloxamer-407 were lowered by treating with PL oil remarkably. Also the bleeding time of hyperlipidemic animals was extended and plasma clotting time was delayed by PL oil.

Involvement of Early Growth Response Gene 1 (EGR-1) in Growth Suppression of the Human Colonic Tumor Cells By Apigenin and Its Derivative Isovitexin (Apigenin과 대사물 isovitexin에 의한 인체 대장암세포의 세포활성 억제효과에 있어서의 EGR-1의 역할 연구)

  • Moon, Yu-Seok;Cui, Lei-Guang;Yang, H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1 s.81
    • /
    • pp.110-115
    • /
    • 2007
  • It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that transcription factor early growth response gene product 1 (EGR-1)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ge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at EGR-1 induction by phytochemical apigenin and its derivative isovitexin can mediate the growth suppression of the intestinal epithelial tumor cells. Apigenin and isovitexin induced EGR-1 gene expression both in the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Moreover the induction was relatively late around 9-12 hr after treatment of HCT-116 cells, while several anti-inflammatory agent such as NSAIDS and catechins elicit the ECR-1 gene expression at much earlier time about 1-3 hr after treatment. In terms of signal transduction, ERK1/2 was critical for apigenin-induced EGR-1 gene expression and its promoter activation. When EGR-1 gene expression was blocked with EGR-1 small interference RNA, the cytotoxicity of apigenin in the human epithelial cells was attenuated,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EGR-1 in the anti-tumoric activity of apigenin. To link the EGR-1 induction to EGR-1-regulated gene products in colon cancer, NSAID-Activated Gene 1 (NAG-1) was demonstrated to be elevated by apigenin and isovitexin at 24-48 hr after treatment. Taken together, apigenin-activated ERK1/2 mediated EGR-1 gene induction, which was associated with suppression of the cellular viability by apigenin comp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