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분산

Search Result 3,00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sunami Propagation Model Using Boussinesq Equation (Boussinesq 방정식을 이용한 지진해일 전파모형)

  • Song, Min Jong;Ha, Tae 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7-57
    • /
    • 2011
  • 지진해일은 진행속도가 빠르고 파장이 길며 파형의 변화 없이 먼 거리를 진행 할 수 있어 주변지역은 물론 멀리 떨어진 지역에도 심한 범람피해를 야기시킨다. 지진해일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장파와 단파가 합성되어 있고 먼 거리를 전파할 경우 분산효과의 역할이 중요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동해안에 영향을 주는 지진해일은 단주기파 성분이 강하고 파장에 비해 먼 거리를 전파하기에 분산을 고려하는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지진해일 전파모의를 위한 모형은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의 복잡한 계산과 계산시간이 길다는 단점 때문에 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고 분산효과는 수치분산을 이용하여 고려해왔다. 지진해일 해석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기존의 leap-frog 유한차분 모형(Imamura et al., 1988; 조용식, 1996)은 지배방정식으로 선형 천수방정식을 사용하고 파의 분산효과는 수치분산을 이용하여 고려하므로 정해진 시간 간격에 대해 수심에 따라 격자 간격을 적절히 선택해야 하는데 수심이 복잡하게 변하는 경우 격자간격 조정이 불가능하여 분산효과를 정도 높게 고려할 수 없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윤성범 등(2004)은 파동방정식의 인위적인 분산항을 이용하여 Boussinesq 방정식의 분산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능동적인 분산보정기법을 제안하였고 Cho et al.(2007)는 일정한 수심에서 수치적인 분산오차가 Boussinesq 방정식의 물리적인 분산항을 대체하도록 수심, 격자 간격 및 계산 시간 간격 사이의 관계식을 유도하고 Boussinesq 방정식의 분산항과 일치하는 수치분산을 이용하여 실용적인 분산보정기법을 개발하였다. 이에 Ahn(2010)은 현재 컴퓨터의 계산 능력이 향상되어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직접 차분하여 계산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여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직접 차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원해 지진해일 전파모의에 이용되어왔던 선형 천수방정식에 수치분산을 고려한 모형 대신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의 유한차분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기존의 선형 Boussinesq 방정식 모형의 격자와 수심간의 제약을 없애기 위해 차분 기법을 달리 한 2차 정확도의 유한차분 모형을 제안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의 해석해(Carrier, 1991)와 비교하였다.

  • PDF

주식수익률(株式收益率) 분산(分散)의 시간(時間) 변동성(變動性)에 관한 연구(硏究)

  • Sin, Jae-Jeong;Jeong, Beom-Seo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0 no.2
    • /
    • pp.263-301
    • /
    • 1993
  •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분산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여 이분산적(異分散的)이며, 시계열상관(時系列相關)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정(一定)한 분산을 가정하여 주식수익률(株式收益率)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기존의 모형들은 주식수익률(株式收益率)을 예측하는데 편의(偏倚)(bias)를 가지게 되며, 또한 투자자(投資者)들에게 정확한 위험측정(危險測定)의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식수익률(株式收益率)의 분산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종합주가지수(綜合株價指數) 및 규모별(規模別) 지수(指數)를 사용하여 ARCH 및 GARCH 모형을 추정하였다. 또한 기대수익률(期待收益率)과 조건부(條件附) 분산(分散)사이의 다기간(多期間)(intertemporal) 관계를 ARCH-M 및 GARCH-M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도 유의적인 ARCH 및 GARCH 효과, 즉 주식수익률이 매우 이분산적(異分散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대수익률(期待收益率)과 조건부(條件附) 분산(分散)사이의 관계에서 ARCH-M 모형과 GARCH-M 모형의 추정결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로 조건부(條件附) 분산모형(分散模型)을 통하여 기대수익률(期待收益率) 및 분산(分散)의 움직임을 더욱 잘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주식수익률(株式收益率) 및 분산(分散)의 예측에 더 좋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attentional dispersion, reason for waiting, and cue of time flow on the estimation of waiting time (주의분산, 기다림의 이유, 시간 단서가 기다림 시간 추정에 미치는 영향)

  • Lee, Go-Eun;Shin, Hyun-J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3 no.1
    • /
    • pp.73-95
    • /
    • 2012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how the factors of attentional dispersion, reason for waiting, and cue of time flow affect the perceived waiting time. In experiment 1,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aiting experience that Maister(1985) suggested, levels of attentional dispersion and whether or not offering a reason for waiting were manipulated. Participants estimated elapsed time(the objective time was 10 minutes) using either prospective or retrospective estimation method. Overall results were that they overestimated the elapsed time regardless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However, both main effects of the attentional dispersion and the reason for wait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when attention was more dispersed and when the reason was given, overestimation of elapsed time was reduce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estimation methods, and none of the interaction was significant. Experiment 2 was a replication of Experiment 1 except that a cue of time flow was added by using scroll bar on a computer screen. Because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ue can help us to manage the waiting time and result i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ime estimation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main effects of the attentional dispersion and the reason for waiting were significant as those in Experiment 1. In addition, main effect of time estimation method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were also significant. None of two-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That is, the perceived waiting time is much shorter in the retrospective method, and the effects of the attentional dispersion and the reason of waiting were dependent upon the estimation methods. Both experiments showed that offering a clear reason for wait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attentional dispersion in reducing the perceived waiting time.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 PDF

The Effect of dispersion $BaTiO_3$ Powder on microstructure ($BaTiO_3$ 분말의 분산이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 박상선;이미재;최병현;백종후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184-184
    • /
    • 2003
  • 고성능 전자부품 개발이 진행되면서 나노크기의 분말에 대한 합성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 나노크기의 입자는 그 기능이 기존 fm크기의 입자에 비해 뛰어나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으로 응용된 예는 거의 없는 실정인데 이는 나노크기의 입자라 할지라도 응집이 되어 있거나 작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집된 BaTiO$_3$분말에 분산제와 함께 고속볼밀을 하여 이에 따른 분산 효과와 tape casting을 위한 최적 분산 안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산제의 종류와 볼밀시간에 따른 분산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zeta potential 값을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분산제의 종류와 볼밀시간에 따라 분산효과가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산된 분말에 대해 다른 분자량을 가지는 PVB와 상용바인더를 사용하여 tape casting하였다.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슬러리의 특성이 변화하였으며 분자량이 다른 PVB를 사용하여 성형한 시편을 소결하여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PDF

그룹과업의 분석 방안

  • 민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671-688
    • /
    • 1998
  • 본 논문은 작업그룹의 과업을 수행하는 인지적 과정을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그룹의 인지현상을 연구하는 분산인지이론을 검토하고, 기존의 개인 과업 분석 방법론중의 하나인 GOMS를 확장하여 그룹에 적용할 수 있는 분산형 GOMS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한 분산형 GOMS 방법론을 작업그룹의 실제 사례인 원자력 발전소의 주 제어실 운전반의 한 과업에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를 제시한다. 각 구성원의 업무 수행 시간, 의사소통시간, 최대인지 부하등을 기초로 작업그룹의 업무 수행시간과 인지 부하의 ?형도를 계산하여 그룹의 과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Transition Rules of DATM movements for Analysis of Mobile Distributed Real-Time System (이동 분산 실시간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한 DATM 이동 전이 규칙)

  • 이정희;박지연;박주호;이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31-33
    • /
    • 2002
  • 이동 분산 실시간 시스템(MDRTS:Mobile Distributed Real-Time System)은 특정 시간 내에 분산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교환 및 요구된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경로, 시간 및 속력에 관한 제약사항에 따라 머신이 이동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은 MDRTS에서 발생되는 머신의 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PATM[1]에 위치 공간 개념을 추가하여 확장한 DATM(Distributed Abstract Timed Machine)을 정의한다. 머신의 이동과 이동을 제약하는 사항들, 경로, 시간 및 속력 등을 나타내는 표현법을 정의하며, 각 제약 사항에 따른 이동에 관한 규칙을 기술한다.

  • PDF

An Error Concurrency Control System for Web Based Multimedia Application Sharing Environment (웹 기반 멀티미디어 응용 공유 환경에서 오류 동시성 제어 시스템)

  • 고응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499-501
    • /
    • 2004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오류 문제를 위한 동시성 제어란 모든 시스템에 분산 시계를 설정하고 명령어에 분산 시계에서 받은 생성 시간(issuing time)을 실어 순서화 분산된 다른 시스템에게 명령어의 발생과 발생 시간을 알린다 발생된 명령어는 자신의 명령어를 먼저 실행하고, 다른 곳에서 도착한 명령어의 시간 값이 다를 경우에만 뷰를 재 생성한다. 이를 통해 비록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성 제어 부담을 간접적으로 제거하고 사용자에서의 반응성을 증진시켰다. 즉, 오류 발생 시에 오류도 하나의 명령어로 취급하고 명령어와 오류가 동시에 발생할 시에 명령어를 순서화해 주는 문제에 대한 시스템을 기술한다.

  • PDF

Automatic Recognition of Pitch Accent Using Distributed Time-Delay Recursive Neural Network (분산 시간지연 회귀신경망을 이용한 피치 악센트 자동 인식)

  • Kim Sung-Su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6
    • /
    • pp.277-281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the automatic recognition of pitch accents over syllables. The method that we propose is based on the time-delay recursive neural network (TDRNN). which is a neural network classifier with two different representation of dynamic context: the delayed input nodes allow the representation of an explicit trajectory F0(t) along time. while the recursive nodes provide long-term context inform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itch accentuation in spoken English. We apply the TDRNN to pitch accent recognition in two forms: in the normal TDRNN. all of the prosodic features (pitch. energy, duration) are used as an entire set in a single TDRNN. while in the distributed TDRNN. the network consists of several TDRNNs each taking a single prosodic feature as the input. The final output of the distributed TDRNN is weighted sum of the output of individual TDRNN. We used the Boston Radio News Corpus (BRNC) for the experiments on the speaker-independent pitch accent recognition. π 1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ed TDRNN exhibits an average recognition accuracy of 83.64% over both pitch events and non-events.

Decentralized fuzzy output feedback controller for nonlinear interconnected system with time delay (시간 지연이 있는 비선형 상호 결합 시스템의 분산 퍼지 출력 궤환 제어기 설계)

  • Gu, Geun-Beom;Ju, Yeong-Hun;Park, Ji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377-380
    • /
    • 2008
  • 본 논문은 시간 지연을 가지는 비선형 상호 결합 시스템에 대한 분산 퍼지 출력 궤환 제어기를 제시한다. Takagi-Sugeno (T-S) 퍼지 모델링을 통하여 비선형 상호 결합 시스템을 퍼지 모델로 표현한다. 상호 결합 시스템의 하위 퍼지 시스템을 안정화 시킬수 있는 분산 출력 궤한 제어기를 설계한다. 폐루프 하위 시스템들의 안정도 조건을 선형 행렬 부등식으로 나태내고, 부등식을 이용하여 제어기의 이득값을 구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시간 지연이 있는 비선형 상호 결합 시스템에 대한 분산 퍼지 출력 궤한 제어기의 효용성을 평가한다.

  • PDF

Clock Synchronization and Biped Robot control application based-on TMO-eCos (TMO-eCos 기반 클럭 동기화 설계 및 2족 보행 로봇 제어 응용)

  • Oh, Yong-Seok;Kim, Jung-Guk;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372-376
    • /
    • 2007
  • 분산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로세서들로 구성되며, 시스템 내의 각 프로세서는 고유한 클럭을 갖는다. 글로벌 시간 기준으로 볼 때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유지하는 시간은 분산시스템 각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관성 있는 시간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TMO-eCos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각 분산 시스템간 발생할 수 있는 클럭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클럭 동기화 기법에 관해 논한다. 점진적인 클럭 동기화 알고리즘을 구하기 위해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글로벌 클럭으로 가정하고 슬레이브 노드들은 마스터 노드의 클럭으로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의하였다. 정의한 알고리즘을 시현하기 위한 분산 노드 간 로봇 제어 프로그램을 소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