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 효과

Search Result 2,27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n Analysis of Visual Effects of ASMR : Focused on Animation 「Sonagi」 (ASMR의 시각적 효과 분석 : 애니메이션 「소나기」를 중심으로)

  • Kim, Jae-Woong;Koo, Bo-Roo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46-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effects of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found in animations. So far, ASMR contents have been produced in one-person media or advertising contents with particular purposes. Unlike that, in animations, they have been produced in intuitive forms mainly for delivering messages. From the 2000's, however, gradually, animations intended for both appreciation and comfort and healing appeared,and such effects are similar to those of ASMR conten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visual effects of ASMR focusing on the Korean animated "Sonagi"(2017).

A Measurement Algorithm for the Cornea Curvature in Automatic Refracto-Keratometer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의 각막 곡률 측정 알고리즘)

  • Sung, Won;Park,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517-519
    • /
    • 2002
  • 본 논문은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의 전자 부문에 연동될 곡률 측정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만약 자동화된 시스템이 광학계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이용하여 내부 처리를 거친 후 정확 시각 측정치를 검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면 잘못 측정되는 측정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형태학적 필터링(morphological filtering)과 그레이-레벨의 신호 강조(signal enhance) 기술들을 이용하여 자동시각 굴절력 곡률계에 연동될 각막 곡률 측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알고리즘에서는 광학계로부터 도출된 링 모양 광원의 화상을 처리하기 위해서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에 굴절력 측정을 위해서 6개의 점으로 구성된 화상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변형 적용시킨다. 이 때 링의 띠를 6개의 덩어리점으로 변형하는 과정만을 제외하면 굴절력 화상을 처리하는 방식과 같게 된다. 이는 알고리즘의 간결화와 측정 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하여 본 각막 곡률 측정 알고리즘은 정한 측정 값 도출이 어려운 시각 영상에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오차를 줄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시각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Special Effects to TV Dramas; Focus on , (시각특수효과의 드라마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태양의 후예>,<미스터션샤인>을 중심으로-)

  • Chung, Tae-Sub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3
    • /
    • pp.400-406
    • /
    • 2019
  • This study will explore the reenactment of visual special effects used in TV dram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images that are reproduced in visual special effects through and . Accordingly,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way TV dramas were produc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market. Also, we looked at cases of visual special effects of Korean dramas, and looked at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visual special effects.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argets, the images of reproducibility and the flow through reality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 the period setting is realistic, but visual special effects were used to maximize the actor's safety and expression, and in the case of , the visual effects were used to maximize the aesthetic of the period backgroun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visual special effects were used for the effect of PPL on the export of images. This shows that the emphasis of reality and image montage techniques are being used to pursue hyperrealism. It is now possible to actively express and use the beauty of TV dramas rather than technical limitations. In addition, the pursuit of realism can actively express the changing times of digital age. This is an active representation of the camera's angle, lighting, and perspective that coincides with the background. The environment of video production is crucial for realistic expressions. The study examined various visual directions and applications. In TV images, we looked at reproduction, which can make a natural period of time by combining. As a follow-up study, we are going to study the changes in the new quadratic image based on the present image representation.

The Effects of Visual Rhythmic Stimulation in Gait and Proprioception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시각리듬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 Cho, Nam-Jeong;Lee, Dong-Yeop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98-901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 운동을 적용하여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14m의 보행로가 확보된 공간에서 준비운도 5분, 보행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 씩 주 3회, 4주간 12회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의 운동프로그램과 같은 조건에서 보행운동시 시각리듬자극(RVS)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운동 전과 후에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리듬자극(RVS)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분속수, TUG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고유수용성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적 요소인 시각리듬자극 (RVS)이 정신적 육체적 기능을 상실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 of Visual Cues in eWO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위험지각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의 시각적 단서의 조절효과)

  • Ahn, Sun Young;Hong, JungHw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1
    • /
    • pp.281-288
    • /
    • 2018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visual cues in eWO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the study tested th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moderating effect in positive and negative eWOM. Two studies from a 2 (perceived risk: high vs. low) by 2 (visual cue: presence vs. absence) experimental design were used with online subjects. Findings from study 1 (n=123) supported that visual cues in positive eWOM help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risk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study 2 (n=122) showed that visual cues in negative eWOM intensify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risk on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visual cues in eWOM influence consumers' decision under high risk conditions. We discussed findings of this study how visual cues in positive and negative eWOM can be strategically managed for new online sellers.

인적판매원을 활용한 구매시점고광고 연구: 정보전달형태에 따른 효과 분석

  • Park, Sun-Chan;O, Sang-D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54-15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자극하고, 판매를 촉진시켜주는 구매시점광고(POP Ad: Point Of Purchase Advertising)의 소매판매 유통점 활용영역에서 정보전달형태 변화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의 배경과 방법은 통상의 구매시점광고가 정보전달 방법에 있어서 소비자 구매활동 장소 내 외에서 단순 비치, 설치된 상태로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착안, 광고소구형태를 시각, 청각 그리고 인적판매원이 관여된 혼합(시각, 청각)형으로 분류하여 정보를 전달 한 후 소비자의 태도 및 매출 비교를 위해 실증적 실험을 했다. 본 연구의 핵심 가설은 '인적판매원이 개입된 혼합형(시각, 청각) 구매시점광고가 소비자 태도(신뢰도/호감도/구매의도) 및 매출( + / -)영향도가 더욱 높게 나타날 것이다'이다. 이는 소비자에게 시각, 청각이 동시에 전달되는 혼합소구유형은 정보전달력이 우수하고, 광고 효과성이 높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격 연구 전에 실시한 1차 사전적 실증 실험결과 소비자가 지각하는 관점에 따라 시각형(광고의 정보내용을 인쇄물로 제공), 청각형(광고의 정보내용을 소리전달형태로 제공), 시각, 청각 혼합형(인적판매원이 시각형 정보를 활용 광고내용을 직접 전달)분류한 3가지 유형간 정보전달 효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생계형 소매유통 창업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이 구매시점광고를 광고의 활용측면에서 능동형 마케팅 활동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사례 분석을 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업종별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소상공인들의 마케팅 환경은 열악하다. 마케팅 전담 인력의 부재, 마케팅 지식의 부족, 전방위적 마케팅 전개 시간의 한계 등으로 인해 체계적으로 마케팅활동을 펼 칠 수 없는게 현실이다. 이에 현장 활용성이 높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구매시점광고의 광고정보전달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고 보며, 이에 관한 지속적인 후행적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Visual Expression Effect by Digitization of Embroidery Design (자수 디자인의 디지털화에 의한 시각적 표현효과)

  • Kyung Ja Pae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407-41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various methods to easily affix unique embroidery effects to clothes due to the current expansion of digital fashion technology. A comparison of design techniques using virtual and real clothing was used to show the visual expression of embroidery designs. Actual embroidery motifs were created using a computer embroidery machine, DTP embroidery motifs were made by utilizing digitalization techniques, and digital motifs were produced. Then patch pocket type T-shirts were produced using each embroidery technique to compare the visual expression effects on clothing. The results of this comparison are as follows: for real clothing color (3.5), texture (4.0), gloss (3.8), and thickness (3.5). It was found that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embroidery floss was visually sufficiently show the design texture and gloss. In terms of the embroidery design on virtual garments, the resutls of color (3.8), texture (4.3), gloss (3.9), and thickness (3.6) showed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o the non-virtual results, confirming that digitized embroidery motifs are also a tool that can fully realize unique embroidery effect.

A analysis on visualization of advertisements for domestic real estate through Otto Kleppner′s visualization model (Focused on the creative of advertising in newspaper) (Otto Kleppner의 시각화 모델을 통한 국내 부동산광고의 시각화 분석(신문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중심으로))

  • 박광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2
    • /
    • pp.27-36
    • /
    • 2002
  • As interpretation of descriptive illustrations without caption differs from each viewer, it is deemed that the effect of attention is represented differently and the acceptance level of any advertisements will be ultimate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sualization method of concept in the crea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reality and status of visualization for real estate ads in newspapers via visualization analysis through Otto Kleppner's visualization model and to reasonably and efficiently conduct creative of real estate ads by representing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based on the surrey. These activities are to more efficiently produce real estate ads, which occupy a relatively important portion in newspaper ads.

  • PDF

An Efficient Processing Technique for Similarity based Visual Queries (효율적인 유사 시각질의 처리)

  • Hwang, Ju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 no.1
    • /
    • pp.1-14
    • /
    • 2000
  • Visual information retrieval and image databases are very important applications of spatial access methods. The quaries for these applications are visual and based not on exact match but on dubjective similarity. The individual aperations of spatial access methods are much more expensive than those of conventional one-dimensional access methods. Also, because the visual queries are much more complex than textual queries, an efficient processing technique for visual queries is one of the critical requirements in the development of large and scalable image databases. Therefore, efficient translation and execution for the complex visual queries are not less important than those of textual databas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our cognitive and topological studies that are required to process subjective visual queries effectively. Then, we propose an efficient translation and execution techniques for similarity based visual queries by conducting these related studies.

  • PDF

A research on feedback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sensory modality for attention recovery (집중력 회복을 위한 감각 모달리티 별 피드백에 대한 연구)

  • Hyun, Hye-Jung;Whang, Min-Cheol;Park, Jun-Seok;Lee, Yoon-Joung;Kim, Young-Joo;Kim, Jong-Hw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37-142
    • /
    • 2007
  • 한정된 주의력 자원을 회복 시키기 위한 방법 중 피드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피드백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집중력 회복의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집중력을 회복할 수 있는 감각적 자극 중 정서적 피드백 간의 효과 차이를 분석 하였다. 집중력을 평가하기 위한 온라인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각, 청각, 촉각 피드백 자극을 제시하여 각각의 감각자극과 집중력 회복의 효과를 분석 하였다. 실험 참여자의 감각 피드백의 선호도에 따른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후 주관적 설문을 실시하였다. 감각 피드백을 6명의 대학원생에게 일주일에 걸쳐 반복적으로 약200개의 자극을 제시하고 5회 이상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30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피드백 별 수행 수준에서는 청각, 촉각, 시각 순으로 효과가 높았으며, 반응 시간에서는 촉각, 청각, 시각 순으로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