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피로도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Human Fatigue Inferring using Bayesian Networks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간의 피로도 추론)

  • Park, Ho-Sik;Nam, Kee-Hwan;Han, Jun-Hee;Jung, Yeon-Gil;Lee, Young-Sik;Ra, Sang-Dong;Bae, Cheol-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1145-1148
    • /
    • 2005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probabilistic model based on Bayesian networks (BNs) for inferring human fatigue by integrating information from various visual cues and certain relevant contextual information. Visual parameters, typically characterizing the cognitive states of a person including parameters related to eyelid movement, gaze, head movement, and facial expression, serve as the sensory observations. But, an individual visual cue or contextual Information does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to determine human fatigue. Therefore in this paper, a Bayesian network model was developed to fuse as many as possible contextual and visual cue information for monitoring human fatigue. At the experiment results, display the utility of the proposed BNs for predicting and modeling fatigue.

  • PDF

Visual Fatigue Evaluation using Eye-movement Detection for Stereoscopic Video (안구 운동량 검출을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시각적 피로도 측정)

  • Choi, Sunghwan;Kim, Donghyun;Choi, Jaeseob;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145-14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스테레오 영상에서의 시각적 피로도와 안구의 운동량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시각적 피로도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측정 방법은 3차원 스테레오 영상 시청자의 피로도가 누적되었을 때, 안구의 단속성 운동(saccade)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을 둔다. 액티브 셔터글라스 방식의 3D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의 동공을 검출하고 추적하기 위해 적외선 광원 및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다. 획득한 영상에 대해 이진 임계화를 적용하고 타원 피팅을 수행하여 동공의 위치를 검출한다. 피팅된 타원의 이심률과 크기 및 위치를 제한하여 검출 오류를 줄인다. 검출된 동공의 위치를 바탕으로 안구의 단속성 운동량을 측정한다. 실험에는 변이 정도가 크지 않아 편안하게 시청 가능한 스테레오 영상과 과도한 변이를 가져 시청하는데 불편한 영상이 분리되어 사용되었다. 이들 영상에 대해 각각 실험자의 단속성 운동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안구의 단속성 운동량이 변이가 큰 영상에서 그렇지 않은 영상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PDF

Clinical Consideration of Visual Fatigue on 3D Images (3D 영상 시청에 대한 시각적 피로도의 임상적 고찰)

  • Kim, Jung-Ho;Son, Jeong-Sik;Park, Sung-Jin;Kwon, Soon-Chu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11
    • /
    • pp.990-999
    • /
    • 2013
  •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theoretical evidence and based on the empirical data have been constantly revealing related factors affecting visual fatigue in viewing 3D images. however, the measurement data coupled with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iewers to feel fatigue is insufficient. this study research that the viewers feel the visual functional data is based on subjective fatigue such as IPD, AC/A ratio, and the degree of phoria and the effects on variance in these data,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data. based on the average score of subjective fatigue which is $6.00{\pm}3.88$, total fatigue points from 0 up to 6 is classified as a group not appealing for the fatigue and from 7 up to 16, they were classified as the fatigue appealing group. the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the images by each subjective fatigue, IPD and far phoria. AC/A ratio was higher from the fatigue not appealing group, near phoria was higher from the fatigue appealing group. after watching 3D images, the fatigue not appealing group showed a tendency of higher increase of exophoria. correlations appeared in this experiment showed that AC/A ratio and near phoria are closely related to level of subjective fatigue which feel when watching 3D images. when watching 3D images based on two data appear to be able to predict the fatigue, even during content production fatigue reduce the data dimensions to be used as the main basis is expected.

Measuring Visual Fatigue of Glasses-free Interactive 3D System Under Various Viewing Conditions (다양한 시청환경에 따른 무안경식 interactive 3D 시스템의 시각피로도 측정)

  • Kim, Jung-Yul;Li, Hyung-Chul O.;Kim, ShinWo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8 no.3
    • /
    • pp.425-434
    • /
    • 2013
  • Observers usually experience visual fatigue when they watch contents displayed on 3D display. There has been various research on visual fatigue incurred in stereoscopic displays that use 3D glasses, but relatively less studies have been done in the area of autostereoscopic displays. i3D system refers to interactive 3D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for users to interact with contents using their hands. Current research measured visual fatigue that users experience from i3D under various visual environments. We examined the effects of viewing distance, disparities and visual orientation on visual fatigue in i3D. The results indicated that visual fatigue decreased with longer distance and smaller disparity. Visual fatigue increased with angle when 3D fusion was unstable. In addi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ngle and distance in which visual fatigue increased with distance under stable 3D fus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sual fatigue as a function of distance when 3D fusion was unstable. These results would be importantly used to develop autostereoscopic displays that minimize visual fatigue.

VDT 화면에서의 한글 글자크기와 서체에 따른 시각성능

  • 황우상;부진후;이동춘;이상도;이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04a
    • /
    • pp.150-155
    • /
    • 1997
  • VDT의 한글 화면을 탐색하는데 있어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한글 VDT 화면의 표준지침 선정의 기초자료로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영어와 한글의 글자체계에는 차이가 있어 외국의 연구결과 및 표준지침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한글 글 자체계에 대한 쳬계적이고 인간공학적 연구가 시급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자크기와 서체(font)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시각성능과 관련하여 최적의 수행도 및 피로도를 경감하여 주는 서체와 글자크기 수준을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DT 화면에서 한글 고딕체가 명조체보다 사용자의 시각성능 및 수행도가 우수하다. (2) 초적의 수행도를 주는 글자크기는 명조체의 경우 35.4' .approx. 55.5', 고딕체의 경우 시각 39.8 .approx. 52.6'이다. (3) 우수한 수행도를 보이는 글자크기에서 피로도 저하율이 낮게 나타난다.

  • PDF

Technical Trend of Stereoscopic Content Production (입체 콘텐츠 제작 기술 동향 분석)

  • Kim, H.D.;Kim, H.S.;Jang, H.W.;Nam, S.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1
    • /
    • pp.13-24
    • /
    • 2011
  • 영화 "아바타"가 개봉되면서 입체 콘텐츠 특히 입체 영화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초기 국내에서, 스테레오 영상 제작 시도는 많았지만, 입체 영상을 단순히 한 쌍의 영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하여 잘못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 입체영상 제작 기술은 한 쌍의 영상을 인간의 양안에 각각의 영상을 보여주면 3차원으로 인식한다는 데 기술적 근간을 두고 있으나, 초기엔 실세계에서 인간이 인식하는 것과 유사하게 처리되지 않아 시각피로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본 원고에서는 "아바타" 영화와 같은 입체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어떠한 기술과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는지 살펴본다. 현재 입체 영상 획득 방식인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사로 촬영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그 결과 영상을 후반작업에서 보정하고 합성하여 시각피로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기술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PDF

2D and 3D Visual Information Measurement in terms of Entropy (엔트로피 관점에서 2D 와 3D 동영상의 시각적 정보량 측정방법)

  • Ahn, Sewoong;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8-10
    • /
    • 2015
  • 최근 2D 와 3D 콘텐츠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인하여 2D 와 3D 공간에서 사람이 인지하는 물체의 시각적 정보량을 정량화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이론에 기초하여 엔트로피 관점에서 2D 와 3D 영상의 시각적 정보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각적 정보량을 측정할 때, 기존의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집중영역(saliency), 시각세포의 불균형으로 인한 주변영역 흐림현상인 포비에이션(foveation), 양안합성(binocular fusion)등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이를 둔다. 2D 콘텐츠의 시각적 엔트로피는 단안시에 근거한 질감(texture) 엔트로피와 깊이 엔트로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3D 콘텐츠의 시각적 엔트로피는 2D 에서의 시각적 엔트로피와 양안시에 의한 깊이 엔트로피를 포함한다. 본 논문의 시각적 엔트로피는 2D 와 3D 영상의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 PDF

Effects of Total Sleep Deprivation on Visual Discrimination (전수면박탈이 시각변별력에 미치는 영향)

  • Lee, Heon-Jeong;Yang, Jae-Won;Lee, Bun-Hee;Ham, Byung-Joo;Suh, Kwang-Yoon;Kim, Leen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9 no.2
    • /
    • pp.122-126
    • /
    • 200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37-hour sleep deprivation on visual discrimination using the Cybernetic Flicker Fusion Analyzer (FLIMK) an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finding and various subjective scale scores. Methods: Twenty six subjects (20 men 6 women, $24.50{\pm}1.45$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remained awake for 37 hours under continuous surveillance. In the morning and evening of two study days, the FLIMK and the self-reporting scale of sleepiness, fatigue, anxiety and mood states were instituted. Results: In FLIMK, the flicker fusion threshol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leep deprivation (F=7.66, p=0.01). The number of trials (responses) before reaching fusion frequency thresho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leep deprivation (F=13.16, p=0.001). The reduction of fusion frequency wa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of sleepiness and fatigue (p<0.05), and the number of the trials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negative mood, anxiety, and fatigue (p<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37 hour total sleep deprivation cause the decrement in visual discrimination. The decrease of the fusion frequency after sleep deprivation was correlated with sleepiness and fatigu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nlighten the biological mechanism of the decrement in visual function after sleep depri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