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평가

Search Result 2,07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omparison of Modified-Modified Schober Test with Range of Motion in Evaluating Visual Analog Scale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요통 환자의 시각 통증 등급 평가에 있어서 Modified-Modified Schober Test와 관절 운동 범위의 비교)

  • Park, In-Shik;Byun, Hyuk;Jung, Chan-Young;Lee, Seung-Deok;Kim, Eun-Jung;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5
    • /
    • pp.97-104
    • /
    • 2007
  • 목적 : 요통 환자에서 Modified-Modified Schober Test (MMST)와 관절 운동 범위를 비교하여 시각 통증 등급 평가에 있어서 타당도의 우위를 추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요통으로 입원한 3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MMST, 관절 운동 범위 및 시각 통증 등급을 주 3회씩 입원 기간 동안 측정하였다. 각 측정 방법의 시행 순서는 무작위로 선택되었으며, 환자들은 맨발로 환자복을 입은 채 측정하였다. 결과 : 각 자료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가 사용되었다. 요추의 MMST 측정값(r=-0.61 ; 99%CI)이 요추의 신전 및 굴곡의 관절 운동 범위 측정값보다 시각 통증 등급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또한 요추의 MMST 측정값(r= -0.77 ; 99%CI)은 요추의 신전 관절 운동 범위 측정값보다 요추의 굴곡 관절 운동 범위 측정값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요통 환자의 평가에 있어서 MMST가 관절 운동 범위보다 높은 타당도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 Decision Monitoring System for Machine Learning Based Dispatcher of Manufacturing Lines (제조라인의 학습기반 디스패처를 위한 디스패치 의사결정 평가 시각화시스템)

  • Huh, Jaeseok;Park, Jonghu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5 no.1
    • /
    • pp.1-12
    • /
    • 2020
  • Recently, research using machine learning have shown remarkable results in various domains, leading to the fact that leaning-based dispatchers have intrigued interest in both academia and industr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ispatcher, each dispatch decision needs to be evaluated in detail. However, existing studies on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lines have mainly focused on illustrat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or abnormal patter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nitoring system that displays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manufacturing line along with alternatives at the time of each dispatching decision being made. Furthermore, the proposed system effectively represents the cause of the idle time of resources and the change of the performance index over time.

A Study on Colour Appearance along the Variance of Colour Stimulus and Background Lightness at Peripheral Vision (주변시 시각에서 색채 자극과 배경의 밝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연구)

  • Hong, Ji-Y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2
    • /
    • pp.19-25
    • /
    • 2018
  •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for digitally representing colours is essential for improving image qual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objectively analysing such approaches. Studies regarding display systems, which can reflect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associated international standards at the forefront, have already caused significant impact. Colou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employed for evaluating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displays. The proposed study focusses on colour properties which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peripheral vision area, with the primary objective of reproducing digital colours which can simulat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proposed study aims at identifying digital colour characteristics which can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background lightness and the size of colour stimuli.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btained through psychophysical experiments, a method has been proposed for determining peripheral vision characteristic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increasing size of a colour stimulus, thereby digitally reproducing them on displays.

Invisible Watermarking for Improved Security of Digital Video Application (디지털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향상된 보안성을 위한 비시각적인 워터마킹)

  • Seo, Jung-Hee;Park, Hung-Bo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0
    • /
    • pp.175-183
    • /
    • 2011
  • Performance of digital video watermarking is an assessment that hides a lot of information in digital video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ind a way that enables to store lots of bits of data into a high quality video of the frequency area of digital contents. Hence, this paper designs a watermarking system improving security with an enhancing watermarking based on invisible watermarking and embedding an watermarking on LH and HL subband and its subband by transforming wavelet after the extraction of luminance component from the frames of video by compromising robustness and invisible of watermarking elements. The performance analysis of security of watermarking is carried out with a statistic method, and makes an assessment of robustness against variety of attacks to invisible watermarking. We can verify the security of watermarking against variety of attacks by testing robustness and invisible through carrying out general signal processing like noise addition, lossy compression, and Low-Pass filtering.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on Forest Working Systems' Characteristics for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산림풍치자원관리(山林風致資源管理)를 위한 산림시업특성별(山林施業特性別) 시각선호도(視覺選好度) 평가(評價))

  • Song, Hyung So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8 no.3
    • /
    • pp.309-31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information toward forest working systems; characteristics in Larix forest stands. 35 different alternatives were simulated to visualize on basis of actual forest working methods. The options were illustrated as photos produced by computer software. Each alternatives were evaluated by 3 groups with total 593 respondents after reliability test.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was used 1 - 10 point rating scale. The ratings were scaled using SBE analysis program of RMRATE. To compare the relationship of visual preference and image scale, Spatial images of 13 thinning alternatives were measured by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n general, the respondents preferred refreshing and ordering forest stand after forest working to natural forest stand before forest working. Visual preference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intensity of bare ground area and slash area in forest stand. And also, visual preference was high related to tree density, clear length of stem, and ground vegetation. Farm line of small clear cutting area was preferred straight line to curve line. Visual preferenc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ain socioeconomic variables of the respondents. Results indicate how to conduct forest working system for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 PDF

KRISS와 MMIA 양방향시각비교 교정

  • Yang, Seong-Hun;Lee, Yeong-Gyu;Lee, Seung-U;Han, Ji-Ae;Lee, Cha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479-481
    • /
    • 2006
  • 1967년 시간의 기본 단위인 초가 세슘원시계에 의해 정의된 이후, 각 국의 표준기관에서는 보다 정확한 원자시계개발 연구와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정확한 시간척도(Time Scale)와 국제원자시를 생성하여 산업과 과학분야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필연적으로 국제간 시각비교 개선을 위한 연구도 함께 발전되어 왔다. 전파를 이용한 시각비교는 지상파를 이용하던 7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는고 1981년부터 GPS에 의한 시각비교 방법이 소개된 이후,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GPS 활성화에 따라 급격히 시각비교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GPS와 더불어 통신위성을 이용한 양방향 시각비교(TWSTFT)의 필요성에 따라 세계 선진 표준기관들은 이 방법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에서도 통신위성을 이용한 양방향시각비교를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지역과 비교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AS-8위성을 이용한 KRISS와 NMIA(호주)와 양방향시각비교를 수행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계산 또는 측정하여야하는 오프셋값을 결정방법으로 GPS와 Circular-T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Disparity-based Asymmetrical Filtering on Visual Fatigue in the Binocular Stereoscopic Video (변이 기반 비대칭 필터링의 양안식 스테레오 비디오에서의 시각피로에 미치는 영향 고찰)

  • Um Gi Mun;Ahn Chunghyun;Lee Soo-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49-152
    • /
    • 2003
  • 기존의 양안식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장면 내에 매우 큰 변이를 가지는 물체가 존재 할 경우에 시각피로를 유발하여 오랜 시간동안 시청하기가 어렵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변이 기반 비대칭 필터링 기법을 제안하고, 이 기법의 시각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고찰하며, 아울러 교차변이(crossed disparity) 및 비교차변이(uncrossed disparity)에 따른 시각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 또한 고찰하였다. 실험 결과, 변이기반 비대칭 필터링은 시각 피로의 측면에서는 비교차변이만 존재하는 영상의 경우에는 원래의 스테레오 영상에 비해 큰 영향이 없거나, 오히려 필터링 수준에 따라 오히려 시각적 피로가 심하게 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차변이의 경우에는 시파피로가 필터링 수준을 높임에 따라 조금씩 시각피로가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대칭 필터링에 의한 시각피로의 개선효과는 스테레오 영상 내 변이 종류와 그 크기, 시청자의 주시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앞 수 있었다.

  • PDF

Features Analysis of Character by Visual Types of Body and Temperament (체격기질유형의 시각적 모델에 의한 캐릭터의 유형특성 분석)

  • 김남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13-620
    • /
    • 2003
  • 애니메이션의 사전제작과정에서 캐릭터의 보다 효율적 제작, 분석, 평가을 위해 시각적 모델화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필요했다. 캐릭터의 체격과 기질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W. 셀던의 체격기질유형 이론으로부터 정형화된 분석 틀을 구축하여 개념을 시각화하고 유형분석 모델을 만들었으며, 또한 케이스 스터디를 위해 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캐릭터의 유형들을 분석함으로써 모델의 적용 가능성과 나아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서 표현된 외적 형상과 내적 기질의 상관성을 추론하여 실제 적용이 가능한 기초적 데이터가 되도록 하였다.

  • PDF

The orientation property of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시각 콘트라스트 감도 함수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김헌수;조경미;남궁지나;오은규;김정희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54-155
    • /
    • 2000
  • 인간이 인지하는 디스플레이 화질은 디스플레이 및 시각계의 시간적·공간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고 한다. 이때, 시각계의 공간 특성은 공간적 콘트라스트 감도 함수(Spatial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공간적 CSF, 이하 CSF로 표기)로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휘도 격자의 CSF는 휘도 및 시청 거리(디스플레이와 피험자간 거리)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CSF의 기본 특성에 대해 검토하고, 향후 이를 디스플레이의 화질평가 척도에 이용하는 것에 있다. (중략)

  • PDF

Modeling of Visual Attention Probability for Stereoscopic Videos and 3D Effect Estimation Based on Visual Attention (3차원 동영상의 시각 주의 확률 모델 도출 및 시각 주의 기반 입체감 추정)

  • Kim, Boeun;Song, Wonseok;Kim, Taejeong
    • Journal of KIISE
    • /
    • v.42 no.5
    • /
    • pp.609-620
    • /
    • 2015
  • Viewers of videos are likely to absorb more information from the part of the screen that attracts visual attention. This fact has led to the visual attention models that are being used in producing and evaluating video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re significant to visual attention and the mathematical form of the visual attention model. We then estimated the visual attention probability using the statistical design of experiments.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verifies that the motion velocity, distance from the screen, and amount of defocus blur affect human visual attention significantly. Using the response surface modeling (RSM), we created a visual attention score model that concerns the three factors, from which we calculate the visual attention probabilities (VAPs) of image pixels. The VAPs are directly applied to existing gradient based 3D effect perception measurement. By giving weights according to our VAPs, our algorithm achieves more accurate measurement than the existing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asurement is assessed by comparing them with subjective evaluation as well as with existing methods. The comparison verifies that the proposed measurement outperforms the existing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