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적 전이

Search Result 719,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Individual Difference Effects on Perceptual Skill Learning and Transfer (시각적 기술 학습과 전이에 미치는 개인차의 효과)

  • Rho Yun Jin;Lee Hee Seung;Sohn Young Wo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5 no.3
    • /
    • pp.1-14
    • /
    • 2004
  •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visual discrimination skill teaming and its transfer to novel stimuli. Individual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s having an analytic or holistic cognitive style, high or low working memory capacity, and high or low levels of rationality, experientiality, and adaptive decision-making styles. Participants received easy or difficult training for the serially presented discrimination task, and then transferred to novel discriminations. Training content interacted with cognitive style and working memory capacity to affect transfer accuracy performance, but individual differences in decision-making styles did not affect transfer performance. Results suggest individual differen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an interface for visual discrimination.

  • PDF

A Visual Analysis Tool for LOTOS Specifications (LOTOS 정형명세의 시각적 분석 지원 도구)

  • Jo, Su-Seon;Lee, Gwang-Yong;O, Yeong-Ba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2
    • /
    • pp.3117-312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LOTOS 정형 명세의 확인을 위한 시각적 분석 지원 도구의 개발을 소개한다. 이 도구는 대표적인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명세의 시각적 시뮬레이션과 시각적 확장 기능이 그것이다. 정형 기법 지원도구에서 명세의 분석을 위한 시각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시스템 개발에 실질적인 적용 사례가 드문 현실에서, 산업계 등으로 정형기법을 확산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형 기법 지원 도구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 부분을 소홀히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LOTOS 명세 작성자로 하여금 비주얼 전이 트리를 이용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명세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PDF

A Study of Leap Second Effects of GLONASS Time Transfer (GLONASS 시각 전송에서 윤초 적용 연구)

  • Yu, D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161-162
    • /
    • 2014
  • 전 세계 시각 연구실에서는 세계협정시(UTC)를 유지하기 위해 GPS 위성의 코드 신호를 이용해왔다. 최근 GLONASS 위성 시스템이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되면서 GLONASS 위성의 코드 신호를 이용한 시각 전송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에 GPS 와 GLONASS를 결합한 시각 전송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LONASS 위성의 코드 신호를 이용해서 GLONASS 위성과 관측 시스템간의 시각 오프셋을 추출하는 시각 전송 기법에서 윤초에 대해 소개하고 그 적용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ntrast-enhanced volume visualization of tumor based on adaptive opacity transfer function (적응적 투명도 전이함수기반 종양영역 대조도강화 볼륨가시화)

  • Song Soo-Min;Lee Joung-Min;Kim Kyeong-Min;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127-129
    • /
    • 2006
  • 본 논문은 종양을 주입한 쥐의 FDG-PET영상에서 정상세포보다 포도당대사가 활발한 종양조직의 3차원적 위치를 파악하고 잔여암 전이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3차원 볼륨 가시화기법을 제안한다. 종양조직과 주변조직의 시각적 대비를 크게 하기 위해 명암도 분포에 따라 조직을 여러 클러스터로 나눈 후, 적응적 투명도 전이함수를 사용하였다. 관심영역을 불투명하게 표현하고 조직간 투명도 변화량을 크게 줌으로써 잡음이 심한 PET 영상에서 전경영역과 배경영역을 구분할 수 있었고, 명확한 시각대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추후 명암도값 외에 영암도 기울기, 관심영역 우선순위 등을 고려한 다차원 전이함수기법으로 확장함으로써 종양영역의 경계를 더욱 강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항공기용 야간시각시스템의 기초설계 및 인증평가기술

  • Kim, Yu-Gwang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7
    • /
    • pp.71-94
    • /
    • 2004
  • 전 세계 항공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는 군사용 및 항공수송을 위해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많은 비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항공기 안전운행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항공기의 안전운행에는 다양한 기술적인 발전이 진행되어 왔고, 야간시각시스템(NVIS)의 발전 역시 항공기 조종사에게 주간과 유사한 시각적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운항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적시성을 증대시키며, 야간에 항공기를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해 조종사의 업무부아(work load)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큰 관심사가 되어왔다. 또한 이러한 NVIS를 활용한 기술은 현재 군용항공기 뿐만이 아니라. 민간용 항공기, 자동차, 카메라, 레저용 등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활용도 또한 커지고 있고, 수년 전부터 국내에도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어 왔기에 이러한 항공기용 야간시각시스템(NVIS)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향후 국내에서 개발/적용되는 항공기의 NVIS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Flight Path Visualization Using State Transition Information of Track (항공기 상태전이정보를 이용한 비행경로 시각화 기법 연구)

  • Song, Jin-Oh;Park, Tae-Jin;Kim, Jong-Seok;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172-177
    • /
    • 2007
  • 공중공간은 평면에 비해 넓고 많은 항공기들이 고속으로 비행하고 있다. 더불어 항공사고는 바로 대형사고로 이어지므로 공중상황 통제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항공기는 3차원 공간에서 복잡한 패턴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통제하기가 매우 어렵다. 통제를 위한 공중상황 정보는 시각화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나, 이를 운영하는 통제요원의 경험, 인지능력이 공중상황판단의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정확한 상황판단을 위한 정보제공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중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 비행경로를 이용한 시각화 기법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항공기는 정지하지 않고, 급격한 상태전이 없이 이동하므로 과거 비행자료를 통해 미래의 비행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즉 과거 상태정보와 현재 상황정보를 통합하여 시각화하면 비행패턴을 예측할 수 있어 정확한 공중상황 판단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실시간 자료를 분석하여 동적자료를 구분한다. 동적자료만으로 상태전이자료를 생성하고 비행경로 상에서 색상과 도형 및 기호화를 통해 시각화한다. 비행경로와 색상 및 기호화로 제공된 상태전이 시각화 정보는 항공기의 상승/하강, 가속/감속, 직진/선회, 기타 상태전이정보와 바람의 방향과 같은 공중 공간의 상황정보 둥을 제공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운용요원은 공중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신속하게 판다하여 통제함으로서 공중안전을 도모하고 통제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Visual Rhythmic Stimulation in Gait and Proprioception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시각리듬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 Cho, Nam-Jeong;Lee, Dong-Yeop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98-901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 운동을 적용하여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14m의 보행로가 확보된 공간에서 준비운도 5분, 보행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 씩 주 3회, 4주간 12회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의 운동프로그램과 같은 조건에서 보행운동시 시각리듬자극(RVS)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운동 전과 후에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리듬자극(RVS)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분속수, TUG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고유수용성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적 요소인 시각리듬자극 (RVS)이 정신적 육체적 기능을 상실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Visually Misprinted Ear Code Detection Method Using the Column Homogeneity of Bar Code (바 코드의 열 동질성을 이용한 시각적인 인쇄 오류가 있는 바 코드 검출 방법)

  • 이승재;김창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71-27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바 코드리더로 그 정보를 읽어 낼 수 있지만, 시각적인 인쇄오류가 있는 바 코드를 고속으로 검출해 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바 코드는 해당 제품의 제품정보 및 키를 저장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 들어 바 코드의 활용범위가 점점 넓어지게 되면서 잘못 인쇄된 바 코드로 인하여 차후에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인쇄된 바 코드가 공장에서 나가기 전에 바 코드가 정확하게 인쇄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상품이 아니라 고객카드와 같이 바 코드 소유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하는 경우는 개인이 자신의 카드를 소지하게 되므로 바 코드에 담겨있는 정보도 중요하지만 바 코드의 인쇄상태 또한 중요하다. 이는 바 코드리더로 제대로 읽혀진다 하더라도 시각적인 인쇄오류가 있는 경우 해당 고객으로부터 불만을 사게 되고 새 카드로 교체를 요구받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회사의 이미지 실추는 물론 카드 교체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보게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바 코드의 높이가 모두 동일한 1차원(선형)바 코드를 대상으로 바 코드의 열 동질성을 이용한 시각적인 인쇄오류가 있는 바 코드를 검출해 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Visual Contents for Korean Passive Verbs and Causative Verbs Education (한국어 피동·사동 교육용 시각 콘텐츠에 관한 연구)

  • Son, Joo-Hee;Kim, Eun-Jeong;An, Hee-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
    • /
    • pp.348-35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visual content for effective education of Passive verbs and Causative 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Passive verbs and causative verbs are contents that must be taught to intermediate level learners. However, it is recognized as a difficult item for both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because the realization pattern is complicated, and there is no rule to explain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and the instruction by suffix. In this article, the use of nonverbal information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was considered. Providing verbal and non-verbal information together in language education can be expected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In particular, visual content is non-verbal information that can positively affect memory enhancement, playback, and transi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lan and produce picture cards as visual materials. The picture card, produced with a focus on the correct education of Korean Passive verbs, will efficiently and significantly make Korean Passive verbs and Causative verbs teaching and learning by suffixes.

Human Vision System based Adaptive Watermarking Algorithm (시각적 특성에 기반한 적응적 워터마킹 알고리즘)

  • 전영민;고일주;김계영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1 no.6
    • /
    • pp.101-109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watermarking algerian technique concern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human. To embed watermark to an image, features such as contrast, brightness, and texture are used. The propose method adaptively select blocks and determine the position and intensity of watermark to be applied, concern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a human. The experiment involves cropping, image enhancement, low pass filtering, and JPEG compression, which are compared on detectability of watermark against image manipulation and att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