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적 변형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efrontal Activations and Picture Recognition of Same, Different, and Word-Studied Pictrues : a fMRI study (그림 재인에 관여하는 뇌 활성화 연구 : 동일 그림, 변형 그림, 및 단어 학습 그림의 인출 과정에 대한 fMRI연구)

  • 강은주;강혜진;이정모;김성일;이경민;나덕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43-48
    • /
    • 2000
  • 기억의 인출에 관여하는 전전두엽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해 지각적 친숙성 정도가 다른 재인 조건을 비교하고, 이에 관여하는 뇌의 활성화 양상을 fMRI로 측정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일조건; 그림으로 학습하고 동일한 내용의 다른 그림이 재인 단서로 주어지는 조건, 교차 조건; 단어로 학습하고 내용이 일치하는 그림이 재인 단서로 주어지는 조건이 비교되었다. 재인 수행(회상율, 정확도)은 동일 조건에서 가장 높앗으며 교차 조건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동일 조건 동안 양측 두정엽에서 가장 유의미한 활성화가 관찰되었으며, 상이 조건동안은 좌측 구조물들(Insular, 중 전전 두엽, hippocampal gyrus, 하두정엽 등)에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교차조건에서는 활성화가 좌우 시각 영역 및 두정엽의 연접부위 및 전두엽의 백질 부위(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그림의 인출과정에 우측 전두엽이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인출에 수반되는 하위 정보처리 과정에 따라 다른 뇌 영역이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좌측 insular, 좌측 하 전전두엽에 의해 매개된 lexical processing이 상이한 그림의 재인과정에(상이조건), 시각피질과 좌측 전전두엽의 상호작용이 시각적으로 제시되었던 단어를 그림 단서로 인출하는 과정에(교차조건)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Visual Effects of UV Lighting on Bodypainting (UV라이팅에 나타난 바디페인팅 시각적 효과)

  • Kim, Mi-Rim;Choi, Hee-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268-275
    • /
    • 2011
  • 21C digital culture is now affecting the life of arts and development through our system, as well as body arts and body painting. Body painting is not has been focused through our lives in 21stcentury as one genre. UV body painting is from short to long wave length that demonstrates to us the dimension by science and lighting showing more than 8 colors that are better off being set. From this research the theory of body painting considerate characteristics and vision for it. From the researchers line, dots, and side shows the UV body painting as a one piece of art and analyzing the 3D theory and once again showing vision through what it's affecting to their result.' UV body painting is usage of floral paints and using so called 'black light' that shows the short and long term wavelength that provides the 3D material, but first, this is different from normal body painting like dots, like, and layers shows more thoroughly and shows focused motive and you can easily tell the difference. As of all UV body painting is showing more 3D vision more than the design itself. From all this research, to all the body painters we await the future practical theory to be used and for the better future.

MPM-Based Angular Animation of Particles using Polar Decomposition Theory (극 분해 이론을 활용한 MPM기반의 입자 회전 애니메이션)

  • Song, Chang-yong;Kim, Ki-hoon;Kim, Sun-jeong;Kim, Changh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8 no.4
    • /
    • pp.13-22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ngle framework based on the MPM(Material Point Method) that can represent the dynamic angular motion of the elementary particle unit. In this study, the particles can have various shapes while also describing linear and angular motion. As a result, unlike other particle-based simulations, which only represent linear movements of spherical (e.g. Circle, Sphere) particle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visually dynamic motion of them. The proposed framework utilizes MPM, due to the fact that rotational motion can be decomposed and derived from large deformation. During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presented technique, a deformation gradient tensor is decomposed by polar decomposition theory for extracting rotation tensor. By applying this together with the linear motion of each particl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express the angluar and linear motion of the particle itself.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we show the simulation of rotating particles scattering in the wind field, and the interaction(e.g. Collision) between a moving object and them by comparing the traditional MPM

Motion Simplification using Joint Posture Clustering (JPC) (관절 자세 군집화(JPC)를 활용한 모션 단순화 기법)

  • Ahn, Jung-Hyun;Wohn, Kwang-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2
    • /
    • pp.42-50
    • /
    • 2004
  • 캐릭터 애니메이션 기술의 발달로 가상공간에 애니메이트되는 캐릭터의 수가 점점 증가되고 있으며, 캐릭터 자체 골격구조의 관절 개수와 캐릭터를 덮고 있는 메쉬의 폴리곤 개수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실시간 가상환경에서 다수의 캐릭터를 전처리 과정 없이 시뮬레이션할 경우 전체 군중시스템 성능의 저하가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션 다단계(motion level-of-detail) 기법을 제시한다. 모션 단순화 기법은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골격(관절)구조와 캐릭터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하(메쉬)구조를 단순화 하는 방법으로 기존 동작과 단순화된 동작의 차이를 최소화 한다. 골격구조 단순화를 위한 JPC(joint posture clustering)방법은 특정 관절의 연속된 모션 시퀀스에서의 유사 자세 집단을 추출하여 하나의 자세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모션의 특성에 따라 동적으로 관절을 단순화하여 관절 시뮬레이션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JPC방법은 골격구조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골격구조의 계층구조를 재 구축할 시간이 필요하지만, 기존 동작과 유사성을 잃지 않는 단순화된 동작 생성이 가능하다. 유사 자세 집단을 추출하기 위해 전체 모션 시퀀스에서 관절의 프레임간 자세 차이를 수식화하여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기존 동작의 유사성을 잃지 않으며 관절의 단순화 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실시간 군중 환경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에 따라 변형되는 캐릭터 메쉬의 단순화 기법을 적용한다. 실험결과 모션 다단계 기법은 실시간 군중환경에서 캐릭터의 수가 많고 복잡한 골격구조와 기하구조로 구성된 관절 궤적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동작에 대해 특히 효율적이다.

  • PDF

Robust 3D region tracking for multiview mixed-reality system (다시점 혼합현실 시스템을 위한 강인한 3차원 정합영역 추적기법)

  • 김장헌;손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93-495
    • /
    • 2002
  • 다시점 영상 부호화와 함께, 가상물체를 지능형으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정합할 위치를 강인하게 추적(tracking)하여야 한다. 기존의 특징추적기법은 시점이 확장된 시스템에서, 광원의 영향과 가려진 영역의 발생으로 인하여, 추적 할 수 없게 되거나 시각적 혼동이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다시점에 의한 정보의 급격한 증가는 시점간 움직임을 추적하여 정합하는 연산량의 추가적 발생을 초래한다. 이에 본 논문은 광원이나 가려진 영역(occtusion)의 영향이 적은 형상과 정보량이 많은 텍스쳐를 동시에 고려하여 영역의 변형에 따라 발생하는 최적 움직임을 예측하는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함으로써 사각영역을 추적한다. 이 때 미리 연산된 카메라 파라미터와 투영관계를 사용해 시점간에 가상 객체를 지속적으로 3차원 정합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특징추적 알고리즘에 비해 광원의 영향과 가려진 영역에 강인하며 정합의 오류가 적고 추적 할 때 시점간의 대응을 위한 연산을 줄이기 때문에 실감 혼합현실 시스템의 구현에 매우 효율적임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 PDF

A Modified Gaussian Model-based Low Complexity Pre-processing Algorithm for H.264 Video Coding Standard (H.264 동영상 표준 부호화 방식을 위한 변형된 가우시안 모델 기반의 저 계산량 전처리 필터)

  • Song, Won-Seon;Hong, Min-Che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2C
    • /
    • pp.41-48
    • /
    • 2005
  • In this paper, we present a low complexity modified Gaussian model based pre-processing filt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264 compressed video. Video sequence captured by general imaging system represents the degraded version due to the additive noise which decreases coding efficiency and results in unpleasant coding artifacts due to higher frequency components. By incorporating local statistics and quantization parameter into filtering process, the spurious noise is significantly attenuated and coding efficiency is improved for given quantization step size.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pre-processing filter, the simplified local statistics and quantization parameter are introduc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cap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Refined Piano Roll Music Interface for Mobile Environment (피아노 롤 표기법을 개선한 모바일 기기용 음표 입력 인터페이스)

  • Kim, Min-Woo;Jeon, Jae-Woong;Sohn, Ei-Sung;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237-239
    • /
    • 2011
  • 기존의 오선지를 이용하여 음악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오선 기보법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이 많은 양의 음악적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이러한 한계를 개선한 직관적인 음악 표기법 중에서 피아노 롤 표기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모바일 환경에서는 단말기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음표를 입력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월하지 않는 부정확한 입력이 이뤄졌을 경우 빠른 수정이 가능한 직관적인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옥타브 줌인/아웃과 함께 기존의 피아노 롤 표기법에서 사용되는 음표를 막대 모양으로 변형시켜 이를 사용자가 터치 앤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 모바일용 음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Modeling of Cloth Material for Garment Animation (의상 애니메이션을 위한 직물 소재의 모델링)

  • 이상곤;남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18-420
    • /
    • 2002
  • 980년대로부터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의상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유한요소 연속체 모델, 질량-스프링 모델과 같은 물리학적 모델이 등장하고, 수치적 적분법과 정확한 충돌 검사 및 반응처리를 접목하여 그럴듯한 옷감의 움직임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개 표준적 모양 변형을 다루었기에, 두께, 질감, 빳빳한 정도 등 소재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묘사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의류학을 통해 연구되어온 직물들의 소재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시뮬레이션 된 가상 옷감과 실제 옷감의 시각적 유사성 평가를 통한 직물들의 특성 파라미터 추출법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그 결과 대표적인 옷감 종류에 따라 구별되는 애니메이션 패턴을 생성 할 수 있었다.

  • PDF

The Body Understanding and Narrative Research of "I Am What I Am" (2021) (애니메이션 <웅사소년>(2021)의 신체에 대한 인식과 서사 연구)

  • Xu, Yi-Jia;Choi, Eun-K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172-180
    • /
    • 2022
  •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rrative of desire" advocated by Peter Brook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and presentation of the body narrative in I Am What I Am, combined with the "body situation" concept of Merleau-Ponty, the pioneer of body studies.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changes in the characters' physical and mental cognition in the film through the "desire narrative" and "visual body" proposed by body narratologist Peter Brooks. Secondly, this paper summarizes the physical and mental evolution of the coward-rebel-disciple-self-breaker experienced by the teenager, and analyzes the continuous plot composed of the body in time and space through the physical situation formed by time and space, that is, the visual presentation of the juvenile's personal body picture. So the protagonist's physical desire and visual body in "I Am What I Am" are the meta-driving forces of the narrative. The film presents the subject's physical desire in a visual way, and reproduces the deduction process of the body narrative through the body situation.shift from the common surreal, magical special effects, exaggeration, deformation and other techniques of commercial animations such as "Ne Zha: Birth of the Demon Child" (2019) and "Legend of Deification" (2020) to the true-life "I am What I am". "(2021), "To the Bright Side" (2022) and other visual experiences of the same kind marks breakthroughs made by Chinese animation and is of practical significance.

Improving Watching HDTV Environment by Analyzing Visual Perception of Character Graphics (문자그래픽 시각인지도 분석에 따른 HDTV시청환경 개선 연구)

  • Lee, Kook-Se;Moon, Nam-M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583-589
    • /
    • 2009
  • The new HDTV technologies provide crystal clear images and surrounding sounds for broadcasting screen in order to serve higher quality of broadcasting. They have four times the resolution of conventional TV and handle 16:9 wide screen aspect ratio images. Due to such technological shift, the function of Character Graphic has been particularly revaluated: it used to be only a subsidiary method to literally deliver visual images, but nowadays it is considered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capable of giving higher values to broadcasting programs.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changing its attributes such as fonts, sizes, colors, moving speeds to fit to bigger screen ratio and much more qualified images of HDTV. To meet such a need, Delphi surveys are made twice with three groups of TV production staffs: Art Directors, CG Designers and Production & Transmission team, these groups which are divided on the basis of their roles in broadcasting production process. With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this article analyzes how all of the attributes of Character Graphic have affected the media users' Visual Perception, and then, suggests a new format designed in OSMU(One Source Multi Use) by which TV character graphics can be properly transmitted to various media forma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