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ody Understanding and Narrative Research of "I Am What I Am" (2021)

애니메이션 <웅사소년>(2021)의 신체에 대한 인식과 서사 연구

  • 서예가 (세종대학교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애니메이션전공) ;
  • 최은경 (세종대학교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애니메이션전공)
  • Received : 2022.08.16
  • Accepted : 2022.09.28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rrative of desire" advocated by Peter Brook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and presentation of the body narrative in I Am What I Am, combined with the "body situation" concept of Merleau-Ponty, the pioneer of body studies.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changes in the characters' physical and mental cognition in the film through the "desire narrative" and "visual body" proposed by body narratologist Peter Brooks. Secondly, this paper summarizes the physical and mental evolution of the coward-rebel-disciple-self-breaker experienced by the teenager, and analyzes the continuous plot composed of the body in time and space through the physical situation formed by time and space, that is, the visual presentation of the juvenile's personal body picture. So the protagonist's physical desire and visual body in "I Am What I Am" are the meta-driving forces of the narrative. The film presents the subject's physical desire in a visual way, and reproduces the deduction process of the body narrative through the body situation.shift from the common surreal, magical special effects, exaggeration, deformation and other techniques of commercial animations such as "Ne Zha: Birth of the Demon Child" (2019) and "Legend of Deification" (2020) to the true-life "I am What I am". "(2021), "To the Bright Side" (2022) and other visual experiences of the same kind marks breakthroughs made by Chinese animation and is of practical significance.

본 연구는 피터 브룩이 주장한 '욕망의 서사'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신체현상학의 창시자 메를로 퐁티의 '신체적 상황'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웅사소년>에서 구현된 신체 서사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신체 서사학자 피터 브룩이 제시한 '욕망 서사'와 '시각적 신체'를 기반으로 몸과 마음에 대한 인물의 인식 변화를 분석했다. 다음으로, 주인공 소년이 허약한 사람-대항하는 사람-감시당하는 사람-자신을 초월하는 사람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와 같은 과정에 대해 시간과 공간으로 구성된 신체적 상황을 통해 분석했다. <웅사소년> 속 주인공의 신체적 욕망과 시각적 신체는 서사의 원동력이 되고 주인공의 신체적 욕망을 시각화하여 신체적 상황을 통해 신체 서사를 연출하는 과정을 재현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주로 시각적으로 미디어를 표현하는 애니메이션 가운데, 신체 서사로 중국 하층민 소년의 실제적인 삶을 그려낸 애니메이션을 분석했다. 또한 중국 애니메이션은 초현실, 특수효과, 과장, 변형 등 기법을 주로 사용하던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 <강자아(姜子牙)> 등 상업 애니메이션에서 탈피하여 점차 <웅사소년>, <향착명량나방(向着明亮那方)> 등 현실주의 애니메이션으로 발전했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난 시각적 경험으로 중국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baike.baidu.com/item/%E9%9B%84%E7%8B%AE%E5%B0%91%E5%B9%B4/54165487?fr=aladdin
  2. https://www.163.com/dy/article/GRGKCH3R0517DBIK.html
  3. 陈林侠, "<雄狮少年>:另一种励志故事," 电影艺术, Vol.1, pp.101-104, 2022.
  4. 徐晓霖, "空间.欲望.隐喻-论动画电影<雄狮少年>的现实主义创作," 东方艺术, Vol.1, pp.95-99, 2022.
  5. 贺希, "逢山开路: <雄狮少年>的现实主义创作探析," 电影文学, Vol.7, pp.146-149, 2022.
  6. D. Punday, Narrative Bodies: Toward a Corporeal Narratolog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104, 2003.
  7. Peter Brooks, Reading for the plot: Design and Intention in Narrative,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p.88, 1992.
  8. 欧阳灿灿, "叙事的动力学:论身体叙事学视野中的欲望身体," 当代外国文学, Vol.36, No.1, pp.146-153, 2015.
  9. 정미라, "욕망에서 문명으로: 프로이트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제53권, pp.27-50, 2019. https://doi.org/10.33156/PHILOS.2019.53..002
  10. 김용수, "유령의 시선: 오슨 웰즈의 <시민 케인>에 나타난 라캉의 응시와 '영화-눈'," 비평과이론, 제16권, 제2호, p.31, 2011.
  11. 모리스 메를로-퐁티, 남수인, 최의영 편,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p.189, 2004.
  12. M. M. Ponty, 姜志辉 译, 知觉现象学, 北京: 商务印书馆, pp.135-140, 2001.
  13. 이소희, "후기 메를로-퐁티 의 살의 존재론에서 본세계," 현상학과 현대철학, 제40권, p.18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