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장면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cene Change Detection and Visual Information Analysis for Soccer Video Indexing (축구 비디오 인덱싱을 위한 장면 전환 검출과 시각 정보 분석)

  • Shin, Seong-Yoon;Kang, Oh-Hyong;Moon, Kyung;Rhee, Y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90-294
    • /
    • 2001
  • 비디오 데이터를 인덱싱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장면 전환을 검출하여 키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키 프레임을 바탕으로 인덱싱 작업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 전환을 검출하기 위하여 컬러 히스토그램과 $\chi$$^2$히스토그램을 합성한 방법을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추출하고, 축구 비디오가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샷 사이의 흐름을 파악하여 시각 정보를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축구 비디오를 다양한 방법으로 인덱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Combination of Bayesian Network and Logic Network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논리 네트워크 결합을 이용한 상호작용 학습 방법)

  • Hwang Keum-Sung;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658-660
    • /
    • 2005
  • 실세계의 시각정보로부터 식별된 물체정보를 이용하여 장면에 대해 설명하는 컨텍스트를 추론하는 시각 기반 장면 이해 문제에서는 변화가 많고 불확실한 환경을 극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잘 반영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지도(teaching)가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성 극복을 위해 확률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요구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위해 논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호 작용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몇 가지 테스트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부분적,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안하는 상호작용 학습을 수행한 결과, 장면인식 에이전트의 기능 장 및 적응이 가능하고 새로운 기능의 지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Visualization of Scene Graph for Representation of Story (스토리 표현을 위한 장면 그래프의 시각화)

  • Im, Hong Gab;Baek, YeongTae;Park, Se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47-348
    • /
    • 2016
  • 스토리에 의해서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이 결정되고 콘텐츠에 대한 흥행과 보급에 핵심 요소가 된다. 현재까지의 스토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인문학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인문학에서는 스토리를 창작하는 방법과 스토리에 대한 해석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콘텐츠 산업의 핵심요소인 스토리를 창작하거나 해석하기 위해서는 스토리를 한눈에 보고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해석 방법과 시각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의 무대가 되는 공간 정보와 인물 정보가 함게 고려된 장면 그래프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 PDF

Improving Video Quality with Bitrate Control and Visual Recognition in H.264/AVC (H.264/AVC에서 비트율 제어와 시각 인지도를 고려한 영상화질 개선 기법)

  • Ahn, Soomin;Kim, Kangseok;Kim, Ja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971-974
    • /
    • 2014
  • H.264/AVC 영상 부호화기의 비트율(Bitrate) 제어에 사람의 눈에 잘 인식되는 부분의 화질을 향상하고 인식률이 낮은 부분의 화질을 낮추어 상대적으로 향상된 화질을 얻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H.264/AVC 영상 부호화기에서, 장면 변화로 인한 참조 프레임의 비트 낭비를 막기 위해 GOP(Group of Pictures) 단위로 장면 변화를 검출한 후, 검출된 장면 변화에 대해 GOP를 적용 시킨다. 해당 GOP 내에서 시각 인지도에 기초하여 물체의 움직임으로 인한 인식률이 높은 부분을 검출하고, 인식률이 높은 부분에 대해 QP(Quantization Parameter)의 재분배로 비트율을 높임으로써 화질을 향상시키고, 인식률이 낮은 부분에 대해서는 비트율을 적게 분배한다. 그 결과 한정된 대역폭을 갖는 전송 환경에서 영상을 향상된 화질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Robust Real-Time Visual Odometry Estimation for 3D Scene Reconstruction (3차원 장면 복원을 위한 강건한 실시간 시각 주행 거리 측정)

  • Kim, Joo-Hee;Kim, In-Cheo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4
    • /
    • pp.187-194
    • /
    • 2015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ective visual odometry estimation system to track the real-time pose of a camera moving in 3D space. In order to meet the real-time requirement as well as to make full use of rich information from color and depth images, our system adopts a feature-based sparse odometry estimation method. After matching features extracted from across image frames, it repeats both the additional inlier set refinement and the motion refinement to get more accurate estimate of camera odometry. Moreover, even when the remaining inlier set is not sufficient, our system computes the final odometry estimate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inlier set, which improves the tracking success rate greatly. Through experiments with TUM benchmark datasets and implementation of the 3D scene reconstruction application, we confirmed the high performance of the proposed visual odometry estimation method.

Composition of a Nonlinear Storytelling Board while Maintaining Vertical and Horizontal Context of Scenes (비선형 스토리텔링보드 구성과 종적 횡적 장면의 맥락 유지)

  • Hongsik Pak;Suhyeon Choi;Taegu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423-430
    • /
    • 2023
  •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formulation of a nonlinear storytelling board that preserves the contextual perspective of characters. Storytelling encompasses the director's creative intention by leveraging the interaction of various elements to construct a logical narrative that explores cause and effect. Its primary objective is to enhance viewers' empathy. Consequently,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on differentiating storytelling from storyboarding. Moreover, the integrated approach to storytelling and storyboarding holds scholarly value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narrative composition and visualization. Thus, a study proposes a method for constructing nonlinear storytelling boards considering the discrete camera perspective and contextual scene continuity, ultimately contributing to visual complexity and correlation comprehension. This approach enables a careful and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s that deepen cognition, including the physical, emotional, and event rhythms mentioned in Karen Perlman's theory.

Boundary Extension of Inverted Scenes (상하 반전된 장면의 테두리 확장)

  • Kong, Jin-Gi;Yi, Do-J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2 no.2
    • /
    • pp.173-192
    • /
    • 2011
  • The visual system applies previously learned contextual knowledge to facilitate the perception and encoding of scenes. When extrapolation following the employment of contextual information occurs, it sometimes leads to scene memory distortion: people report as if they saw more than they actually had seen. 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boundary extension" effect (Intraub & Richardson, 1989). The present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contextual information on boundary extension in a more systematic wa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harder to extract contextual information from inverted scenes compared to intact scenes, we presented inverted scenes either during encoding or retrieval to manipulate the level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compared the magnitude of boundary extension effect for upright versus inverted scenes. In a series of experiments, we found that scene inversion during encoding, but not during retrieval, significantly reduced boundary extension. Showing reduced memory distortion for inverted scenes, the current study directly demonstrated that access to contextual information is a critical component of scene extrapolation process.

  • PDF

Region-Based Contribution Culling for Uniform Rendering Workload (균일한 렌더링 부하를 위한 영역기반의 기여도 컬링)

  • Lee, Bum-Jong;Yoon, Jong-Hyun;Park, J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48-152
    • /
    • 2006
  • 가상공간의 시각적 렌더링에 있어서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서 현재 보여지고 있는 장면의 복잡도가 달라지게 된다. 단순한 장면과 복잡한 장면이 혼합되어있는 경우에 렌더링의 프레임율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서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항해에 대한 카메라 이동 시에 끊김 현상이 느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이 복잡도에 크게 의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안정된 프레임율을 보장할 수 있는 기여도 컬링 기법을 제시한다. 컬링 기술은 복잡한 장면의 빠른 렌더링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자연스럽고 빠른 렌더링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공간에서 모든 객체에 대한 바운딩 사각형의 넓이를 빠르게 계산한다. 영상 영역에서의 계산된 넓이가 작은 객체들을 프레임율을 만족시키도록 렌더링 파이프라인에서 제외시킨다. 전체적으로 기여도가 높은 객체들은 최대한 포함시키기 때문에 렌더링의 질을 보장한다. 복잡한 환경에서의 기여도가 작은 많은 객체들을 배제시킴으로써 속도를 향상시킨다. 실제 대도시의 일정 영역에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여 본 결과, 복잡한 장면들이 질적인 저하 없이 균일하고 빠른 렌더링을 보장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Visualization research based on hero tale stories in a fantasy movie (영웅서사구조 중심으로 하는 판타지영화의 시각화 연구)

  • Han, Myung-He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2
    • /
    • pp.185-194
    • /
    • 2010
  •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already heads toward the OSMU(One Source Multi Use) method of media. In case the success of the original novel recreates to a movie, the success of a movie is again noticed with the original novel. For this reason, a novel and movie are open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analyze through the case study of three fantasy films hav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germane myth : The Lord of The Rings, Harry Potter, The Chronicles Of Narnia based on the analysis basis : Hero's Journey 12 steps by J. Campbell, The analysis of scenes of each film visuali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novel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s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scale of the original and message of a writer, we consequently believe that these analysis will be able to be applied the appropriate visual techniques (the special effect, the scene tractions, and etc.)in visualization of films.

The Visualization of films for the stand on narrative of Germanic Mythology -Focused on "The Road of the Ring", "Harry Potter", and "The Chronicles Of Narnia"- (게르만신화의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한 영화의 시각화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나니아 연대기를 중심으로-)

  • Baek, Kwang-Ho;Han, Myung-Hee;Kim, Mi-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129-1136
    • /
    • 2009
  •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already heads toward the OSMU(One Source Multi Use) method of media. In case the success of the original novel recreates to a movie, the success of a movie is again noticed with the original novel. For this reason, a novel and movie are open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analyze through the case study of three fantasy films hav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germane myth : The Lord of The Rings, Harry Potter, The Chronicles Of Narnia based on the analysis basis : Hero's Journey 12 steps by J. Campbell, The analysis of scenes of each film visuali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novel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s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scale of the original and message of a writer, we consequently believe that these analysis will be able to be applied the appropriate visual techniques (the special effect, the scene tractions, and etc.)in visualization of fil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