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일한 렌더링 부하를 위한 영역기반의 기여도 컬링

Region-Based Contribution Culling for Uniform Rendering Workload

  • 이범종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윤종현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종승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Lee, Bum-Jong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Incheon) ;
  • Yoon, Jong-Hyu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Incheon) ;
  • Park, Jong-Seung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Incheon)
  • 발행 : 2006.10.20

초록

가상공간의 시각적 렌더링에 있어서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서 현재 보여지고 있는 장면의 복잡도가 달라지게 된다. 단순한 장면과 복잡한 장면이 혼합되어있는 경우에 렌더링의 프레임율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서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항해에 대한 카메라 이동 시에 끊김 현상이 느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이 복잡도에 크게 의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안정된 프레임율을 보장할 수 있는 기여도 컬링 기법을 제시한다. 컬링 기술은 복잡한 장면의 빠른 렌더링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자연스럽고 빠른 렌더링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공간에서 모든 객체에 대한 바운딩 사각형의 넓이를 빠르게 계산한다. 영상 영역에서의 계산된 넓이가 작은 객체들을 프레임율을 만족시키도록 렌더링 파이프라인에서 제외시킨다. 전체적으로 기여도가 높은 객체들은 최대한 포함시키기 때문에 렌더링의 질을 보장한다. 복잡한 환경에서의 기여도가 작은 많은 객체들을 배제시킴으로써 속도를 향상시킨다. 실제 대도시의 일정 영역에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여 본 결과, 복잡한 장면들이 질적인 저하 없이 균일하고 빠른 렌더링을 보장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