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구동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sign of a Visual Servoing System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Fuzzy Logic System (자율이동로봇의 목표물 추적을 위한 시각구동장치의 설계 및 제어)

  • Song Un-Ji;Choi Byung-Jae;Yoo Seog-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4
    • /
    • pp.454-459
    • /
    • 2006
  •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utonomous mobile robots has widely been reported. This paper describes a fuzzy logic based visual servoing system for an autonomous mobile robot. An existing system always needs to keep a moving object in overall image. This makes difficult to move the autonomous mobile robot spontaneously. In this paper we first explain an autonomous mobile robot and fuzzy logic system. And then we design a fuzzy logic based visual servoing system. We extract some features of the object from an overall image and then design a fuzzy logic system for controlling the visual servoing system to an exact position. We here introduce a shooting robot that can track an object and hit it. We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presents a desirable performance by a computer simulation and some experiments.

Design of Target Tracking and Shooting Robot using Fuzzy Logic System (퍼지이론에 기반한 목표물 추적 및 사격을 위한 자율이동로봇의 설계)

  • Song Eun-Ji;Choi Byeong-Jae;Ryu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93-39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목표물 추적 및 목표물 명중을 위한 사격을 할 수 있는 자율이동로봇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하여 기술한다. 여기서는 목표물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도록 팬-틸트(pan-tilt)를 제어한다. USB 웹갬(web cam)영상에서 대상체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으로부터 시각구동장치의 이동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퍼지논리시스템을 설계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이를 실제 자율이동로봇의 시각구동장치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입증한다.

  • PDF

Fuzzy Neural Network-based Visual Servoing : part I (퍼지 신경망을 이용한 시각구동(I))

  • 김태원;서일홍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43 no.6
    • /
    • pp.1010-1019
    • /
    • 1994
  • It is shown that there exists a nonlinear mapping which transforms image features and their changes to the desired camera motion without measuring of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object. This nonlinear mapping can eliminate several difficulties occurring in computing the inverse of the feature Jacobian as in the usual feature-based visual feedback control methods. Instead of analytically deriving the closed form of this mapping, a Fuzzy Membership Function-based Neural Network (FMFNN) incorporating a Fuzzy-Neural Interpolating Network is used to approximate the nonlinear mapping. Several FMFNN's are trained to be capable of tracking a moving object in the whole workspace along the line of sight.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FMF network, an image feature selection process is investigated. Finally, several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visual servoing method.

  • PDF

Printer calibration for linearly perceived tone reproduction (인간 시각에 선형적인 계조 재현을 위한 프린터 보정)

  • 이철희;이채수;강봉수;이응주;하영호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6S no.4
    • /
    • pp.55-69
    • /
    • 1999
  •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농도에 대해 선형적인 계조재현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인간 시각의 경우 농도에 선형적인 프린터 출력에 대하여 비선형적인 지각반응을 나타낸다. 즉 농도가 큰 패치(patch)에 대해서는 명도나 색차에 대한 변별력이 작으며 농도가 작은 패치에 대해서는 좀 더 예민한 변별력을 갖는다. 따라서 농도에 선형적인 프린터 출력은 시각적인 활성영역을 줄이므로 프린터에서 구별되는 계조의 범위가 좁아진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지각 특성과 매우 상관도가 높은 CIELAB 색공간을 이용하여 균등한 명도 변화 및 색차를 나타내도록 하는 프린터 계조재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때 시각적으로 균등한 변화를 나타내는 프린터의 입력값을 찾기 위해 다층 퍼셉트론 신경망(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MLP)을 이용하였다. 신경망의 학습을 위해 계조에 따른 패치를 만들고, 프린터 구동입력신호 및 패치의 측정된 값으로 신경망을 학습하였다. 학습된 신경망으로 선형적인 출력을 내는 프린터 구동신호를 찾고 LUT(look-up table)를 이용하여 프린터 입력 신호를 역으로 보정하였다. 결과, 보정된 프린터의 출력이 선형적인 계조 변화를 보였고 변화가 인지되는 계조의 범위가 늘어났으며 실형상에 대한 실험에 있어서도 우수한 화질을 보였다.

  • PDF

A Novel Visual Servoing Method involving Disturbance Observer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새로운 시각구동 방법)

  • Lee, Joon-Soo;Suh, Il-H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 /
    • v.48 no.3
    • /
    • pp.294-303
    • /
    • 1999
  • To improve the visual servoing performance, several strategies were proposed in the past such as redundant feature points, using a point with different height and weighted selection of image features. The performance of these visual servoing methods depends on the configuration between the camera and object. And redundant feature points require much computation efforts. This paper proposes the visual servoing method based on the disturbance obsever, which compensates the upper off-diagonal component of image feature jacobian to be the null. The performance indices such as sensitivity for a measure of richness, sensitivity of the control to noise, and comtrollability are shown to be improved when the image feature Jacobian is given as a block diagonal matrix. Computer simulations are carried out for a UUMA560 robot and show some resul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 PDF

Design of Digital Control System for Driving POWER LED (POWER LED 구동을 위한 디지털 제어시스템 설계)

  • Kim, Bae-Sung;Son, Young-D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248-24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원칩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한 파워 LED 구동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한다. 파워 LED의 조광제어 및 특정 조도에서의 정전류 구동을 위해 전류피드백을 통한 디지털 PI 전류제어 및 PWM 구동방식을 행하였고, 시각적인 깜박거림 없는 충분한 주파수의 스위칭을 통해 부스트 컨버터를 연속도통모드로 동작시켰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파워 LED 구동을 위한 디지털 제어시스템은 최근의 에너지 및 환경규제에 적합한 조명관련 응용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기변형(3) - 구동기의 이론적 모델링 -

  • Lee, Ho-Cheol
    • Journal of KSNVE
    • /
    • v.21 no.4
    • /
    • pp.25-29
    • /
    • 2011
  •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에 관한 연재물 3번째로 이번 호부터는 본격적으로 자기변형 현상을 이용한 구동기(actuator)의 이론적인 모델링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아직 필자의 이해의 수준이‘달인’의 경지에 이르지 않은 탓에 대부분의 내용은 기존의 논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거나 여러 논문들 간의 시각의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임에 대하여 사전에 양해를 구한다. 또한 이 연재에서는 주로 구동기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으나 자기변형 물질 역시 피에조 물질과 마찬가지로 센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연재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센서를 설명할 때도 많은 경우 그대로 혹은 약간의 변형을 거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언급해둔다.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Web-based Tree Visualization System for Education (웹 기반 교육용 트리 시각화 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

  • Kim, Sun-Kyong;Song, Young-Kyoung;Yoo, K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99-20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시각화 시스템의 설계와 평가를 통해 시각화 시스템이 어떻게 알고리즘 학습을 도울 수 있는가에 대해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트리 시각화 시스템은 자바로 구현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특징을 제공한다. 1) 동기적, 비동기적인 상호작용 제공 2) 강의실, 연습실, 평가실의 구분 학습과 그래픽 요소 및 애니메이션의 제공 3)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즉각적인 인터랙션의 제공 4) 자바가 가능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져 상에서의 구동 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알고리즘 가운데 AVL 트리와 Red-Black 트리에 대한 시각화 시스템을 설계한다. 개발된 시각화 시스템은 알고리즘 학습에 활용하였으며, 평가를 통해 웹 기반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한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A LiDAR-based Visual Sensor System for Automatic Mooring of a Ship (선박 자동계류를 위한 LiDAR기반 시각센서 시스템 개발)

  • Kim, Jin-Man;Nam, Taek-Kun;Kim, Heon-H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6
    • /
    • pp.1036-1043
    • /
    • 2022
  •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development of a visual sensor that can be installed in an automatic mooring device to detect the berthing condition of a vessel. Despite controlling the ship's speed and confirming its location to prevent accidents while berthing a vessel, ship collision occurs at the pier every year, causing great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visual system that can quickly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speed and location of the vessel to ensure safety of the berthing vessel. In this study, a visual sensor was developed to observe a ship through an image while berthing, and to properly check the ship's statu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obtain the adequacy of the visual sensor to be developed, the senso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erm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isting sensors, that is, detection range, real-timeness, accuracy, and precision. Based on these analysis data, we developed a 3D visual module that can acquire information on objects in real time by conducting conceptual designs of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type 3D visual system, driving mechanism, and position and force controller for motion tilting system. Finally,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ontrol system and scan speed test were execu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ystem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Motor and Sensor Technology for Intelligent Robots (지능형 로봇 부품 기술 동향)

  • Kim, H.J.;Yoon,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2 s.104
    • /
    • pp.58-69
    • /
    • 2007
  • 지능형 로봇은 우리 인간의 삶의 공간으로 한층 접근하고 있으며, 앞으로 미래 산업에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지능형 로봇의 구현에 필수적인 부품 기술을 구동기와 센서 기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구동기 기술로는 PMDC, BLDC, 스테핑 모터, 초음파 모터와 최근 연구실을 중심으로 많이 연구되는 인공 근육에 대해 살펴본다. 센서기술로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초음파 센서, 청각 센서, 시각 센서, 액티브 비컨 센서, 그리고 촉각 센서를 살펴본다. 부품 기술들의 간단한 원리와 종류 그리고 기술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지능형 로봇 산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될 부품들을 정리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