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승차감 평가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초

플로팅 슬래브궤도와 일반 콘크리트궤도 접속구간에서의 열차 주행 안전, 승차감 및 궤도 사용성 평가 (Assessment of Train Running Safety, Ride Comfort and Track Serviceability at Transition between Floating Slab Track and Conventional Concrete Track)

  • 장승엽;양신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8-61
    • /
    • 2012
  • 열차 진동 저감을 위한 플로팅 슬래브궤도의 설계에 있어서 주행 안전, 승차감 및 사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로팅 슬래브궤도에서 열차 주행안전과 승차감, 사용성 확보를 위한 요구조건을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열차-궤도 상호작용을 고려한 동적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시스템 고유진동수, 스프링 지지간격 및 배치방법, 감쇠비 등 주요 시스템 설계변수에 따라 일반 콘크리트궤도와의 접속구간을 포함한 플로팅 슬래브궤도 구간에서의 열차 및 궤도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반 궤도와 플로팅슬래브궤도 간의 접속구간에서의 지지강성의 차이에 의해 윤중 변동율, 레일 응력, 레일 인상력 등의 동적 응답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접속구간에서 스프링 지지간격을 좁히거나 스프링 강성의 차이를 완화시키는 방안이 주행안전과 궤도 사용성 확보를 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차체 가속도로 평가하는 승차감은 접속구간에서의 지지강성의 차이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시스템 튜닝 주파수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승차감 확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스템 튜닝 주파수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감쇠비, 스프링 간격, 열차속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반능동형 현가장치의 Frequency shaped 최적 제어 (Frequency Shaped Optimal Control of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Using an MR Damper)

  • 김기덕;이재형;전도영
    • 유변학
    • /
    • 제11권2호
    • /
    • pp.112-121
    • /
    • 1999
  • 현가장치의 기능은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와 격리시키며 주행시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고정된 스프링과 댐퍼의 특성으로는 두 가지 차량 주행특성을 나타내는 차체 가속도와 타이어 동적력을 최소화할 수 없으므로 가변형 댐퍼를 이용한 반능동식 현가장치로서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성능 지수를 설계하는 LQ(Linear Quadratic)제어 이론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Q 제어 성능지수의 가중함수는 주파수와 시간에 관계없이 상수로 고정되기 때문에 각 요소에 대한 비중이 모든 상황에서 동일하나 승차감이나 주행 안정성의 평가기준이 모든 주파수에서 동일하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유변댐퍼를 장착한 1/4차의 반능동형 현가장치를 구성하고 LQ 제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Frequency shaped 최적 제어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 차량의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Frequency shaped 최적 제어는 가중치가 주파수의 함수인 성능 지수를 통해 제어 규칙을 구하는데, 가중함수의 설계기준을 인간이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4~8Hz의 주파수에서는 승차감에 두고 차축 고유 진동수 부근에는 주행안전성에 둔다. 모사실험과 실험 결과로부터 Frequency shaped 최적 제어기를 장착한 반능동형 현가장치가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종곡선과 평면곡선의 경합조건별 차량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평가 (Evaluation of Running Safety and Ride Comfort for High Speed Train in Cases of Superimposi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Curves)

  • 엄주환;최일윤;김만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11-317
    • /
    • 2013
  • 철도선형에서 종곡선과 평면선형의 경합은 차량의 주행안정성 뿐만 아니라 건설비에도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곡선과 평면곡선의 다양한 경합조건별 차량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곡선과 평면원곡선의 경합 뿐만 아니라 종곡선의 완화곡선상 경합, 그리고 완화곡선-원곡선 연결부상의 경합에서도 차량의 주행안전, 승차감 및 궤도작용력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도상 및 노반상태 평가를 통한 궤도유지보수작업의 적정성 연구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rack Maintenance Works through the Evaluation of Trackbed Conditions)

  • 김대상;권순섭;이수형;황선근;박태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34-341
    • /
    • 2008
  • 자갈궤도는 압축성 재료인 자갈과 흙을 기초로 하여 건설되므로 공용 기간 중 승차감을 확보하고 수명연장을 위해서는 유지보수작업이 필수적이다. 현재 수행되고 있는 자갈궤도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은 EM120 검측차를 이용한 궤도틀림 측정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궤도틀림은 궤도에 변형이 발생된 결과를 측정하는 것으로, 궤도틀림을 유발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궤도틀림의 원인이 궤도를 지지하는 도상과 노반에 있다고 판단하고, 도상 및 노반의 싱태를 평가할 수 있는 비파괴탐사법 (GPR4과 PFWD)을 개발하고 이를 경부선 500m구간에 적용하였다. 개발 작용된 방법은 층 두께 평가법과 궤도수직강성 평가법 및 도상 노반 시추법이다. 도상 및 노반 상태평가 결과를 기 수행된 궤도틀림 검측결과 및 유지보수작업과 비교함으로서 불필요한 유지보수작업 구간을 평가하였다.

제어 가능한 댐퍼를 적용한 시트 현가장치의 승차감 평가 (Ride Quality Evaluation of Seat Suspension Adopting Controllable Damper)

  • 한영민;민철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2호
    • /
    • pp.1199-1205
    • /
    • 2011
  • In the present work, a seat suspension system adopting semi-active damper is evaluated for driver's ride quality. A cylindrical type of ER(electrorheological) damper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the seat suspension of heavy vehicles. The governing equation is derived under consideration of human vibration. A sliding mode controller is then synthesized and experimentally realized on the manufactured ER seat suspension while a driver is sitting on the controlled seat. Ride quality is evaluated by fatigue decreased proficiency boundary, vibration dose value and crest factor utilizing weighted-acceleration according to ISO2631.

승차감 평가를 위한 수직 방향의 인체 진동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Vertical Biomechanical Model for Evaluating Ride Quality)

  • 조영건;박세진;윤용산
    • 소음진동
    • /
    • 제10권2호
    • /
    • pp.269-279
    • /
    • 2000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biomechanical model on a seat with backrest sup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our kinds of biomechanical models are discussed to depict human motion. One DOF model mainly describes z-axis motion of hip, two and three DOF models describe z-axis of hip and head, and while nine DOF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represents more motion than the otehr model. Three kinds of experiments were executed to validate these models. The first one was to measure the acceleration of the floor and hip surface in z-axis, the back surface in x-axis, and the head in z-axis under exciter. From this measurement, the transmissiblities of each subject were obtained. The second one was the measurement of the joint position by the device having pointer and the measurement of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seat by body pressure distribution. The third one was the measurement of the seat and back cushion by dummy. The biomechanical model parameters were obtained by matching the simulated to the experimental transmissiblities at the hip, back, and head.

  • PDF

고무차륜 경량전철 차량의 승차감 평가 (Evaluations of Ride Comfort for the Rubber-Tired Light Rail Vehicle)

  • 김연수;백남욱;임태건;한석윤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5-368
    • /
    • 2005
  • The dynamic model was developed to analyze vibration acceleration and ride comfort during the operation of rubber-tired light rail vehicles. The ride comfort for standing passengers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ISO 2631-1, UIC 513R, and CEN Draft prENV 12299 using this model. The result was applied to the detail design of Korean-standard, rubber-tired light rail vehicles, and the detail specifications related to ride comfort was determined based on this result. The ride comfort test was performed along the test track by using 2 car-train, and its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ride comfort analysis,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dynamic model. It was also verified whether or not the developed Korean-standardized, rubber-tired light rail vehicle met specified target specifications on ride comfort.

  • PDF

범프로드에서의 대형트럭 승차감 평가 (Ride Quality of a Heavy Duty Truck on a Single Bump Road)

  • 강희용;양성모;김봉철;윤희중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한국공작기계학회)
    • /
    • pp.91-96
    • /
    • 2001
  • When it is considered that many vehicle rides on the road and ride quality is an important method to evaluate vehicle performance with handling, running-over-bump manoeuvre may be suitable for testing ride quality. In this paper, a computed model has roughly steering system and lumped mass, connected by joint each rigid body, and suspension that has beam elements and has shock absorber as force element to represent nonlinear characteristics. A computer simulations for passing over a bump were made with two velocities. One side of vehicle passed over bump in due consideration of driver's habit that driver is subject to avoid a bad ride quality. On simulation, vertical acceleration, pitch angle and roll angle were measured at the mass center of chassis each case.

  • PDF

Virtual Seat Method를 이용한 승용차량 시트의 정차시 진동에 대한 승차감 평가 (Evaluation of Ride Comfort of the Passenger Vehicle Seat on idle vibration by Virtual Seat Method)

  • 이재영;안세진;정의봉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0-787
    • /
    • 2013
  • Virtual Seat Method (VSM) is used in this study for a combined evaluation method (objective & subjective) to determine comfort value of passenger vehicle seat in terms of idle vibration. In the study, a process for applying VSM divided into two stages is established. Two kinds of seat mounting passenger vehicle and six subjects are employed to compare the comfort value obtained by VSM method and by SEAT value. As a conclusion, the results by the two methods were well consistent so that VSM is verified as a method to measure ride comfort of seat in terms of idle vibration at passenger vehi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