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습지환경

Search Result 1,10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Moors Applying to Environment Assesment Based on E-GIS (환경지리정보 기반의 환경평가 적용시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 Kwak, Young-Joo;Park, Sang-Yong;Kang, In-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3 s.33
    • /
    • pp.53-57
    • /
    • 2005
  • The moors ecosystem is sensitive environment change and weak in artificial interference. These nature property are very important to people. It is necessary to preservation and protection the moors with a countermeasure. We really need to Environment-GIS(E-GI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and digital map including range, correct position and attribute data of moors. In this study, we take priority of making a database of moors management. Taking effect an environment assesment, we concentrate on a standard method of digital map production and a preservation of moors in our research using GIS. Especially, we have to preserve our important national heritage using GIS when Environment Assesment is conducting under construction. We suggest to pre-estimated model of hidden moors as analysing terrain, geological feature, a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lants and animals using GIS.

  • PDF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습지보전.관리를 위한 국가 중장기 계획 소개)

  • Kim, Taesung;Jeong, Jiwoong;Moon, Sangkyun;Yang, Heesun;Yang, Byeonggu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519-527
    • /
    • 2013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et up 'the $2^{nd}$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to facilitate systematic surveys and management of various national wetlands and to promot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f those wetlands. The mid-term fundamental pla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5 of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which spans 5 years from 2013 to 2017 and covers national wetlands including inland wetlands and coastal wetlands stated in the Act. The fundamental plan aims to promote the wise use of wetlands through establishing polici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based on the assessment of implementation of the $1^{st}$ Fundamental Plan, setting up a scientific framework fo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wetland policies by improving wetland survey systems and enhancing basis wetland data, improving the ecological health of wetlands and secur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wetlands by strengthen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wetlands, and through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diversify education and promotion tools. The main objectives of the $2^{nd}$ Fundamental Plan is to revise the entire Wetland Conservation Act, to create a new monitoring system of national inland wetlands, to upgrade the national wetlands inventory, to reflect the 'Ecological Map' for promoting precautionary management of wetlands, to improve the 'Wetland Resto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o build wetlands resilience, and to systematize the wise use of wetlands that benefits local people.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lans to establish its other master plan for wetland conservation based on the $2^{nd}$ Fundamental Plan, this document introduces the $2^{nd}$ Fundamental Plan to stakeholder and wetland professions.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Abandoned Paddy Wetlands as References and Changes in Land Cover Types in the Influence Area (묵논습지 환경요인 및 생태영향권 내 토지피복유형 변화 분석)

  • Park, MiOk;Kwon, SoonHyo;Back, SeungJun;Seo, JooYoung;Koo, BonHa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4
    • /
    • pp.331-344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and hydrological environment of abandoned paddy wetlands examined the changes in land cover type in the ecological affect area, analyze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abandoned paddy wetlands, and examined the changes in land cover type in the ecological impact area. The ecolog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abandoned paddy wetlands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nd preliminary exploration of the abandoned paddy wetlands, and the basic data for the restoration of abandoned paddy wetlands ware provide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land cover type in the ecological impact area for 40 year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manage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abandoned farmland to be converted into wetlands so that it can perform functions equivalent to or greater than that of natural wetlands. In particular, as we checked the clues that abandoned paddy wetlands could spread to surrounding ecological influences through land cover changes, the study sites are highly likely to be reference wetlands, and if the topography, soil, water circulation system, and carbon reduction performance are analyzed carefully, it will be possible to standardize the development process. In addition, through the change in land cover, clues were confirmed that the abandoned paddy wetlands could spread to the surrounding ecological affect areas. The land cover type in the ecological impact area, forests was mainly distributed, but generally decreased rapidly in the last 10-20 years, and forests were changing from coniferous forests to broad-leaved forests, mixed forests, or grassland. It has not yet been fully called to the wetland, and it is found that it has maintained the form of barren or grassland, and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natural wetlands after more than 30 years after abandoned, it is expected that the transition will gradually proceed to wetlands that are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similar to natural wetlands.

Satellite-derived high-resolution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cusing on inland wetlands in Korea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인공위성 자료 기반 고해상도 토지피복 분류: 국내 내륙습지를 중심으로)

  • Beomseo Kim;Seunghyun Hwang;Jeemi Sung;Hyeon-Joon Kim;Jongjin Baik;Chang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3-423
    • /
    • 2023
  • 습지 생태계는 탄소저장고, 대기 온·습도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만큼 면밀한 관리가 요구된다. 습지의 규모와 생태계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므로 그 규모를 우선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지표면의 상태를 산지, 습지, 수역 등의 항목으로 구분한 토지피복지도가 고려될 수 있다. 현재, 환경부에서 운영 중인 환경공간정보서비스(https://egis.me.go.kr/)에서는 각각 30 m, 5 m, 1 m의 공간 해상도와 7, 22, 41가지 분류 항목을 갖는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로 구분된 토지피복지도를 제공하며 이러한 자료들은 모두 1년 이상의 시간 해상도를 갖는다. 습지의 경우, 계절에 따른 환경 변화로 인한 규모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1년 이하의 시간 해상도를 갖는 고품질 토지피복 분류 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의 낮은 시간 해상도 보완을 목표로, 1개월과 30 m의 시·공간 해상도를 갖는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8 등과 같은 다양한 인공위성 자료를 수집하고, Support Vector Machine 등과 같은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습지보전법에서 지정한 습지보호지역 중 내륙습지 26개소를 대상으로, 본 연구로부터 산출된 토지피복지도를 기존 환경공간정보서비스 내 대분류 토지피복지도와 비교·평가하였다.

  • PDF

Non-linear dynamics of wetland vegetation induced by groundwater table (지하수위와 연계된 습지 식생의 비선형 동역학)

  • Lee, Okjeong;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2
    • /
    • pp.132-139
    • /
    • 2019
  •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vegetation and groundwater tabl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ynamics of wetland vegetation. In this study, nonlinear dynamics of wetland vegetation affected by groundwater are analyzed. The effect on groundwater is described as a loss term in the governing equation of wetland vegetation and it is explored how the wetland vegetation is likely to converge into two attractors by groundwater table change. From this conceptual approach, the vulnerability to catastrophic shifts in stable state where the current vegetation species are extinct and stabilized by other vegetation species is analyzed in response to groundwater table.

낙동강 하류 지역의 장기적 습지 분포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 Jeon, Dae-Yeon;Kim, H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9-171
    • /
    • 2007
  • 습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명력이 풍부한 지역이다. 야생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적 측면, 수질 정화와 홍수조절에 기여하는 수리 및 기후순화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 이에 과거 광복이전 낙동강 하류지역의 습지 분포를 조사${\cdot}$연구하여 현재에 비해 90%이상의 습지가 훼손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습지 보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보전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낙동강 하류지역의 습지 분포의 장기간 변화 경향을 통해 주변지역의 기후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temperature change by development phase in Gwangju area using the ENVI-met model (ENVI-met 모형을 이용한 광주 지역의 발전 단계별 기온변화 평가)

  • Sungshin Yoon;Munseok Lee;Yumin Kim;Chulsang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0-190
    • /
    • 2023
  • 습지, 호수 및 강 등을 포함하는 수체는 증발 및 비교적 높은 열용량을 통하여 주변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효과는 수체의 크기, 형태, 그리고 깊이 등 수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난다. 대부분의 경우 수체는 주변 기온을 저감시키지만, 특정 경우 반대로 기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불러온다. 아울러, 같은 수체라도 수체 주변 지역의 구조나 형태, 그리고 기후 조건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대부분 연구자는 수치해석, 원격탐사 기법, 혹은 관측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수체마다 기온변화 효과를 달리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대부분 국외에서 수행되어왔으며, 강, 하천, 그리고 호수 등이 주로 연구되어왔다. 탄소저감 및 높은 기후조절 효과를 가지는 습지는 물을 포함하고 있어, 당연히 수체로 취급될 수 있다. 습지의 다양한 기능 중 기온조절 효과는 습지의 가치 및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드시 연구되어야 한다. 국외의 경우, 관련 연구가 수행된 바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연구가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수체의 기온조절 효과는 수체의 특성, 주변 지형의 특성, 그리고 기후 조건 등에 영향을 받음으로 국외 연구 결과들을 국내 습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습지에 대한 평가가 달리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습지의 기온조절 효과를 평가하고자 광주호 습지를 대상으로 ENVI-met 수치해석 모형을 사용하여 그 지역의 여러 가상의 발전시나리오를 구축하고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주호 습지의 기온저감 효과는 약 2km 정도까지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규모는 기후 조건 및 주변 지형의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 PDF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Wetland Based on an E-GIS (E-GIS 기반의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 Jang, Yong Gu;Kim, Sang 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6D
    • /
    • pp.1011-1017
    • /
    • 2006
  • It is so sensitive that the wetland ecosystem very weak in artificial interference and environment change. wetlands are a transitional zone between aquatic and terrestrial ecosystems. This natural property is important to people and life. It is necessary to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wetland with a countermeasure. we really need to Environment-GIS (E-GIS) and digital map which is included correct position, attribute data and range of the wetland. In this study, we take priority of making a database of wetland management. Moreover, we standardize a digital map production of wetland in our research and we improve accuracy of control survey using GPS survey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e-estimated wetland that have not yet been discovered. by analysing terrain, geological feature, a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lants and animals using GIS.

A Study on the Wetland Restoration for the prevention of Stream Aggradation (하천 육역화방지를 위한 습지복원방안에 관한 연구)

  • 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8-218
    • /
    • 2020
  • 우리나라의 하천은 홍수방어와 토지이용을 목적으로 제방을 설치하고 하도를 직강화화 시켰으며, 저수로와 홍수터를 분리하는 단면의 조성 그리고 하천의 홍수터를 농경지나 공원 및·주차장 등으로 활용하는 등 홍수터를 인위적으로 고착화시켜왔다. 더욱이, 상류의 댐 및 저수지에서 방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중소규모의 홍수가 줄어드는 등 하천 흐름의 변화를 나타내는 유황이 단순해져 하상변화가 감소되고 건조화됨으로 인하여, 식생침입 등에 따른 하천 수림화가 진행되고 이로 인하여 하천이 습지라고 볼 수 없는 육역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한 올바른 하천환경 관리를 위하여 해당하천에 대한 육역화의 원인규명 및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86년에 신곡 수중보가 건설되었고 이로인하여 하류의 수리적 환경 등의 여건변화로 사주의 변화가 급격히 진행된 한강의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하천 육역화 현황 분석 및 외국의 하천 육역화 복원사례를 통하여 장항습지에서의 복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장항습지는 한강하구를 향하여 우안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사주로서, 본 연구에서는 종단길이 약 7.5km(신곡수중보~일산대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구간 내 사주의 폭은 최장 약 500m, 최단 약 60m 정도이다. 장항습지의 경년별 면적비교 결과, 장항습지는 1985년대비 현재 약 11.7배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2016년도에 급격히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