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습지의 생태환경

Search Result 5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aintenance Plan through the vegetation monitoring of artifical wetland (인공습지의 식생 모니터링을 통한 유지관리 방안)

  • Lee, Daewung;Kim, Jungwook;Hong, Seungjin;Jung, Juyou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9-629
    • /
    • 2015
  • 습지는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되어있고, 토양과 물의 정화기능, 폭우방지 및 홍수 완화 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습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습지 조성 후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생태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내섬(남한강), 옥포지구(낙동강), 세도지구(금강) 3개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생태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비내섬 습지는 천이초기단계에서 개척자식물이 유입되는 등 향후 천이도중상태의 이차초지로 천이될 것으로 판단되며, 옥포지구 습지는 안정된 천이과정을 보이고 있으나, 안정화 단계에 도달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도지구 습지는 인위적 교란요인이 적기 때문에 미소입지별로 식생천이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 향후 봄, 여름이 추가된 사계절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식물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면 더 정량적인 식성천이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Inhabiting Environment of Wetland using Inundation Analysis (침수분석을 통한 습지 서식환경분석)

  • Kim, Jung-Wook;Jung, Jae-Won;Choi, Young-Joo;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21-222
    • /
    • 2016
  • 습지는 생태자원의 보고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습지 생태계는 어느 생태계보다 생산성이 높다. 습지는 잦은 수위변동으로 인해 습지의 식물은 수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식물종의 특징과 최적의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위에 따른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생태계가 잘 발달되어 있는 남한강의 비내섬 습지에 대해 유황분석을 하였고 유황에 따른 유량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유량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유황별 홍수위를 산정하였으며, RAS Mapper를 이용하여 침수심과 침수구역을 모의하였다. 이를 통해 침수심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하였다. 버드나무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8m의 침수심, 물억새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4m의 침수심, 쑥-망초군락과 달뿌리풀군락은 0~0.4m의 침수심, 그리고 환삼덩굴군락은 0~0.8m의 침수심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황에 따른 침수심에 대한 식생서식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식생을 고려한 인공습지 조성이나 하천설계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imulation of wetland storage volume using a classificatio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model (분류 기반의 인공지능 예측 모델을 이용한 습지 저류량 모의)

  • Ji yu Seo;Ha eun Jung;Jeong Hoon Lee;Sang D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0-270
    • /
    • 2023
  • 습지 생태계는 복잡한 물리적 생지화학적 프로세스의 상호작용이 있으나,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습지 생태계에서의 물순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일 것이다. 또한 지역적인 물 균형 및 생태계 보전에서 습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도 습지 물순환에 대한 정량적인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습지 물순환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인 관측 자료들은 현장 측정으로 획득하기 어려운 자료이거나 비용적인 문제로 인하여 관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ntinel-2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습지의 유입량을 추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반도 동남부의 낙동강에 위치한 주요 다목적댐의 자료를 활용한 분류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이 설계된다. 인공지능의 학습을 위한 입력자료는 아래와 같은 절차에 의해 만들어진다. 1) 다목적댐의 수위-물 체적 관계를 이용하여 수위-수표면적 관계 곡선 도출. 2) 수위-수표면적 관계 곡선과 DEM을 활용하여 물과 육지 영역을 구분하는 식별자를 도출. 3) Sentinel-2 위성 정보와 물-육지 식별자를 비교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설계. 4) 위성 정보의 물-육지 정보로부터 미계측 습지 지역의 물과 육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도출. 이러한 과정을 경유하여 추정된 습지의 수표면적과 습지 지역의 DEM을 결합함으로써 습지의 수위-수표면적-물 체적 관계 곡선이 산정되어, 최종적으로 습지의 유입량이 모의된다. 모의된 습지 유입량은 다양한 수문 모델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검증된 수문 모델을 활용하여 습지의 물순환의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astal management using ecosystem function of coastal marshes (연안습지의 생태기능을 이용한 연안환경관리)

  • Yoon, Sung-Y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 no.2
    • /
    • pp.159-166
    • /
    • 2000
  • 연안습지에서는 생태적으로 많은 생산물이 만들어진다고 평가되어 왔다. 이런 점들을 이용하여 연안습지를 연안환경관리에 적용하면 수질정화 등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생태계 기능중 에너지흐름과 유기물, 영양염류가 연안습지의 수질정화에 중요하게 관계된다. 연안습지는 수생식물이 식재된 공간을 거치면서 처리되고, 토사나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의 조성과 바닥에서 영양염의 흡수 및 식물플랑크톤을 억제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 PDF

Wetlands Simulation using CLM-FATES (CLM-FATES 모델을 이용한 습지 모의 )

  • Hyunyoung Oh;Yeonj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1-191
    • /
    • 2023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생태계의 가장 큰 메탄 저장소로서 지구의 탄소 순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습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전지구 지면 모델인 Community Land Model(CLM)에 Functionally Assembled Terrestial Ecosystem Simulator(FATES) 외부 모듈을 함께 구동한 지면 생태계 모델 CLM-FATES는 지면 heterogeneity와 다양한 식생 종류를 고려하여 에너지 플럭스, 토양 수문, 생화학적 과정 등을 모의함으로써 탄소 동태 변화를 포함한 장기적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CLM-FATES 모델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Mayberry Wetland (US-Myb)와 Twitchell East End Wetland (US-Tw4)에 적용하였다. 모델의 대기 입력 자료로는 FLUXNET-CH4에서 제공하는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관측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 CLM-FATES 모델은 토양이 장기간 포화 혹은 침수되어 지표 위 혹은 지표면 가까이 발달한 지하수면을 가지고 있는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해 정밀한 습지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M-FATES를 통한 보다 정확한 습지 생태계 모의를 위해 모델 내 토양 수문 관련 모듈을 수정하여 모델이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델 구동 결과 도출한 잠열,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과 순생태계생산량(Net Ecosystem Production, NEP) 플럭스, 메탄 플럭스,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지표수 높이에 대해 관측값 대비 RMSE 및 R2 값을 계산하여 모의 결과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모델 개선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우리나라 습지 사이트에 모델을 적용하여 습지 탄소 동태 예측에 활용할 계획이다.

  • PDF

The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 A review of ecosystem benefits, threats, and management strategies (인도 내 람사르 습지 현황 : 생태계 이점, 위협 및 관리 전략)

  • Farheen, K.S.;Reyes, N.J.D.G.;Jeon, M.S.;Kim, L.H.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2
    • /
    • pp.123-141
    • /
    • 2022
  • Wetland also known as "Jheelon" in Hindi langu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ural resources, contributing various economic and ecological benefits. The study gave a short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 The wildlife species, conservation measures, and their significance in Indian wetlands were also explored in this review paper. As of 2022, there are 49 Ramsar sites in India covering approximately 1,09363.6 km2 of land. The largest Ramsar wetland is Sundarbans, while the smallest is Chandertal. It was found that preventing wetland loss is important even though studies about wetland degradation in various nations including India, caused directly by human activities is still limited. Since Monitoring and protecting natural wetlands, supporting scientific studies on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s, demand on imposing regulations for limiting pollutant discharges were recommended allowing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to better maintain wetland and its ecosystem services.

Distributional Patterns and the Evaluation of Hydrophytic Plant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Gyunggi-do Province, Korea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 Chun, Seung-H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2
    • /
    • pp.159-172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ecolog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a conservation plan based on the distributional patterns, wetland types, and hydrophytic characteristic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Kyunggi Province where representing the various patterns of land use made by rapid urbanization since 1970s. Total 162 sites of four wetland types were identified as urban wetlands during the first survey. The sites were classified into 55 forested swamps, 4 riverine wetlands, 62 abandoned paddy fields, 37 small ponds, and 4 reservoirs, etc. The second survey targeted 107 sites which were identified as good wetlands. It showed that 42 sites(about 39%) were already degraded due to drainage, landfill, and crop cultivation at 6 months intervals. Both hydrologic conditions and hydrophytic characteristics of 27 good wetlands help maintain current ecological status, but most wetlands have been degraded by artificial impacts. Among 184 species identified, only 75 species(about 40.7%) were hydrophytes. Prevalence Index of hydrophyte based on three categories of OBL(obligatory wetland plant), FAC(facultitative plant), UPL(obligatory upland plant) was 3.7, indicating that vegetation data alone is inadequate to designate as wetlands. This study revealed that as critical habitats for wildlife they playa vital role in ecotone between both terrestrial and aquatic ecosystem with its proper distributional pattern in spite of their small areas compared to the entire geographic region of the City.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WangDungJae wetland type at Chiri National Park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유형분류와 평가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oon;Kim, Yong-Sik;Cha, Yoon-Jung;Lee, Byung-Hee;Ko, Kwan;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4-164
    • /
    • 2000
  •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하여 미국야생생물보호청(US Fish & Wildlife Service)에서 개발한 습지 유형 분류방법론을 적용하여 유형분류와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리산왕등재 습지는 계(System), 아계(Subsystem), 강(Class), 아강(Subclass), 수영역(Water Regime), 수문지형 단위 (Hydrogeomorphic Units), 저질/우점유형 (Substrate/Dominants Type)의 계층적 분류체계에 따라 소호소습지생태계(Palustrine wetland system), 정수습지생태계 강, 영속형 정수식물 습지생태계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범주성 수화학(pH 6.1), 산악의 영구적인 초원 수문지형,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사초과와 고랭이속이 우점하는 습지로 분류되었다. 지리산 왕등재 습지와 비교하여 대암산 용늪의 분류체계는 이끼/지의류 강, 이끼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산성의 수화학,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물이끼가 우점하고 관속식물이 혼재하는 유형으로 분류되어 많은 차이가 난 반면, 무제치늪은 매우 유사한 습지유형으로 우점유형(진퍼리새 우점)과 특정 종에서만 차이가 났다.

  • PDF

Study on the Wetland Ecolog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GIS를 이용한 습지생태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Gil;Lee, Cheol-Joon;Lee, Hyeong-Soo;Choi, Jae-H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33-33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습지생태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습지생태 관련정보에 대한 수정, 갱신, 분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습지생태에 대한 보존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습지생태에 대한 GIS DB에는 각종주제도 및 현장조사 사진 등의 도면자료 및 영상자료에 대한 도형자료와 조사지, 조사자, 조사일 시 등의 각종 현장조사결과, 동식물의 한국명, 학명, 종코드 등이 포함한 속성자료가 있다. 습지생태정보관시스템은 갯벌, 습지 지역의 자연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하는 업무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