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슬와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초

족척근 내에 발생한 베이커씨 낭종: 증례 보고 (Intramuscular Baker's Cyst in Plantaris: A Case Report)

  • 이창훈;노준모;김태승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1
    • /
    • 2012
  • 베이커씨 낭종은 슬관절 주위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낭종성 종양으로서, 슬와부의 내측에서 보통 반막양근(Semimembranosus m.)과 비복근(Gastrocnemius m.)의 내측두 사이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다른 곳에 위치하는 경우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지만, 주변 근육내로 확장된 베이커씨 낭종은 그 증례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저자들은 비복근의 외측두와 슬와건(popliteus tendon) 사이에 위치한 베이커씨 낭종이 주변 족척근(plantaris m.)내로 확장(extension)된 매우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원위 대퇴부 후방에 발생한 광범위 심부 농양의 내시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Endoscopic Treatment of Extensive Deep Abscess in Distal Posterior Thigh - A Case Report -)

  • 전호승;송지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4-87
    • /
    • 2013
  • 원위 대퇴부 후방은 주요 신경과 혈관이 위치하고 있고 여러개의 힘줄들과 근육들이 위치하여, 심부 근막 내에 농양이 발생시 근막, 힘줄과 근육을 따라 근위 대퇴부, 슬와부, 근위 하퇴부 후방 및 무릎 관절의 주변으로 광범위하게 퍼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단순히 항생제 투여만으로는 치료가 어렵고, 수술적인 배농과 변연 절제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슬와부의 주요 신경과 혈관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저자들은 64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좌측 원위 대퇴부의 광범위 심부 농양에 대하여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주요 신경, 혈관 등 정상 조직에 대한 손상이 없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버거씨 병(Buerger's Disease) 환자에서 하지지 동맥 우회로술 및 교감신경 차단술과 함께 이용된 동맥 내 프로스타글란딘 직접 투여 (Intra-arterial Direct Prostaglandin Infusion Combined with Lower Limb Arterial Bypass Graft and Lumbar Sympathectomy for Treating Buerger's Disease)

  • 이길수;류세민;조성준;이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08-511
    • /
    • 2008
  • 서구인에 비해 동양인, 특히 극동지방의 버거씨 발병률은 높으나 우회로술 단독만의 성적은 아직 만족할 만하지 못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회론수술과 함께 교감신경 차단술, 금연, 정맥 내 혈관 확장제 투여 등의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49세의 버거씨병 환자에게 복제정맥을 이용한 대퇴동맥-슬와동맥간 우회로술 및 교감 신경 차단술과 함께 동맥 내(intra-arterial) 프로스타글란딘 투여를 시행한 증례이다.

하지의 악성 흑색종에서 슬와 림프절 곽청술 시행례 (Popliteal Lymph Node Dissection in Lower Extremity Malignant Melanoma)

  • 김학영;장학;민경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85-488
    • /
    • 2009
  • Purpose: Malignant melanoma of the lower extremity is well known to metastasize to the lymph nodes of the groin. However, in rare cases, the initial site of the nodal disease can be the popliteal fossa. As of yet, there has not been any report on cases with popliteal lymph node metastasis in Koreans. In the following report, authors would like to present two cases of popliteal node metastasis. Methods: A 60 - year - 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nodular mass at his left sole. He had popliteal node metastasis detected on preoperativ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Another 67 - year - old man presented with pigmented lesion at his right heel. He also had popliteal node metastasis detected on the MRI. They underwent wide excision of the primary lesion with popliteal node dissection. Results: In the first case, $2.5{\times}2.5cm$ sized metastatic melanoma in popliteal node was pathologically confirmed.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o date(18 months after the surgery), the patient is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In the second case, multiple(4) metastatic melanoma in popliteal nodes was confirmed. The patient is alive, but has had interferon therapy for liver metastasis. Conclusion: By increasing the use of lymphoscintigraphy or PET as a preoperative diagnostic work - up for metastasis, even popliteal node metastasis undetectable in a physical exam becomes detectable. When metastatic lymph node is found, node dissection is the standard of ca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the anatomy and surgical technique for popliteal lymph node dissection.

소아암의 방사선치료후 발생한 이차 악성 고형 종양 -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 (Second Malignant Solid Neoplasms in Children Treated with Radiotherapy -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Literature -)

  • 정은지;서창옥;김귀언;유철주;김병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67-275
    • /
    • 1995
  •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등 암의 치료법이 점차 발전해감에 따라 치료후 장기간 생존하는 환자들이 많아지고 특히 소아암 치료후 장기 생존자가 증가하면서 여러가지 치료로 인한 합병증 및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중 중요한 하나가 이차암의 발생인데 본과에서 이차 악성 고형 종양 발생 환자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한 예는 우측 슬와부에 발생한 rhab-domyosarcoma group II로 수술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는데 3년7개월 후 방사선치료부위에서 osteosarcoma가 발생하였고 또 다른 한 예는 우측 하복부에 소장 악성 림프종이 발생하여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고 18년후에 방사선치료부위에 leimyosarcoma가 발생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소아암 치료후 이차암 발생의 위험 요인들을 고찰하였고 이차암에 대한 인식 및 세밀한 추적 조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발생한 급성 하지허혈증 (Acute Lower Limb Ischemia Associated with COVID-19)

  • 김형서;서진수;최준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50-454
    • /
    • 2021
  • 고혈압 이외에 급성 폐쇄동맥경화증의 내과적 위험요소가 없던 75세 남자 환자가 경한 발열을 동반한 기침, 호흡 곤란으로 내원하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진단을 받았다. 격리입원 치료를 시작한 지 1주일째에, 우측 족부의 동통 및 저린감을 호소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다음 1주일 동안 서서히 한랭감, 전족지의 색깔 변화와 족배동맥의 소실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 혈관조영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에서 좌, 우측 모두에서 슬와동맥 이하로 전, 후경골 동맥 및 비골동맥의 혈류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우측 총장 골동맥 내부에 혈전이 생성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측 하지에 대하여 경피적 풍선 혈관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항응고제 투여를 시행하였으며, 시술 직후부터 우측 족배동맥의 맥박이 온전히 촉지되고, 호소하던 한랭감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혈류가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측 족무지의 괴사는 회복되지 않아 결국 족무지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하지동맥 질환의 인터벤션: 전반적 치료 계획 수립 (General Treatment Strategy for Intervention in Lower Extremity Arterial Disease)

  • 원제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00-511
    • /
    • 2021
  • 하지동맥 질환의 유병률은 고연령 군에서 증가한다. 최근의 기술적 진보로 혈관 내 치료가 점점 더 많은 빈도로 시행되고 있다. 간헐적 파행의 치료 목표는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부학적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며 개통률이 치료 평가 기준이 된다. 임계 하지허혈을 가진 환자에서는 병변이 광범위하고 특히 무릎아래동맥을 심하게 침범한다. 임계 하지허혈의 치료 목적은 상처 회복을 촉진하고 주요 절단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사지 보존율이 평가의 기준이 된다. 장골동맥 협착의 치료에는 피복 혹은 비피복 스텐트 삽입술이 일차적 치료로 인정된다. 대퇴슬와동맥 질환은 죽종제거술과 함께 약물방출풍선 및 스텐트가 자주 사용되는 반면 무릎아래동맥 질환에서는 풍선확장술이 주요 치료 방법이다. 컴퓨터단층 혈관조영술은 절대적 금기증이 없는 환자에서 혈관 내 치료계획 수립을 하는데 로드맵을 제공한다.

사지동맥의 색전제거술 -26례의 분석- (Embolectomy of Arteries of Extremities -Clinical analysis of 26 cases)

  • 강종렬;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72-178
    • /
    • 1997
  • 인제대학교 서울 백병원에서 실시한 말초동맥 색전제거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87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26명의 환자가 색전제거술을 시술받았고 남자는 18명 여자는 8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56.8세 였다. 24명의 환자에서 휴식시 동통이 주소였고 2명의 환자에서 급성 증상의 회복후 장기간의 간헐적 파행을 호소하였으며 10명의 환자에서만 신경/근육 증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색전은 심인성으로 빈도가 높은 원인질환으로8명의 환자는 허혈성 심질환, 11명의 환자는 심장판막질환이 있었다. 동맥색전 부위는 상지동맥이 6명, 안장색전증이 2명, 하지동맥 18명이였고 대퇴동맥이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술전 동맥조영술은13명의 환자에서 진단과 수술계획을 위해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에서는 실시하지 않았다. 2명만이 6시간이내 색전제거술을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는 모두 6시간 이후에 수술하였 다. 모든 환자에서 우회로 조성술 엄이 포가티 색전제거 카테터를 사용하여 색전제거술을 하였는데, 상지동맥 색전증은 상완동맥 절개로 수술하였고, 안장색전증의 경우 양측 서혜부 절개로 접근하였으며, 하지동맥 색전증은 경대퇴동맥 접근을 하 느립\ulcorner3명의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 환자에서 재수술시 경술와 동맥 색전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후로 18명의 환자가 헤파린이나 푸락시파린으로 항응 고제 요법을 받았고 17명의 환자에서 퇴원시 와파린을 투여하였으며 항응고제 투여의 적응증은 심판막 질환, 심방세동, 말초동맥 죽상경화증, 재발색전 등이었다. 색전제거술후 14명의 환자에서 좋은 결과가 있었고, 5명에서 재수술후 증상 호전되었으며, 심한 하지동맥 죽상경화증을 보인 환자 1명에서 슬관절 이하 하지절단을 시행하였다. 색전재발은 1명, 사망 환자는 2명이 였는데, 사인은 각각 급성 신부전과 뇌동맥 혈전증이였다. 색전제거술 합병증으로 재관류 손상, 가성동맥류, 내막박리 등이 각각 1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지동맥 색전증치 진단이 지연되고 있고, 허혈성 심질환을가진 고령환자가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었다. 술전 동맥조영술은 항상 진단과 수술을 위해 필요하지 않으며 항응고제는 적응증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여하여 색전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의 경우, 경대퇴동 맥 접근으로 선택적인 경골동맥 색전제거에 어려움이 있었다.

  • PDF

베이커 낭종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Diagnosis of Baker's Cyst)

  • 김정만;라기항;남호진;박범용;최승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
    • /
    • 2010
  • 목적: 베이커 낭종에 대한 진단 방법으로 초음파 검사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비교하여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본원 정형외과 외래에 내원하여 슬와부의 종물 증상을 호소하는 41명, 42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전례에서 초음파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종물의 형태와 위치, 격막 유무, 다발성 유무, 관절과의 교통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에서 40예의 베이커 낭종과 2예의 지방종이 관찰되었고, 40예의 낭종은 모두 내측에 위치하고 있었고, 단발성이면서 격막이 존재하는 경우는 11예, 다발성 낭종인 경우는 3예 였으며, 단발성 낭종으로 교통성은 26예에서 추정되었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는 40예의 베이커 낭종과 2예의 지방종이 관찰되었으며, 낭종 모두 내측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격막이 존재하는 경우는 13예, 다발성 낭종인 경우는 3예 였고, 교통성은 15예에서 추정되었다. 결론: 초음파 검사는 베이커 낭종의 관절내로의 교통성을 명확히 알수는 없었으나, 감별진단, 낭종의 위치와 형태 등을 적은 비용으로 알아보기 위한 유용한 검사로 생각된다.

  • PDF

정상 반월상 연골의 혈관 분포 (Microvasculature of Human Menisci)

  • 김상훈;조홍식;이한영;이기범;민병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57
    • /
    • 2003
  • 목적 : 정상 반월상 연골을 형태학적으로 계측하고 혈관 분포를 조사하여 연령과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1구의 사체에서 반월상 연골을 채취하여 이를 연령별로 3군으로 나누고 각각을 10개의 절편으로 나누어 반월상 연골의 폭(width)과 혈관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결과 : 반월상 연골의 평균 폭은 내측이 $10.4{\pm}2.92mm$, 외측이 $10.55{\pm}2.05mm$로 측정 되었다. 혈관 분포 범위는 내측이 $20.29{\pm}8.44\%$, 외측이 $18.99{\pm}7.03\%$이었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혈관 분포는 내측의 경우 전각의 혈관 분포가 가장 풍부하였고(p<0.05), 외측의 경우 후각의 혈관 분포가 가장 풍부하였으며(p<.0.05) 슬와근부에서도 혈관 주행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내측은 전각, 체부, 후각 모두 혈관 분포가 감소하며 외측은 체부와 후각에서 혈관 분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의 혈관 분포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달랐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내측과 외측에서 모두 전체적인 혈관 분포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