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슬로 푸드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Slow Food 의 조리과학적 접근 -전통발효음식 장류 중심으로-

  • 박금순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0 no.3
    • /
    • pp.317-334
    • /
    • 2004
  • 슬로 푸드는 대량생산과 규격화, 산업화, 기계화를 통한 맛의 표준화와 전 지구적 미각의 동질화를 지양하고 나라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전통적이고 다양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목적으로 1986년부터 이탈리아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된 식생활 운동이다. 그러나 1990년대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광우병 파동과 함께 슬로 푸드 운동은 단지 미각의 문제에서 벗어나 유기농 문제 등으로 관심의 폭이 넓혀졌다. 나아가 생활 속에서 여유를 찾아 느리게 살기 슬로라이프(slow life) 운동으로까지 이어졌다. 그래서 슬로 푸드 운동은 느림의 상징인 달팽이를 심벌 마크로 하고 있다.(중략)

A Study on the Reinterpreting of Shintoburi Movement as Alternative Agri-food System (대안적 농식품체계로써 신토불이 운동의 재해석)

  • Hyun, Eui-Song;Lim, Hyung-Baek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6 no.2
    • /
    • pp.305-335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lternative agri-food system among Korea, Japan, USA and Italy. This study explore the situation and its challenge of alternative agri-food system. Alternative agri-food system is movement against global agri-food system and food multinationalization. Four alternative agri-food system not only have something in common but also have something in difference. We tried to make clear the commons and differences. But many these ideas were useful in someways, but none could be used to explain everything. This study was the touchstone of Korea's alternative agri-food system. We introduced simplistic ideas and compared four alternative agri-food system. This study sparking renewed discussion about Korea's alternative agri-food system, namely, 'The domestic farm products are the best mov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