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티칭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Fast stitching algorithm by using feature tracking (특징점 추적을 통한 다수 영상의 고속 스티칭 기법)

  • Park, Siyoung;Kim, Jongho;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77-18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을 입력 했을 때 특징점 추적을 통한 다수 영상의 고속 스트칭 기법을 제안한다. 빠른 속도로 특징점 추출을 위해서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기법을 사용한다. 특징점 정합과정은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Mean shift 를 통해 특징점이 포함된 영역을 추적하여 벡터(vector)를 구한다. 이 벡터를 사용하여 추출한 특징점들을 정합하는데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점(outlier)을 제거하기 위해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기법을 사용한다. 입력된 두 영상의 호모그래피(homography) 변환 행렬을 구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G Tool for Validating Acquisition and Generation Technology of VR Video (실사 VR영상 획득 및 생성 기술 검증용 CG툴)

  • Jeong, Jun Young;Yun, Kugjin;Cheong, Won-sik;Seo, J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29-230
    • /
    • 2019
  • 실사 기반의 VR (Virtual Reality)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리그 (rig) 설계 기술, 스티칭(stitching) 기술, 3 차원 공간 정보 추정 기술 등 여러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려면 카메라 위치, 피사체 거리, 조명 정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수 많은 실험을 수행해야 하는데, 실사 조건에서 이를 직접 수행하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원하는 실험 조건을 쉽게 구성할 수 있는 컴퓨터 그래픽스 (CG: Computer Graphics) 환경 상에서 먼저 실험을 진행한 이후 실사로 확장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접근법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VR 영상의 생성에 요구되는 다양한 기술을 연구할 때 활용할 수 있는 CG 기반의 툴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Video Blending based on Minimal Error Seam (경계 오류를 최소화한 동영상 블렌딩)

  • Shin, Seoyoung;Yoon, Seohyeon;Jung, Heemin;Kim, Junsik;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301-304
    • /
    • 2018
  • 현재 기술의 블렌딩 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기법은 각각의 이미지들을 스티칭 후 동영상을 재생하므로 이전 프레임의 경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움직임이 동일한 경계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연결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하여 자연스러운 영상 재생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각 영상의 frame 을 추출하여 경계의 가중치를 비교한 후 차이가 클 경우 새로운 경계를 생성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고안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블렌딩 된 동영상의 초기 오류가 크게 감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오류를 최소화한 동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mplement and Design of Viewer System based on the Panoramic Virtual Reality (파노라마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뷰어 시스템 설계와 구현)

  • Kim, Chang-Ki;Hong,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983-986
    • /
    • 2013
  •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컴퓨터를 활용한 일상생활의 편리함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며, 현대인의 바쁜 일상은 보다 나은 효율적인 생활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특정 장소에 가보지 않고 그곳을 컴퓨터를 통해 간단한 조작으로 가상의 공간을 탐색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파노라마 가상현실(panoramic virtual reality)을 이용해 보다 편리한 가상 세계의 탐색의 경험을 도운다. 가상현실을 구성하는 장면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스티칭, 편집 그리고 가상머신의 이용법, 핫스팟을 통한 장소와 장소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소개한다.

Quality Benchmark of 360 Panoramic Image Generation (360 도 파노라마 영상 생성 기법의 품질 측정 기법 비교)

  • Kim, Soo Jie;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2-21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6 Fisheye lens 원본 영상에 대하여 Insta360 stitcher, AutoStitch[4], As-Projective-AsPossible(APAP)[5] 스티칭 방법으로 360 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기하학적 왜곡과 컬러 왜곡을 비교 평가한다. 360 도 파노라마 Image Quality Assessment(IQA) 메트릭으로 Natural Image Quality Evaluator(NIQE)[6], Blind/Referenceless Image Spatial Quality Evaluator (BRISQUE)[7], Perception based Image Quality Evaluator(PIQE)[8], Feature Similarity(FSIM)[9] 그리고 high frequency feature 에 대한 Structural Similarity(SSIM)[10]을 측정하여 정량적 평가를 하며 정성적인 비교를 통하여 파노라마 영상의 품질과 평가 메트릭에 대한 벤치마크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Mask Removal Photos Using Image Stitching (Image Stitching을 활용한 마스크 제거 사진 생성 연구)

  • Choi, Jinnyeong;Shin, Dongju;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507-508
    • /
    • 2022
  •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실내외 사진 촬영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며, 2022년 5월 기준 야외 마스크에 대한 의무 착용이 해제되었지만, 여전히 야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대다수 존재한다. 또한 코로나 발생 후 약 2, 3년간 소중한 가족들 및 지인들과의 찍은 중요한 사진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그대로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노라마 기술인 Image Stitching 기술을 활용하여 마스크 제거 사진 생성 연구에 대해 기술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들의 실내외 마스크 착용 시 촬영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전 마스크 착용 사진들을 복원함으로써 만족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Visual and Auditory Inducement of VR Image Contents and the Inducement Components of for Immersion Improvement (몰입감 향상을 위한 VR 영상 콘텐츠의 시청각 유도와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Lee, Lang-Goo;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495-500
    • /
    • 2016
  • Since 2016, the VR market has been on the rapid growth. The most critical and arising issue in the VR market is VR contents. That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king techniques and various VR contents to satisfy users' immersion and interaction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VR image contents, conduc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components of visual and auditory inducement to keep and improve immersion, and thereby tried to find a right direction of visual and auditory inducement. As a result, the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of visual and auditory inducement were found to be photographing, edition, lighting, stitching, graphics, effect, voice actor's narration, dubbing, character voice, background sound, and sound effect; its technical and content components were found to be photographing technique, edition technique, lighting, stitching, graphics and effect, sound and sound effect, and theatric direction based on Mise-en-Scene, lines and narration of characters, and movements of characters and objets. For VR image contents, not only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but technical and content components are necessary to improve immers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e to research them.

Study on the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and Stitching on the Fracture Behavior of Composite Laminates (계면처리와 스타칭이 복합적층판의 파괴거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ong, S.Y;Hwang, W;Park, H.C;Han, K.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0 no.3
    • /
    • pp.806-815
    • /
    • 1996
  • The interlaminar fracture behavior of woven laminates under static and cyclic loadings has been studied using DCB(double cantilever beam) specimens. The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and stiching on the fracture behavior of composite laminates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Fracture toughness has been improved by surface treatment because the surface treatment can change the fracture mechanism of laminates. SCB(stitched cantilever beam) model has been proposed to quantify the effect of through-thickness resinforcement(stiching) in improving the delamination crack growth resistance. Distributed loads which are transfered to through-thickness fibers can be calculated by the SCB model. And fracture energy increase due to the distributed load can be predicted by a power function of the distributed load. A new parameter agreed well proposed predict fatigue crack growth rate. The predictions using this parameter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Automatic Layout Decomposition for DPT (DPT를 위한 자동 레이아웃 분리)

  • Moon, Dong-Sun;Shin, Hyun-Chul;Shin, Jae-P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5 no.4
    • /
    • pp.124-130
    • /
    • 2008
  • Automatic layout decompositio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double patterning technology (DPT). As CMOS manufacturing process scales down to 45nm and below, lithography resolution needs to be improved. DPT has been proposed to enhanc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lithography, by decomposing the layout design into two masks to relax the minimum spacing requirement. However,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decompose a layout into two masks. We have developed new automatic stitching techniques to resolve this probl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techniques are promising in decomposing layouts for DPT.

Stabilization Technique for 360 VR Video Sequences (360 VR 영상용 흔들림 제거 기술)

  • Kim, Geun-Bae;Lee, Jae-Yung;Han, Jong-K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2 no.6
    • /
    • pp.817-828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stabilization algorithm for 360 VR sequence, where the geometric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rojection formats have been utilized. The proposed scheme consists of '1st stitching', 'extraction of wide angle picture from VR data', 'stabilization', and '2nd stitching'.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algorithms in the viewpoint of image quality for end-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