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 대처 모형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9초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Stress - Coping - Adaptation model for Unwed Mothers : It's Empirical Test)

  • 이현주;엄명용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113-140
    • /
    • 2013
  • 본 연구는 미혼모의 스트레스와 대처, 적응의 모형과 그 변인과의 관계를 Lazarus and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stress-coping-adaptation)' 의 이론적 모델에 입각해 검증하고 분석하여 미혼모의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적응을 도모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423명의 미혼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Lazarus and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 의 이론적 모델을 기초로 구성한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의 실증적 자료는 적합성이 확인되었고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 자원과 스트레스, 대처, 적응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 추구' 의 조절효과를 제외한 연구의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미혼모의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의 개념적 모형 (The Conceptual Model of the Effect on the Motivation with Job Stress of the Emergency Nurse)

  • 오흥숙;전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54-958
    • /
    • 2010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보다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직무만족 및 효율적인 간호활동에 도움을 주기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트레스와 동기부여 이론을 제 고찰해보고, 응급실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사들의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스마트폰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의 구조모형분석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Interpersonal problem, Stress coping strategy,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 이유리;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93-29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스트레스대처방식, 정신건강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문제는 정신건강의 심각성을 악화시키는 직접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대처전략은 대인관계문제와 정신건강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대처는 위험요인, 적극적 대처는 보호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운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의 변화 (The Change of Traffic Accident Risk Degree by Driving Stress Coping Patterns)

  • 이순열 ;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3호
    • /
    • pp.431-446
    • /
    • 2009
  • 본 연구는 운전자들의 운전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전국 5개 지역의 372명의 운전자들에게 64개로 구성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예비문항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한 결과, 2개(순행적, 역행적)의 요인으로 구성된 총 24개 문항의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가 개발되었다. 이들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타당화 연구를 위해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와 운전자 대처 질문지(DCQ), 그리고 운전자의 위험한 운전행동(음주운전, 과속운전, 법규위반, 피해사고, 가해사고)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는 운전자 대처 질문지(DCQ)와 운전자의 위험한 운전행동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Q)의 순행적 요인과 역행적 요인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아차사고, 주변평가 사고위험, 자기평가 사고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순행적 요인과 역행적 요인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으로 향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절한 적합도 지수를 보였다. 경로들의 영향관계에서 순행적 요인은 교통사고 발생위험을 유의하게 낮추지만, 역행적 요인은 교통사고 발생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Dual-Earner Couples: Moderating effect of three types of coping strategies)

  • 임인혜;유성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551-57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6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 369쌍(아내 369명, 남편 36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문제중심, 사회적 지지추구, 긍정화), 일-가정 갈등, 결혼만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기반으로 세 가지 스트레스 대처 전략 각각의 조절효과를 일→가정, 가정→일 갈등의 방향을 구분하여 6개의 연구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조절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문제중심대처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자신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아내의 문제중심대처가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의 가정→일 갈등이 본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남편 자신이 사용하는 문제중심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추구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아내가 사용하는 사회적 지지추구가 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긍정화 대처의 경우에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가정→일 갈등에서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마트폰 중독의 구조모형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이유리;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23-329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공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극적 대처방식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소극적 대처는 스마트폰 중독을 악화시키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영향력 분석결과,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더 높고, 남학생의 경우 적극적 대처방식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중재할 수 있는 유용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문화청소년들의 스트레스대처, 사회적 지원,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태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Relationships Among Stress Coping Strategy,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ttitude, of Adolescents with Multi Cultural Family Background)

  • 이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60-7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학업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원,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율인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요인 간의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 간에 차이를 검증하였다. 학년과 가족의 월평균 수입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거주기간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는 인간관계와 수업참여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음(-)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 모두 스트레스와 학업태도 간의 관계에서 정(+)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of Child Welfare Employees)

  • 강현아;노충래;박은미;신혜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107-127
    • /
    • 2008
  •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요인(역할 갈등, 아동복지 업무고충 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의 양에 대한 인식이 소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지 그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정위탁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 담당자들로 총 190명을 포함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보다는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대한 인식은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

정보화 추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Influenc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f the information world)

  • 임근옥;최연택;최용금;이동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09-514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대학생의 성격5요인 유형이 다양한 스트레스원에 의해 나타난 스트레스대처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대처방식 하위요인 중 (1) 사회적지지추구대처방식은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2) 문제중심적대처방식은 성실성, 외향성, 호감성, 개방성 (3) 회피중심적대처방식은 신경성, 성실성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성격에 맞는 상담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격5요인이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분석도구로 SCi = ${\beta}0$ + ${\beta}1$ Neuroticism + ${\beta}2$ Extraversion + ${\beta}3$ Openness to Experience + ${\beta}4$ Agreeableness + ${\beta}5$ Conscienti- ousness + ei 의 회귀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자기존중감 및 통제소재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 (Effects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to Military Life on Soldiers Adjusting: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 이주희 ;김정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3호
    • /
    • pp.299-315
    • /
    • 2015
  • 본 연구는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요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구조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군 적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 육군 소속 이병에서 병장까지의 현역 병사 44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 군 적응이 측정되었다. 신뢰도 검사를 통해 각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기존중감, 내적 통제와 같은 내적 특성이 각각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가 군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통제, 자기존중감이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를 통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 방식이 내적 특성과 군 적응 사이의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함을 밝힌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 특성과 적응 간의 연구들에 제한점을 주는 것으로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립이나 대처 행동 훈련과 같은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