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

검색결과 11,328건 처리시간 0.04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트리플 리브 슬래브의 전단성능 (Shear Capacity of Precast Concrete Triple Ribs Slab)

  • 황승범;서수연;이강철;이석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89-496
    • /
    • 2016
  • 최근, 건물의 자중을 저감시킴으로서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중공 PC슬래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중공 PC슬래브인 HCS는 생산방식 특성상 전단보강근의 배근이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최근 새로운 형태의 부분 PC 슬래브 시스템인 Tripple Ribs Slab (TRS)가 개발되었다. TRS는 전단보강근의 배근이 가능한 하프PC형 중공슬래브이다. 본 연구에서는 TRS의 전단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공단계별로 형성되는 단면조건에 대하여 비대칭 1점 가력으로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 강도를 기준 식들과 비교하였다. 실험에서의 변수는 CIP 유무와 래티스바의 유무 또는 래티스바의 종류이다. 실험으로부터, TRS는 설계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전단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실험체의 강도는 국내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제시하는 일반식으로 적절하게 예측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IP가 타설되지 않은 시공단계에서는 래티스바의 기여도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래티스바의 전단강도를 제외하고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프리스트레스트 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 및 해석 (Flexural Behavior and Analysis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Prestressed CFRP Plates)

  • 양동석;박준명;유영찬;박선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67-47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부착 유무, 정착장치 유무, 긴장량, 경간 길이 등을 실험 변수로 하여 총 13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여 휨 성능 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1개의 표준시험체, 2개의 긴장력을 도입하지 않는 보강시험체, 4개의 긴장력을 도입한 비부착보강시험체, 4개의 긴장력을 도입한 부착시험체와 2개의 경간 길이가 다른 보강시험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비선형, 철근 및 탄소섬유와 콘크리트와의 계면 특성을 고려한 DIA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긴장력을 도입한 보강된 시험체는 박리 파괴가 아닌 FRP 파단에 의하여 최종파괴가 되었다. 특히, 긴장력을 도입한 부착시험체는 1차, 2차 박리가 발생 후, 정착장치의 고정으로 인하여 부착시스템에서 비부착시스템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시험체의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긴장력을 도입한 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모든 시험체는 연성지수가 3이상 나타나 어느 정도 이상의 연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박리하중과 항복하중 및 극한하중에서 실험값과 해석값이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초기성인(20-39세)의 동반식사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상태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 (Convergence Study of Eating Together And Mental Health within 20-30's : Using 6th(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

  • 정명숙;송혜영;김원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87-298
    • /
    • 2018
  •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초기성인의 동반식사 유무를 통한 정신건강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0-30대 3,71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식습관에 따른 정신건강을 파악하고자 교차분석을 하였고 초기성인층의 정신건강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들을 보정하였을 때, 남자는 아침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우울감 여부, 저녁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자살생각 여부가 낮게 나타났고, 여성은 아침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스트레스 여부가, 점심식사 동반자가 있는 경우 자살생각 여부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성인의 건강한 식습관과 긍정적 정신건강을 위해 함께 식사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 및 기관의 공간 개선과 동반식사에 대한 필요성의 홍보가 부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초기성인의 식습관관리 활동에 필요한 다각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식습관 문화 교육을 통해 동반식사 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수온 하강에 따른 참돔, Pagrus major의 생존율 및 생리 반응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with Decreasing Sea Water Temperature)

  • 신윤경;김영대;김원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1-136
    • /
    • 2018
  • 겨울철 수온의 변동으로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어류가두리 양식장에서 관리하고 있는 어류의 폐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대성 어류인 참돔을 대상으로 저수온 하한내성 범위 및 수온 하강에 따른 호흡률, 암모니아질소 배설률과 혈액내 산화스트레스 반응을 조사하였다. 참돔의 하한내성수온은 $6.54^{\circ}C$(95% 신뢰한계: $6.31{\sim}6.76^{\circ}C$)였다. 산소소비율은 수온 하강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하한수온에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삼투질농도는 수온 $5^{\circ}C$$6^{\circ}C$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SOD는 모든 실험구 가운데 수온 $5^{\circ}C$에서 유의하게 활성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돔을 양식할 수 있는 지역선정 및 겨울철 발생하는 동계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자료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습사료에 첨가한 유용미생물 및 한약재 혼합제(한방천ㆍ어력천) 특성과 혼합 첨가제가 넙치간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 여인규;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4
    • /
    • 2004
  • 유용 미생물과 한약재가 포함된 새로운 사료첨가제의 다양한 농도(0.3, 0.6 및 0.9%)에 따른 넙치의 간기능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사료첨가제의 특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첨가제에 포함된 유용미생물(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 및 광합성균)의 총수는 한방천이 5.6${\times}$$10^{8}$ CFU/g이었으며, 어력천은 3.0${\times}$$10^{8}$ CFU/g 이었다. 앙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사료의 병원미생물(Edwardsiella tarda, Vibrio anguillarum and Streptorwccus sp.)은 모든 첨가군에 있어서 첨가제의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간중량 지수는 0.3%의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중의 단백질량은 모든 첨가군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간장내의 단백질량은 대조군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생체방어기작을 하는 catalase 및 superoxide dismutase는 0.3% 및 0.6% 첨가군에서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약재와 유용미생물 혼합 사료첨가제의 사용으로 넙치의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대시켜 어류스트레스의 면역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간호대학생의 건강행위 예측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Health Behaviors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in Korea)

  • 이성은;오가실;박영주;김정아;김희순;오경옥;이숙자;전화연;정추자;최상순;강현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78-288
    • /
    • 2004
  •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sed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health behaviors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in Korea. Study subjects: Four hundreds seventy eight university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by random cluster sampling from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iddle area of Korea. Data colle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ressful life ev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Results: 1. Living with(out) family did not show direct effect on health behaviors. 2. Stressful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showed indirect effect on health behaviors via perceived health status; higher score of stressful life events predicted negative health behaviors. 3. The higher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predicted positive health behaviors. Recommendation: To improve the health behavior of nursing student, the program for positive perceived health status is necessary, which includes the social support and stressful life event control program. Each nursing school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the program for increasing positive perceived health status.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develop health program separatel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or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following studies could be suggested to identify and promo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measurements.

  • PDF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 평가: 가뭄지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MODIS NDVI for Drought Monitoring : Focused on Comparison of Drought Index)

  • 박정술;김경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17-129
    • /
    • 2009
  • 2000년 이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봄 가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제작한 식생지수의 변화를 통해 가뭄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 모니터링은 가뭄의 변화를 시 공간적으로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MODIS 영상과 같이 주기 해상도가 뛰어난 저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식생지수의 활용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평가는 식생 활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기상학적 요인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실제 식생 스트레스를 초래하는 직 간접적인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이로 인해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평가는 다수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한 가뭄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뭄관리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가뭄분석 도구와의 비교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식생지수인 NDVI를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PDSI, SPI와 비교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제시함으로써 가뭄평가를 위한 식생지수의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시기를 대상으로 NDVI와 지속기간 6개월의 SPI변화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NDVI는 식생피복을 갖는 내륙지역에서 가뭄지수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악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부분틀니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maxillary partial edentulous patients using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이보라;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8-135
    • /
    • 2014
  • 부분 무치악 환자는 고정성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소수 잔존치아만 남은 경우, 고정성 보철로는 수복이 어려우며, 국소의치 혹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고려하게 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은 고정성 수복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충분한 개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전신적, 국소적 여건이 합당해야 하고, 경제적 부담도 크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에 의한 대칭적인 지지가 중요하며, 특히 중심선에 대해 편측으로 소수 치아만 남은 경우에는 지점선에 대해 지대치에 유해한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지대치의 예후가 불량해진다. 이 경우,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의치의 유지 및 지지 요소로 활용하는 가철성보철물을 설계한다면 비용 대비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 수복이 가능해진다. 본 두 증례는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 환자 중 편측으로 소수 잔존치가 전치에 국한하여 존재하는 경우로, 잔존치를 지대치로 사용하면서,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의치의 지지가 향상된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이다.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A conversion to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failed fixed implant prosthesis of mandible: A case report)

  •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61-168
    • /
    • 2020
  •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실패는 과도한 교합스트레스와 같은 생역학적인 요인과 세균 감염, 염증과 같은 생물학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임플란트 합병증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악화되어 심한 골흡수가 일어난 임플란트는 제거되어야 하며, 제거 후 잔존 치아와 잔존 임플란트 및 잔존 치조제를 고려하여 새로운 치료를 계획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무치악부에 약 10년 전 식립한 하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 중 일부를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하여 제거하게 되었다. 추가 임플란트 재식립을 위한 잔존 치조골의 상태를 재평가 하고 소수의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 후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지대치로 하는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최종 치료하였다. 이를 통해 실패 이후 저작기능을 다시 회복하고 구강위생 관리에 유리한 조건으로 전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양송이버섯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항돌연변이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garicus bisporus Ethanol Extracts)

  • 윤미자;오세인;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24
    • /
    • 2009
  • 식용 및 약용으로 예로부터 널리 이용하는 양송이버섯 추출물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활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양송이 버섯(Agaricus bisporus)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Ames test를 통한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탐색하였다.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알아본 결과, 양송이 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MDA와 BSA의 교차결합 형성을 100mg/assay이었을 때 72.21% 저해하였다. $Fe^{2+}$에 의해 유도된 지질의 과산화에 대한 저해율은 2.0 mg/assay일 때 24.96% 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 mg/assay일 때 52.75%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율은 증가하였다. $IC_{50}$ 값으로 항산화능의 상대적 비교를 하였을 때 양송이버섯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가장 강하였으며, 그 다음은 지질과산화 억제능이었고 MDA와 BSA의 교차결합 억제능이 가장 낮았다.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알아본 결과, 양송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 균주에서 직접작용 돌연변이능을 각각 100% 저해하여 매우 효과적이었다. 간접작용 돌연변이능 저해효과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에서 86.09%,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는 81.93%로 나타나 양송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직접, 간접작용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가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양송이버섯은 항산화성과 항돌연변이성이 우수하므로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