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지수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34초

얼굴영상을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Index Estimation using Face Image)

  • 박진수;홍광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24-8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얼굴영상을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영상으로부터 스트레스 지수(Stress Index)를 추정하기 위해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의 색상공간을 RGB에서 YCgCo로 변환한다. 검출된 얼굴영역에서 프레임별 Cg값의 평균을 구하고 Cg신호의 주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추정한다. 제안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PPG(Photoplethysmogram) 측정 장비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와 얼굴영상을 이용하여 얻은 스트레스 지수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성능평가 결과 오차율이 8.32%인 것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Oral habits and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High school students)

  • 이가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울산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33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턱관절 장애지수는 구강 악습관 지수, 학교생활 스트레스 지수, 가정생활 스트레스 지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지수, 자아 영역 스트레스 지수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구강 악습관 및 각종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계선택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 악습관 지수가 턱관절 장애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아 영역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학생일수록 턱관절 장애지수가 높았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즉, 구강 악습관이 지속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학생일수록 성인이 되었을 때 턱관절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Y(턱관절 장애지수)=2.563+.550X1(구강악습관지수)+.134X2(자아영역 스트레스지수) 의 회귀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성인으로 이어지는 턱관절 장애의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구강 악습관을 개선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반도의 날씨 스트레스 지수 NET(Net Effective Temperature) 분포의 특성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NET(Net Effective Temperature) with a Function of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in Korea)

  • 허인혜;최영은;권원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26
    • /
    • 2004
  • 본 연구는 상대적 날씨 스트레스 지수로 NET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상청에서 예보하고 있는 기온, 습도, 바람 자료를 이용하여 NET 값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름철 스트레스 지수인 일 최고 NET의 지역별 스트레스 기준값은 바람과 습도보다는 기온의 영향을 받으므로 일 최고 기온의 분포와 유사하다. 겨울철 스트레스 지수인 일 최저 NET의 스트레스 기준값은 산지 지역과 서울 이북 지역에서는 낮은 기온의 영향을. 해안 지역에서는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기준값이 여름철에 비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 스트레스가 강한 날의 발생 빈도는 여름철은 뚜렷한 연변화가 나타나지 않지만, 겨울철에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뚜렷한 증가 경향을 보인다.

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ress on the Happiness Index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 김은영;임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81-39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낙관성을 매개로 스트레스가 행복지수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3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362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에 있어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행복지수, 낙관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행복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행복지수를 저하시켰다. 낙관성은 스트레스와 대학생의 행복지수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와 낙관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전략의 하나로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요구된다.

스트레스 지수 처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Stress Index Processing Algorithm)

  • 한승헌;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35-138
    • /
    • 2007
  • 누구나 한번쯤은 스트레스란 말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왜냐면 살아가는 동안 주변의 여러 가지 정신적 육체적 압박, 갈등, 좌절, 결핍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스트레스는 우리 주변에 언제나 존재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스트레스 측정방식은 심리적 방법과 생체적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주관성, 객관성, 그리고 과학성의 불균형으로 스트레스 정도의 정확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심리적 측정결과와 생체적 측정결과를 혼합해서 지수화 하여 보다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기 위한 지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스트레스 멀티지수 분석 표현기법 (Stress Multi-Index Analysis Expression Technique)

  • 한승헌;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717-1722
    • /
    • 2008
  •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트레스 측정에는 심리측정과 생체측정이 있다. 어느 한쪽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주관적이거나 객관적 결여가 발생한다. 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두 측정을 혼합한 새로운 스트레스 지수가 필요하다. 개인적 특성에 따라 측정 결과도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경우를 고려하여 연구하였다. 심리와 생체 측정 도구를 통해서 얻어지는 지수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스트레스 지수를 얻는다. 그래서 임의로 4가지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한다. 각 측정도구에서 나온 결과에 대한 멀티지수가 나타나는데, 그 지수들을 각각 좌표평면에 나타내어 스트레스에 대한 균형성과 편향성을 분석하고 진단한다.

TV 프로그램 시청이 직장인의 스트레스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tching TV Programs on Employees' Stress and Communication)

  • 천경주;이상옥;김유리;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94-404
    • /
    • 2018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직장인의 높은 스트레스 지수와 낮은 의사소통 지수의 현상을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TV 시청의 방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스트레스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총 20주간 진행 되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TV 프로그램 시청' 방법을 사용하여 점심식사 이후 30분간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청에 앞서 먼저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TV 프로그램 시청' 수행 후 실험 참여자들은 일상 업무로 복귀하여 오후 일과를 다시 시작하였고, 20주 후 실험 참여자들의 스트레스 및 의사소통 지수를 한 번 더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는 30~50대의 직장인들이 실험 전과 후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30대는 스트레스 감소와 의사소통 증가량이 크게 나타나, 다른 연령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가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TV 시청이라는 새로운 방법이 사내 직원들의 스트레스 완화와 의사소통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동안 기업에서는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여 왔지만, 그 효과나 지속성 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본 연구의 점심시간을 통한 30분의 짧은 'TV 프로그램 시청'이 직장 내에서 직원들의 높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낮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접근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특정요인에 따른 스트레스 변형지수 알고리즘 (Stress Modification Index Algorithm Following Specific Factors)

  • 한승헌;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09-814
    • /
    • 2008
  •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토록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우리의 삶에 항상 존재하면서도 해결하기 쉽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이다.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 정립이 아직 확실하지 않고, 다양한 해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접 근방법도 다양하다. 그리고 개인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가 많고,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심리적 영향과 생체적 영향을 통합해서 지수로 나타내어 스트레스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고 해석 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변형 지수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통계 자료와 특정 집단에서 이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스트레스의 정도를 지수로 표현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표정과 음성 감성 분석을 통한 통합 스트레스 분석 시스템 (An Integrated Stress Analysis System using Facial and Voice Sentiment)

  • 이애진;전지원;유수화;김윤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2
    • /
    • 2021
  • 현대 사회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로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효과적인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속 인물의 표정과 음성 감성 분석을 통한 통합 스트레스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영상 속 인물의 표정과 음성 감성 분석 후 각 감성값에서 스트레스 지수를 도출하고 정량화한다. 표정과 음성 스트레스 지수로 도출된 통합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강도가 높음을 증명하였다.

표준강수지수와 수량 스트레스 관계분석 연구 (Correlation Analysis of SPI and Water Quantitiy Stress)

  • 홍승진;김길호;김경탁;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7-3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에 발생한 가뭄 분석을 위해 표준강수지수를 활용하였으며, 가뭄분석을 위해 한강유역에 실제로 발생한 가뭄사상 중에 한강유역에 조금 더 많은 피해를 미친 것으로 조사된 2000 - 2001년에 대해 가뭄과 수량 스트레스 관계를 살펴보았다. 수량 스트레스값은 강수에만 영향을 받고 있는 값보다는 실제 가뭄 피해의 영향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수량 스트레스의 결과값과 상호 비교하였다. 이는 실제 발생한 기상학적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수량 스트레스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가뭄 피해 발생 시기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표준강수지수 SPI3, SPI6, SPI12을 분석하기 위해 2000년 1월 - 2001년 12월까지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와 함께 수량 스트레스의 경우 월별 최대 NDI 값을 추출하여 월단위 자료를 구축하였다. 표준강수지수와 NDI 값을 상호 비교한 결과 2000 - 2001년에 발생한 가뭄 사상의 경우, 실제 피해가 발생한 시점은 2001년 3월 - 5월에 발생한 동아시아 지역의 가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유역의 대부분에서 수량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시기와 SPI3로 인한 가뭄 발생시기가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SPI6와 비교분석해본 결과 기존 SPI3에서 나타낸 2001년 5월에 발생된 가뭄 발생은 실제 수량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2001년 5월 이후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수량 스트레스 발생 시기와는 상관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I12에서는 대부분의 유역에서 2000년에는 가뭄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한강유역에 발생한 가뭄 피해를 생각해보면, 2001년에 발생한 가뭄 자체가 단기적인 가뭄의 영향이 아닌 장기적인 가뭄의 영향을 띄고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으며, 2000년대 초반 극심한 가뭄 피해를 입힌 2001년 가뭄은 지속적인 가뭄 동반한 장기 적 가뭄 피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수량 스트레스와 가뭄을 연계하여 가뭄 해석에 활용한다면, 추후에 좀 더 정확한 가뭄 피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