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토리 생성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story-based growth type content using 3D printing (3D프린팅을 활용한 스토리 기반 성장형 콘텐츠 개발)

  • Lee, Young che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1
    • /
    • pp.27-32
    • /
    • 2018
  • Recently, diverse bio-growth and object production experience learning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for AR-based storytelling. In this paper, we will develop a storytelling-based growth type content using 3D printer which can add interest in and motiv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characters produced by 3D printer as they can be used as personal collections. The bio-growth type content enables the learners and users to experience the local culture, history, and tourism ecology, which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by promoting their understanding in a fun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lication for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s which creates a virtual environment in an object smart device where you can experience the culture and ecology of a learning community, and then produce the output using the 3D printer to keep as a personal souvenir. The developed contents application for experiential learning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students but also for tourists.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source for further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through 3D printing technology.

Mobile Device and Virtual Storage-Based Approach to Automatically and Pervasively Acquire Knowledge in Dialogues (모바일 기기와 가상 스토리지 기술을 적용한 자동적 및 편재적 음성형 지식 획득)

  • Yoo, Kee-D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8 no.2
    • /
    • pp.1-17
    • /
    • 2012
  • The Smartphone, one of essential mobile devices widely used recently, can be very effectively applied to capture knowledge on the spot by jointly applying the pervasive functionality of cloud computing. The process of knowledge capturing can be also effectively automated if the topic of knowledge is automatically identifie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automatically acquire knowledge on the spot by combining technologies of text mining-based topic identification and cloud computing-based Smartphone. The Smartphone is used not only as the recorder to record knowledge possessor's dialogue which plays the role of the knowledge source, but also as the sensor to collect knowledge possessor's context data which characterize specific situations surrounding him or her. The support vector machine, one of well-known outperforming text mining algorithms, is applied to extract the topic of knowledge. By relating the topic and context data, a business rule can be formulated, and by aggregating the rule, the topic, context data, and the dictated dialogue, a set of knowledge is automatically acquired.

Workload-Aware Page Size Modeling for Fast Storage in Virtualized Environments (가상화 환경에서 고속 스토리지를 위한 워크로드 맞춤형 페이지 크기 모델링)

  • Bahn, Hyokyung;Park, Yunj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2 no.3
    • /
    • pp.93-98
    • /
    • 2022
  • Recently, fast storage media such as Optane have emerged, and memory system configurations designed for disk storage should be reconsider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page size on the memory system performances when fast storage is adopted. Based on this, we design a page size model that can guide an appropriate page size for given workloads in virtualized environments. Configuring different page sizes for various workloads is not an easy matter in traditional systems, but due to the widespread adoption of cloud systems, page sizing performed in our model is feasible for virtual machines, which are generated for executing specific workloads. Simulation experiments under various virtual machine scenario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improves the memory access time significantly by configuring page sizes for given workloads.

Exploring Narrative Intelligence in AI: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Homo narrans (인공지능의 서사 지능 탐구 : 새로운 서사 생태계와 호모 나랜스의 진화)

  • Hochang Kwon
    • Trans-
    • /
    • v.16
    • /
    • pp.107-133
    • /
    • 2024
  • Narratives are fundamental to human cognition and social culture, serving as the primary means by which individuals and societies construct meaning, share experiences, and convey cultural and moral values.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seeks to mimic human thought and behavior, has long studied story generation and story understanding, and today's Large Language Models are demonstrating remarkable narrative capabilities based on advance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is situation raises a variety of changes and new issues, but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m is hard to find.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holistic 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changes by exploring the intersections and interactions of human and AI narrative intelligence. This paper begins with a review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on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rrative, represented by the term Homo narrans, and then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how narrative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AI. This paper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narrative intelligence as revealed by today's Large Language Models, and present three philosophical challenges for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AI with narrative intelligence.

Design of System for Avoiding Identical-Data Upload using SA Hash Algorithm (SA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한 동일 데이터 업로드 방지 시스템 설계)

  • Hwang, Sung-Min;Seok, Ho-Jun;Kim, Seo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17-19
    • /
    • 2011
  •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때, 클라이언트가 보내고자 하는 파일이 서버에 동일한 파일로 있다면 업로드를 받지 않고, 서버의 파일을 재사용함으로써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을뿐더러, 스토리지 용량 또한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해쉬(Hash) 함수 SA를 사용하여 파일에 해쉬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다른 해쉬 함수 보다 키 값의 길이가 길어지고 빠른 속도로 해쉬 값을 얻을 수가 있다. SA Hash Algorithm을 통해 얻어진 해쉬 값을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 동일한 파일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서 파일을 전송 받지 않고, 서버 내부의 파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자원 절감 효과를 낼 수 있다. 서버에서의 파일 관리도 기존의 날짜, 아이디 등 구별 방식이 아닌 SA Hash Algorithm으로 생성된 해쉬 값으로 파일을 관리 할 수 있음으로 파일 관리의 편의성뿐만이 아니라 빠른 속도로 파일을 접근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Secure Searchable Encryption Considering Index Stucture (색인 구조를 고려한 안전한 검색가능암호기술에 관한 연구)

  • Lee, Sun-Ho;Lee, Im-Ye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738-739
    • /
    • 2013
  • 네트워크 및 컴퓨팅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를 위탁 저장하고 이를 언제어디서든 다양한 단말로 처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위탁 저장된 민감한 정보가 암호화 없이 저장된다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소유주의 동의 없이 공격자 및 비윤리적인 서버관리자가 열람할 수 있어 저장된 데이터의 암호화 및 이를 검색하는 검색 가능한 암호시스템(Searchable Encryption System)이 등장하게 되었다. 기존의 검색가능 암호 시스템은 같은 키워드를 검색하기 위해 생성된 트랩도어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되어 공격자가 검색 쿼리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지 학습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사용자가 같은 키워드를 검색하더라도 매번 다른 트랩도어가 생성되도록 하여 비윤리적인 서버관리자가 검색 쿼리를 통해 검색 내용 및 데이터를 유추할 수 없도록 하는 일회용 트랩도어를 이용한 검색가능 암호 시스템을 제안한다.

Lambda Architecture Design using Apache Kudu and Impala (Apache Kudu와 Impala를 활용한 Lambda Arch tecture 설계)

  • Hwang, Yun-Young;Lee, Pil-Won;Shin, Yong-Ta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0.05a
    • /
    • pp.60-62
    • /
    • 2020
  • 데이터의 양은 기술의 발전으로 발생하는 크게 증가하였고 다양한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품랫폼이 Apache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Hadoop이며, Hadoop은 IoT 분야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에 Hadoop 기반 IoT 센서 데이터 수집 분석 환경은 Hadoop의 코어 프로젝트인 HDFS의 Small File로 인한 네임노드의 과부하 문제와 Import된 데이터의 Update나 Delete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Apache Kudu와 Impala를 활용해 Lambda Architecture를 설계한다. 제안하는 Architecture는 IoT 센서 데이터를 Cold-Data와 Hot-Data로 분류해 각 성격에 맞는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Batch를 동해 생성된 Batch-View와 Apache Kudu와 Impala를 통해 생성된 Real-time View를 활용해 기존 Hadoop 기반 IoT 센서 데이터 수집 분석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가 분석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The Auto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Cloud Artifact (클라우드 아티팩트 자동 수집 및 분석 시스템)

  • Kim, Mingyu;Jeong, Doowon;Lee,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5 no.6
    • /
    • pp.1377-1383
    • /
    • 2015
  • As the cloud services users' increase, there are important files created by individual in cloud storage. Thus, investigation of cloud artifact should be conducted. There are two methods of analyzing cloud service, one is that investigates cloud server provider (CSP), and another is that investigates client. In this paper, we presents an automated framework to detect the altered artifact and developes a tool that detects the cloud artifact. We also developed Cloud Artifact Tool that can investigate client computer. Cloud Artifact Tool provides feature of collection and analysis for the services such as Google Drive, Dropbox, Evernote, NDrive, DaumCloud, Ucloud, LG Cloud, T Cloud and iCloud.

A Comparative Study on Attribute Recogni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of SNS Advertising - Focused on Facebook, Instagram, KaKaoStory and Twitter (SNS 광고의 속성인식과 구전의도 비교연구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 Jeong, Chang J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2
    • /
    • pp.419-428
    • /
    • 2020
  • SNS media is gaining its media share with the benefits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the convenience of physical access and the entertainment and interactivity of contents, and are becoming a part of users' lives. As media contents consumers move from traditional media to SNS,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are rapidly adapting to leading SNS platforms such as Facebook. This study compares how users perceive four advertisement attributes in each SNS, focusing on Facebook, Instagram, Kakao Story, and Twitter, where the media content creation and consumption systems are relatively similar to each other. The impact on eWOM intention was identified. In addition, we discussed effective SNS operation.

An online storytelling authoring and viewing tool using user defined sketch (사용자 스케치를 이용한 온라인 이야기 저작 및 감상 도구)

  • Kim, Jeong-Sik;Lee, Eun-Woo;Nam, Yang-H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2.04a
    • /
    • pp.179-182
    • /
    • 2002
  • 웹을 저작 공간으로 사용한 Wiki Wiki Web[4]은 텍스트 자원을 사용한 복잡하고 다양한 이야기의 표현이 가능하며 실시간은 아니지만 시분할 방식의 이야기 공동 저작과 감상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림일기와 같은 그림과 텍스트 내공이 복합된 이야기를 저작하는 경우, 저작자는 텍스트 자원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그림이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을 표현할 수 없으며 공동저작을 손쉽게 하는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도구의 사용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그림일기나 동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하고 손쉬운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저작도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작자가 온라인상에서 직접 그린 스케치 영상을 사용하여 이야기의 배경과 캐릭터를 만들고 그것을 이야기 저작 소재로 사용하도록 하는 배경 및 액터 생성도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저작자가 손쉽게 표현하도록 하는 이야기 구성의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면서 여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이야기 저작과 감상에 공동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저작된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