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터브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43초

단락형 스터브에 의한 이중 모드 공진기의 해석 (Analysis of Dual-mode Resonator with Short-Stub)

  • 윤태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7-49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단락형 스터브에 의해 구현되는 이중 모드 공진기의 전달 함수를 수식적으로 해석하여 임의의 공진 주파수를 만족하는 이중 모드 공진기의 전송 선로와 스터브의 전기적 길이 및 임피던스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결과에 의하면 전송 선로의 전기적 길이는 공진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며, 스터브의 전기적 길이는 공진 주파수 및 선로와 스터브의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이중 모드 공진기를 이용하여 필터를 설계하기 위해 필터의 리플 값에 따른 인버터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결과에 의해 스터브의 임피던스에 따른 인버터의 변화는 거의 없으며 전송 선로의 임피던스가 작을수록 인버터의 크기는 증가하고 필터의 대역폭이 클수록 인버터의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PDF

스터브를 이용한 소형화된 분기선로 발룬 (Stubbed Branch-Line Compact Balun)

  • 박면주;이병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7-11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스터브(stub) 선로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분기 선로(branch line) 발룬 구조를 제안한다. 수직 브랜치에 스터브 선로를 부착하여 발룬의 출력 신호에서 불필요한 우모드 출력을 제거하고 180도 위상차를 가지는 출력 신호만 산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스터브 선로를 사용함으로서 해당 브랜치 선로의 길이를 스터브 길이의 2배만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된 발룬 설계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신경망 근사 해석 모델에 의한 스터브 거더의 거동 예측 (Prediction for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Stub-Girder System Using the Neural-Network-Based Model)

  • 이승창;박승권;이병해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3호
    • /
    • pp.241-252
    • /
    • 1998
  • 본 논문은 신경망 근사 해석 모델의 원형을 스터브 거더의 거동 해석에 적용하고, 이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앞서 개발한 원형 모델을 스터브 거더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스터브 거더의 해석 변수는 주어진 시간 내에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7개, 해석 결과값은 탄성 처짐뿐만 아니라 응력까지 고려하여 총 4개의 결과값을 동시에 고려하고, 학습 패턴 수는 총 143개를 사용하였다. 근사해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학습의 수렴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은닉층 뉴런 수, 학습 패턴 그리고 최대 에러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신경망 근사 해석 모델 개발 단계를 수정하여 제안하였다.

  • PDF

방사형 동조 스터브를 갖는 전자기결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설계 (Design of the Electromagnetically Coupled Broadband Microstrip Antennas with Radial Tuning Stub)

  • 김정렬;윤현보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6-35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 유한차분법(FDTD)을 이용하여 동조 스터브가 삽입된 전자기결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특성을 해석하고 최대 대역폭올 갖는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전자기 결합 마 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급전선로에 짧은 방사형 동조 스터브를 병 렬로 연결하면 광대 역 특성을 가지며, 방사형 동조 스터브의 반지름, 각도, 위치 동의 변화에 따라 안테나의 특성이 변한다. 시간영역에 서의 유한차분법에 의한 수치 해석 결과를 Fourier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안테나 특성을 계산하 였다. 방사형 동조 스터브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최대 대역폭은 약 15%로서 장방형 동조 스터브 형태와 동일한 광대역 특성을 가지면서 동작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전압 정재파의 리플이 양호 한 특성을 보여준다.

  • PDF

래디얼 스터브를 통해 구현된 이중 모드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 통과 필터 (Bandpass Filter Using Dual-mode Resonator with Radial Stub)

  • 윤태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74-7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래디얼 스터브를 이용하여 이중 모드 공진기를 구현하여 이를 통하여 5.8 GHz ITS 시스템에 응용 가능한 대역 통과 필터를 제안하였다. 이중 모드 공진기를 구성하는 개방형 스터브를 래디얼 스터브로 대체함으로써 이중 모드 공진기의 크기는 약 39.6% 감소하였고 두 개의 $60^{\circ}$ 래디얼 스터브를 통해 약 $6.9{\Omega}$의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스터브가 구현되어 이중 모드 공진기를 이용한 필터의 저지 대역 특성이 19.4 dB에서 29.1 dB로 개선되었다. 제안된 이중 모드 공진기를 이용하여 제작된 필터는 중심 주파수 5.72 GHz에서 4.1%의 대역폭을 가졌으며, 1.79 dB와 19.4 dB의 삽입 손실과 반사 손실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함허용 중개자 스터브 방식에서 실시간객체를 감시하는 구조 (An Architecture to Monitor Real-Time Objects in FTB Stub Approach)

  • 임형택;양승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01
  • RMO(Region Monitor Object)는 결함전파나 객체군에 주어진 요구사항의 위반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하는 실시간객체로써 여러 실시간객체의 상태를 감시 및 분석하여 오류를 감지하고, 증상을 진단한 후 알맞은 복구 및 재구성을 실행하다, 이를 위하여 RMO는 응용 실시간객체를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RMO의 권한을 지원해주는 구조는 결함허용 중개자를 이용한다. 결함허용 중개자(FTB 또는 Fault Tolerance Broker)는 RMO가 응용 실시간객체를 감시할 때에 응용의 설계와 응용의 위치에 투명하게 수행될 수 있게 중개자 역할을 한다. 제안하는 감시 구조에는 결함허용 중개자가 응용 실사간객체마다 스터브로 붙는 스터브 방식과 각 노드의 커널에 모듈로 존재하는 커널 모듈 방식이 있다. 본 논문은 스터브 방식에서 RMO가 응용 실시간객체를 감시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구현한다. 결함허용 중개자 스터브는 응용 실시간객체와 같은 주소 공간에 존재하면서 응용 실시간객체에서 발생하는 메세지를 가로채고 소속자료에 접근한다. RMO는 결함허용 중개자 스터브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응용 실시간객체에 대한 감시 정보를 얻는다. 제안한 감시 구조는 실시간객체 모델인 dRTO(dependable RTO) 모델에 기반하여 설계하였고 실시간 커널인 dKernel 상에서 구현 및 실험하였으나 다른 모델이나 커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 PDF

초광대역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Design of an Ultra Wide Band Band-pass Filter with Open-Stubs)

  • 윤기철;강철호;홍태의;이종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7-4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SIR(Stepped Impedance Resonator) 구조를 이용한 초광대역(UWB:Ultra Wide Band)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는 초광대역을 구현하기 위해 스터브 위치에 SIR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낮은 삽입손실을 갖는다. 제안된 대역통과 여파기의 대역폭은 중심 주파수 5.8GHz에서 103% 이고, 삽입 및 반사손실은 각각 0.17dB 및 13.1dB이며 전체의 크기는$21.6{\times}17.8mm^2$ 이다.

CRLH 전송 선로를 이용한 이중 대역 가지 선로 결합기 (Dual Band Branch Line Coupler Using CRLH Transmission Lines)

  • 박민우;구자경;이준;임종식;안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23-2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CRLH 전송 선로를 이용한 스터브 구조의 이중 대역 가지선로 결합기를 제안한다. 기존의 스터브 구조의 이중 대역 가지 선로 결합기는 동작하는 두 주파수가 근접할수록 스터브 선로의 임피던스가 증가해 구현이 불가능 하다. 제안된 이중 대역 가지선로 결합기는 비교적 근접한 1800MHz와 2300MHz 두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고 임피던스 스터브 선로는 이중 대역 소자 설계에 유용한 CRLH 전송 선로를 사용하여 구현 된다. 두 주파수에서 측정된 삽입 손실은 이상적인 결합기에 비해 최대 1.88dB의 오차가 났으며 두 출력 포트 사이의 위상차는 $1^{\circ}$미만 이다. 동작하는 두 주파수의 비는 1.28:1로 비교적 작은 차이를 보인다.

  • PDF

커플된 개방 스터브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저역통과 여파기 (A Compact Microstrip Lowpass Filter using Coupled Open Stub)

  • 안성남;김상인;박익모;임한조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338-3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개방 스터브(open stub)와 전송선로가 커플된(coupled) 구조를 Chebyshev prototype을 이용하여 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하였다. 같은 길이의 스터브를 연속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깊은 저지대역을 갖고, 커플링에 의해 우수한 스컷 (skirt) 특성을 갖는 여파기를 설계할 수 있었다. 또한, 감쇄극이 다른 스터브를 추가로 연결하여 저지대역을 확장하였다.

  • PDF

FSCS를 이용한 고조파가 억제된 광대역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Design of a Broad Band-pass Filter with Stubs for Harmonics Suppression using the FSCS)

  • 최영구;김복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호
    • /
    • pp.103-10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FSCS를 이용한 고조파가 억제된 ${\lambda}_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와 ${\lambda}_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를 새로운 구조로 제안 설계하였다. 제안된 여파기는 FSCS를 이용한 광대역 대역저지 여파기를 대역통과 여파기에 집적화 시켜 제2 고조파를 억제하였고, 스터브 사이에 BSF를 집적화하여 크기의 증가를 방지하여 22% 감소하였다. 제안된 여파기는 중심주파수 5.8 GHz에서 통과 대역폭 50%, 고조파 저지대역 120% 광대역 대역통과 여과기의 특성을 나타내었고, ${\lambda}_g/4$ 단락형 스터브 여파기의 경우 삽입손실 0.5 dB, 반사손실 14 dB의 측정결과를 ${\lambda}_g/2$ 개방형 스터브 여파기의 경우는 삽입손실 0.8 dB, 반사손실 14.4 dB의 측정결과를 얻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