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터럽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스터럽간격, 철근직경 및 부식률에 따른 인발 실험체의 부착강도 평가 (Evaluation of Bond Strength of Deformed Bars in Pull-out Specimens Depending on Stirrups Spacing, Rebar diameter and Corrosion Rate)

  • 지성우;정호성;윤차영;이재연;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47-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스터럽 간격, 철근 직경 및 부식률이 이형철근의 부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인발실험이 수행되었다. 스터럽 간격, 철근 직경 및 부식률이 상이한 12개의 인발 실험체를 RILEM RC 6 기준에 따라 제작하였다. 스터럽이 보강된 실험체에 대하여, 부식률이 3% 미만인 경우에는 부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부식률이 3%를 초과한 경우에는 부착강도가 감소하였다. 반면, 스터럽이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에 대해서는, 부식률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강도가 감소하였다. 스터럽 간격 및 부식률 대비, 철근 직경이 부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터럽 비율 및 부식률을 변수로 사용하는 인발실험체의 부착강도 회귀모형이 제시되었으며, 제안모델은 선행 모델들에 비해 낮은 오차를 나타내었다.

스터럽 보강 선설치 앵커의 정적 전단하중에 대한 저항 강도 (Static Shear Strength of Cast-in Anchors with Stirrup Reinforcement)

  • 박용명;조성훈;김태형;강충현;김재봉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1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스터럽 보강 선설치 앵커의 정적 전단하중에 대한 저항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전면지압철근 유무와 콘크리트 균열 유무로 설정하였다. 앵커는 M36, 연단거리는 180mm로 하였다. 모든 철근은 HD-10 철근을 사용하고 스터럽의 간격은 100mm로 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전면지압철근을 설치한 경우 스터럽 저항강도는 16% 증가하였다. 한편 균열 콘크리트에서의 저항강도는 비균열 콘크리트에 비해 5% 감소에 불과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ACI 318 및 ETAG 001 기준은 스터럽의 저항강도를 안전측으로 평가하였으며, 적절한 강도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터럽 보강 시 앵커 본체의 파괴강도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였다.

스터럽 절단 탄소섬유판 표면매립공법의 휨 보강 성능 평가 (Assessment of Flexural Strengthening Behavior Using the Stirrup-Cutting Near Surface Mounted(CNSM) CFRP strip)

  • 문도영;오홍섭;지광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02-112
    • /
    • 2012
  • 최근 탄소섬유판 매립공법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탄소섬유판 표면매립공법은 피복부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과 높이 부족 등으로 인하여 그 적용의 제한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전단 스터럽을 절단하고 탄소섬유판을 주철근의 위치에 표면매립 보강하는 공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반적인 표면매립공법과 스터럽을 절단하고 표면매립공법을 적용한 보에 대한 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탄소섬유판의 길이를 실험변수로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전단 스터럽을 절단한 보강 보의 휨거동은 일반적인 표면매립공법이 적용된 실험체의 거동과 유사한 전형적인 휨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스터럽의 절단으로 인한 구조거동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일반적인 현장 여건에 의하여 탄소섬유판의 적용이 곤란한 경우에는 스터럽을 절단하는 본 공법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터럽 보강 선설치 앵커의 지진모의실험에 의한 동적 전단 저항강도 평가 (Dynamic Shear Strength of Stirrup-reinforced Cast-in Anchors by Seismic Qualification Tests)

  • 김태형;박용명;강충현;이종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67-76
    • /
    • 2018
  • 스터럽 보강 선설치 앵커의 동적 전단하중 하의 파열파괴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단 하중은 ACI 355.2 및 ETAG 001에 제시된 지진모의실험 방식으로 재하하였다. 시험체는 M36 앵커(연단거리 180mm)를 D10 스터럽(간격 100mm)으로 보강하였다. 이들 시험체는 거의 극한 파열파괴 강도에 도달한 후 앵커의 파단이 발생하였다. 이에 M42 앵커(연단거리 160mm)를 D6 스터럽(간격 100mm)으로 보강한 시험체에 대한 실험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동적 전단강도는 정적 강도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ACI 318 및 ETAG 001 기준은 스터럽 보강이 많을수록 파열파괴강도를 안전측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의 전단거동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스터럽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crete Strength on Stirrup Effectiveness in Shear Behavior of Concrete Beams)

  • 이영재;서원명;김진근;박찬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73-182
    • /
    • 1996
  •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스터럽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며이 $300{\times}600mm$ 인 수직 스터럽이 배근되지 않은 콘크리트 보 4개와 수직 스터럽이 배근된 콘크리트 보 20개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2종류(보통강도, 고강도)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수준과 6종류의 전단철근비이다. 실험에 앞서 주어진 단면과 가정된 재료 상수에 대하여 ACI Building Code를 사용하여 휨파괴가 유발되는 전단철근비( ${\rho}_vACI$)를 산정하였으며, 이 값을 기준으로 6종류의 전단철근비를 선택하였다. 실험결과, 스터럽이 배근되지 않은 콘크리트 보에 있어서 ACI 전단강도식의 안전율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터럽이 많이 배근된 고강도 콘크리트 보에서는 보통강도 콘크리트 보 이상의 안전율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나 스터럽 유효성은 고강도 콘크리트 보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헤디드 바를 전단철근으로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에 관한 반복하중 실험 (Repeated Loading Test of Shear-Critical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Headed Shear Reinforcement)

  • 김영훈;이주하;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47-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전단지간 대 유효깊이의 비(a/d)를 가진 전단에 취약한 보 네 개에 대한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군에는 $6d_b$의 정착 길이의 $90^{\circ}$ 절곡된 갈고리를 가진 두 개의 스터럽을 묶은 하나의 다발 스터럽(bundled stirrups)을 배근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직경 50mm의 원형 헤드를 가진 헤디드 바를 배근하였다. 하나의 헤디드 바의 철근 직경은 하나의 다발 스터럽의 철근 직경과 같기 때문에 효과적인 실험 비교가 가능하였다. 실험 결과는 헤디드 바를 배근한 보가 일반 스터럽을 가진 보보다 연성, 에너지 흡수량, 최대하중 이후의 거동에 있어서 뛰어난 구조 성능을 보여 주었다. 반복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피복과 부분 압축파괴에 의해 스터럽의 갈고리는 바깥 방향으로의 변형과 함께 정착 성능을 상실하였다. 반면에, 헤디드 바는 헤드의 정착손실 방생 없이 변형률경화 시점을 지나서도 변형이 발생하였으며 압축 철근의 좌굴 발생을 지연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하중에 의한 감소된 인장경화를 고려한 하중-변위 예측은 뛰어난 정확도를 보여 주었다.

스터럽간격과 인장철근비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파괴거동 (Flexural-Shear Behavior of Beam Members according to the Spacing of Stirrups and Tension Steel Ratio)

  • 박훈규;안영기;장일영;최고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13-521
    • /
    • 2003
  • 기존의 많은 연구 결과에서 보부재에 대한 적절한 전단보강근 설치는 부재 휨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터럽간격과 인장철근비에 따른 휨-전단 상호 작용에 의한 하중-변위 거동을 분석하여 특히 취성이 강한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보부재의 내력과 변형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목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보에 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압축강도 41MPa 및 61MPa의 콘크리트 강도를 갖는 총 15개의 보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스터럽간격 0.25∼1.0d(유효높이)과 인장철근비 $0.55{\sim}0.7{\rho}_b$(균형철근비)를 주요 변수로 정하여 휨압축부를 포함한 전구간에 횡보강하였으며, 스터럽간격에 따른 각 시험체의 하중-처짐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전단내력식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보부재의 하중-변위 거동과 변위 증가에 따른 전단내력감소 모델을 중첩하여 스터럽간격에 따른 휨-전단 파괴형식을 비교적 간편하게 추정하기에 적합한 전단내력식을 제시하였다.

유효 스터럽 개념을 이용한 전단보강근의 강도 예측 (Predicting Actual Strength of Shear Reinforcement Using Effective Stirrup Concept)

  • 권기연;양준모;이주하;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99-10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효 스터럽 개념을 이용한 전단보강근의 강도 예측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유효 스터럽 개념을 이용한 예측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부분인 전단 균열각 예측은 수정압축장이론 (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 MCFT)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현 설계기준인 ACI 318-05와 기존 문헌에서 인용한 39개의 실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 방법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시 고려한 영향인자로는 콘크리트 강도 그리고 전단보강근의 종류가 있었고, 추가로 2개의 full-scale의 보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방법의 헤디드 바 사용 시험체의 확대 적용 가능성도 평가하였다.

구속상세가 SD400 및 SD500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Confinement Details for Lap Splice of H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in Grade SD400 and SD500)

  • 김승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62-71
    • /
    • 2015
  • KCI 2012와 ACI318-11에서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한 정착길이 산정식을 제시하고 있지만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이용한 겹침이음상세에 대한 규정은 없다. 또한, 정착길이 산정에 있어서 횡보강근 효과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400MPa과 500MPa 설계기준항복강도를 가지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하여 겹침이음구간에 대한 구속상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겹침이음실험을 실시하였다. 겹침이음 구간내 적용되는 구속상세는 스터럽과 Tie-down 철근이다. 실험결과, 스터럽만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에서 겹침이음강도 증가에 큰 영향이 없어 취성적인 파괴를 나타낸 반면에, 스터럽과 Tie-down 철근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은 공칭휨강도 이상의 실험휨강도와 휨거동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스터럽과 Tie-down 철근 상세는 400MPa과 500MPa의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한 겹침이음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철근콘크리트보의 스터럽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irrup Effectiveness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 이영재;이윤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05-21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스터럽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전단파괴와 휨파괴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계점은 대략 S=150mm부근으로 예상되며, 이때 전단철근비는 보통강도 콘크리트보에서는 $0.63{\rho}_{vmax}$ 이고, 고강도 콘크리트보에서는 $0.53{\rho}_{vmax}$로서 ACI 전단설계 산정식은 매우 안전측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