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타트업 CEO 특성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만족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기완;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97-100
    • /
    • 2023
  • 스타트업은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탄생해 일부는 스케일업(scale-up)하여 유니콘 기업으로 발전하는 반면 일부는 데스밸리(Death Valley)를 넘지 못하고 실패한다. 스타트업이 창업 이후 성공적인 사업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다양한 노력을 펼쳐 나가고 있으며, 창업자 보육에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 육성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액셀러레이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운용 주체와 내용이 다양하여 프로그램 효과 분석도 다각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참여자의 특성에 기인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타트업 CEO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기업성과인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인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CEO의 긍정심리자본 정도에 따라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소기업 지원 정책금융기관인 신용보증기금과 중소기업은행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스타트업 네스트(Start-up NEST)와 IBK창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하였다.

  • PDF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tart-up CEOs on the Amount of Investment in Series A Round (스타트업 CEO 특성이 시리즈 A 투자단계 벤처기업의 투자금액에 미치는 영향)

  • Choi, Sung-Woo;Han, In-Goo;Yoon, Byung-Seop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4
    • /
    • pp.17-3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tart-up CEOs on the performance of investment attr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ries A inves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educational level of start-up CEOs was high and startup CEOs had start-up experience and investment attraction experience, venture investors such as venture capita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the investment for start-ups. This was systema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even when control variables were introduced. When start-up CEOs had work experiences, there was no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investment amount for start-ups but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the average investment amount. Second,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of total investment amount was larger in the case of start-up experience than that in the case of investment attraction experience while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of average investment amount was larger in the case of investment attraction experience than that in the case of start-up experience. This suggests that the start-up experience is important for the total investment amount while the investment attraction experience is important for the average investment amount. Third, when the sales of start-ups were high at the time of Series A investment, the total investment amount and the average investment amount were also significantly high. Even if early start-ups are less profitable or have losses, the start-ups with a certain level of sales seem to be attractive investment targets for venture ca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investment decisions of venture capital and the financing strategies of start-ups. The implications for pre-CEOs preparing for start-ups art that the total amount of investment will increase if they have expertise through degree acquisition, challenge start-ups, gain start-up experience and implement investment attraction. Even if CEOs of start-ups do not have start-up experience, the average amount of investment for start-ups can increase if they have work experience in related industries.

초기 투자성과와 연계된 창업기업의 내부 결정요인 분석

  • Gu, In-Hyeok;Kim, Yong-Deok;Jo, Jae-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95-199
    • /
    • 2022
  • 본 연구는 스타트업 투자성과와 연계된 창업가 역량, 재무정보 등 정량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타트업 투자자들의 투자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초기 종업원 수가 많고, 최고경영자의 지분비율이 높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재무적 특성에서는 기업의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타트업의 경우, 기업의 단기성과보다는 투자 결정에 있어 미래가치 혹은 다른 정성적인 요인이 더 고려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셋째, 창업가 특성에서는 CEO 교육수준(학력)이 높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즉, 창업자의 학력은 성공적인 투자 여부에 핵심적인 변수이고 이것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다르지 않았다. 또한, 학력과 투자유치의 연관성은 창업 3년 미만 스타트업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투자정보공개, 관련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으로 스타트업 투자에 관한 정량적 실증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한 점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을 뛰어넘어 국내 초기 창업기업만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투자유치와 연계된 스타트업의 평가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