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타트업 정의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을 위한 스타트업 지원 기관의 역할 및 운영 방안

  • Song, Yong-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83-88
    • /
    • 2022
  • 현재 4차산업혁명시대에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적극적인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스타트업이 글로벌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지역별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국 17개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을 지원하며, 각 센터별로 '개방성, 자율성, 다양성'의 운영 원칙 하에 지역별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허브, 공공 액셀러레이터, 그리고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 수도권 스타트업 생태계는 활성화되고 있는데 비해, 지역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인력, 자금 등 스타트업 성장에 핵심적인 요소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부산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등 청년층의 이탈로 고령화가 가장 빠른 도시로서, 지역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주요 방법 중의 하나로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가 중요한데, 스타트업 지원기업 중에서도 초기 스타트업 창업 및 성장 지원 업무에 집중하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영 개선 방향을 내부 직원 설문조사로 도출하고, 타겟 고객을 창업가/초기 스타트업(Creator), 교육기관(Campus), 대기업(Company), 그리고 커뮤니티(Community)의 4C로 정의하였다.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일관된 방향성 정립을 위해 미션과 비전을 각각 정의했으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 및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센터와 직원들이 공동 성장할 수 있는 센터 업무 협력 체계와 역량 강화 교육 체계를 제시한다.

  • PD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ile Leadership and Startup Organizational Performance :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애자일 리더십과 스타트업 조직성과 관계 탐색 :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 Chung, Byoung-gyu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7 no.1
    • /
    • pp.59-75
    • /
    • 2024
  •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gresses, the importance of startups was increasingly emphasized. Nevertheless,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Korean startups was lower than that of OECD countr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le leadership,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tartups under the premise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most important for startups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For the empirical analysis, agile leadership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learning agility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was collected from startup employees across the country, and 197 valid samp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used Process Macro 4.2.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gile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organizational performance. Additionally, agil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agility, and learning ag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startup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learning agility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agil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ically, these research results tested the usefulness of agile leadership suited to the startup culture among various leadership styles that can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tartups. In practical terms, such agile leader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also through the learning agility of startup employees. This means that by creating a culture of learning agility that encourages startup employees to continuously learn and adapt, startups can increase their chances of survival and success.

조직구조, 조직문화의 업무특성이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 미치는 영향: 7년 미만의 초기 스타트업 중심으로

  • Seo, Gwi-D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75-179
    • /
    • 2019
  • 1년에도 수십 수백 개씩 스타트업이 생겨나고 있다. 아마도 모두 미래의 구글과 페이스북, 그리고 아마존이 되길 희망하며 하루하루 가열차게 달리고 있다. 하지만 그 많은 스타트업 중 소위 성공했다 불릴 수 있는 기업은 손에 꼽는다. 능력 있는 창업가, 기발한 사업 모델과 아이디어 그리고 이를 뒷받침해 줄 기술력과 자본이 있다고 성공할 수 없다. 스타트업 기업을 굴러가게 하는 힘은 결국 그 조직의 구성원에게서 나오기에 성공한 스타트업에겐 모두 그들 만의 '조직문화'가 있다. 그게 모두에게 좋은 문화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 조직에 가장 접합한, 그래서 구성원의 구성원의 공감대를 사 '일하고 싶은 회사'가 될 수 있게 하는 '조직 문화'가 있는 스타트업이 수많은 인재를 모아 성장을 거듭해 올 수 있었고 그것이 결국 스타트업을 성공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이런 조직 문화는 회사 초창기에 세팅할수록 해당 기업의 성공 확률도 높아진다. 7년 미만의 초기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유형이 스타트업 구성원의 조직 몰입과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기 스타트업 기업의 조직문화 차원은 경쟁가치모형의 혁신문화와 위계문화로 구분하였으며, 조직성과는 스타트업의 서비스, 제품을 경험한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활용하였다. 조직문화는 외부환경에 대한 적응과 조직내부 통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에 의해 창조 발전되어 학습되는 기본가정으로서 스타트업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된 가치(values), 신념(beliefs), 규범(norms)의 체계로 정의한다. 따라서 어떠한 조직문화를 갖는냐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몰입, 충성심, 직무동기, 직무성과는 물론 조직성과와 혁신을 포함하는 여러 조직 요인도 직 갑적인 영향을 받는다. 7년 미만의 초기 스타트업 혁신문화가 스타트업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이 스타트업 서비스, 제품을 경험한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fluence of Dynamic Capabilitie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celerator Programs and Startup Performance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과 스타트업 성과의 구조적 관계에서 동적역량의 영향 )

  • Choi, Bo-ra;Dong, Hak-rim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6 no.1
    • /
    • pp.95-114
    • /
    • 2023
  •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gresses, the importance of startups is becoming more prominent. Additionally, the role of accelerators in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startups is also being emphasized. Therefore, in this study, among the services provided by accelerators to startups, the mentoring service, education service, funding service, and networking service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affects startup performance through the dynamic capabilities of start-ups.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a survey in February 2023 targeting startup CEOs and executives who had experience with accelerator program services. A total of 238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accelerator program services, including mentoring, education, funding, and networking servic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dynamic capabilities. Among the accelerator program sub-factors, networking services had the highest impact on startup dynamic capabilities, followed by mentoring, funding, and education services. Furthermore, startup dynamic cap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startup dynamic capabilities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education, funding, networking services, and startup performance. Dynamic capabilities are a critical factor for startups, and the finding that accelerator program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artup performance by mediating these dynamic capabilities is significant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A Study on the Status of Startups and Their Nurturing Plans: Focusing on Startups in Seongnam City (스타트업 실태 및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성남시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 Han, Kyu-Dong;Jeon, Byung-H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5
    • /
    • pp.67-8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policy measures such as fostering and supporting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domestic startup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start-ups located in Seongnam-si, where Pangyo Techno Valley, which is the highest-level innovation cluster in Korea and is evaluated as a start-up mecca. Startups were defined as startups under 7 years old based on new technologies such as IT, BT, and CT,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This can be seen as a step forward from previous research in that it embodies the concept of a startup that was previously abstract in a quantitatively measurable wa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94% of startups are distributed in the so-called "Death Valley" growth stage, and startups above scale-up, which means full-scale growth beyond BEP, account for about 6%. appeared to be occupied. He cited the problem of start-up funds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the early stages of startups, and cited the loan evaluation method that prioritizes sales or collateral in raising funds as the biggest problem. In addition, start-ups rated the access to private investment capital such as VC, AC, and angel investors at a low level compared to policy funds, which are public funds. Most startups showed a lot of interest in overseas expansion, and they chose matching overseas investors such as overseas VCs as the biggest support for overseas expansion. The overall competitiveness in the overseas market was 49.6 points, which is less than 50 points out of 100, indicating that the overall competitiveness was somewhat inferior. It was analyzed that public support and investment in overseas sales channels (sales channels, distribution networks, etc.) should be prioritized along with enhancemen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order for domestic startup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overseas markets as well as in the domestic market.

스타트업부동산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Lee, Mu-S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69-173
    • /
    • 2016
  • 본 연구는 스타트업 부동산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사이에 창업교육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 부동산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18.ok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트업 창업자의 성취욕구와 벤처선호는 종속변수인 경영성과와 유의하였으며 정(+)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취욕구가 높거나 벤처를 선호하는 창업가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는 성취욕구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다시 창업교육유무로 집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창업지도사 교육을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보다 베타(${\beta}$)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하면, 창업교육을 받은 창업가들은 성취욕구가 향상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창업교육이 스타트업부동산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창업교육유무와 재무성과와의 평균치 차이검정결과 창업교육을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보다 매출액 및 순이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타트업 기업의 양손잡이 역량 균형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Choe, Seong-Cheol;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49-53
    • /
    • 2021
  • '양손잡이 조직(Organizational Ambidexterity)'은 새로운 기회를 찾고 위험을 감수하며, 신제품이나 신사업을 개발해 가는 탐색(Exploration) 역량과, 최소한의 리스크와 보유한 자원을 토대로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를 중심으로 효율성을 높이는 활용(Exploitation)적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의 능력으로 경영자들이 비즈니스 환경의 난기류와 다차원성에 대처하도록 권고하는 개념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양손잡이 역량 균형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양손잡이 역량이 실제 스타트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는데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의 적절한 균형(Balance)을 중심으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환경적 동태성(Environmental Dynamics)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실제로 선행 연구를 통해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에 모두 관여하는 양손잡이 기업들이 하나에 집중하는 기업보다 우수한 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의 적절한 균형(Balance)을 유지하는 것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원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경우 부족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양방향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은 경영 능력과 역량에 달려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생존을 위해 탐색과 활용의 균형을 맞추고 효과적인 조직을 구축해 양손잡이 조직으로 거듭나야만 한다. 양손잡이 조직에 대한 연구 이론은 보통 여유 자원이 높은 대기업을 기준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유 자원의 수준이 낮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을 위한 양손잡이 조직의 의미와 이러한 기업들이 추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을 위한 전략적 방향 설정을 제시할 수 있으며,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스타트업의 양손잡이 역량과 기업성과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학술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f Measures to Support Startup Company Development: Focusing on DeepTech Startups (스타트업 기업 육성지원 방안 연구: 딥테크(DeepTech)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 Chang-Kyu Lee;SungJoo Hwang;Hui-Teak Ki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2
    • /
    • pp.63-79
    • /
    • 2024
  • The startup ecosystem is experiencing a paradigm shift in founding due to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online platform companies have grown significantly into unicorns, but the lack of differentiated approaches and strategic support for deep tech startups has led to the inactivity of the startup ecosystem. is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ways to develop domestic startup development policies, focusing on the US system, which is an advanced example overseas. Focusing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eep tech startups, current investment status, success stories, support policies, etc., we comprehensively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derived suggestions. In particular, he proposed specific ways to improve support policies for domestic deep tech startups and presented milestones for their development. Currently, the United States is significantly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supporting deep tech startups. The US government provides direct financial support to deep tech startups, including detergent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It has also established policies to foster deep tech startups, established related institutions, and systematized support. It is worth noting that US universities play a core role in nurturing deep tech startups. Leading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operate deep tech startup discovery and development programs, provi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nfrastructure and technology. It also works with companies to provide co-investment and commercialization support for deep tech startups. As a result, the growth of domestic deep tech startups requires the cooperation of diverse entities such as the government, universities, companies, and private investors.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policy support, and universities and businesses should work together to support R&D and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Furthermore, private investors must stimulate investment in deep tech startups. Through such efforts, deep tech startups are expected to grow and Korea's innovation ecosystem will be revitalized.

  • PDF

기업의 특성과 스타트업 생태계 특성이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 벤처캐피탈과 개방형혁신의 조절효과

  • Park, Hyeon-Suk;Na, Hui-Gyeong;Mun, Gye-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197-204
    • /
    • 2022
  • 국가차원의 창업장려책으로 인해 제2의 벤처붐이라고 부를 만큼 스타트업 및 벤처 창업이 활성화되면서, 데스밸리를 극복하고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업이 생존율을 높이고 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죽음의 계곡에 직면하는 가장 큰 부분인 자금 조달 및 투자유치에 대한 고민과 대책이 필요하다. 창업의 활성화는 창업초기의 높은 실패율을 낮출 수 있는지의 여부가 그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기업의 생존은 기업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기업의 외적요인인 시장이나 산업의 상황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 부서를 보유한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과 외부지식활용 능력인 흡수역량이 스타트업의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타트업 생태계 특징인 개방형혁신과 벤처캐피탈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종속변수는 기업이 손익분기점을 달성 한 후의 매출액, 순이익, 시장점유율, 종업원 수의 증가를 봄으로써 데스밸리 극복의 기준으로 삼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략적 지향성은 데스밸리 극복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졌다. 흡수역량과 개방형혁신, 벤처캐피탈의 지원의 조절효과는 표본수가 적고 결측값 있으므로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추후 표본수를 늘려 다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vestment Effect of Public Accelerator (공공 액셀러레이터 투자 효과에 관한 연구)

  • Hong, JungOh;Kim, Moon-Kyu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3
    • /
    • pp.19-31
    • /
    • 2022
  • Currently, the role of public accelerators in the domestic accelerator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Accordingly, in order to establish relevant policies properly,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effect and validity of public accelerators' investment. However, there is no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on domestic accelerators, using their financial data, as domestic accelerators have a short history and quantitative data on them are not disclose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with financial data of the startups that received equity investments from public accelerators to confirm the effect of public accelerators'investment in startup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inancial data from 112 startups that acquired investments from public accelerators in the period of 2016~2020.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investment of public accelerators had an effect on the growth and profitability of startup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investment of public accelera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sales growth rates and total asset growth rates, which are growth indica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int investment of public accelera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rofit margin, an indicator of profitability, rather than on growth. Therefore, it is deemed that it will be a great force for growth if investment in the early-stage startups that showed significant investment results in this study is continuously expanded in combination with support projects, which are a strength of public accelerators. Since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investment effect of public accelerators, it is deemed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policies that direct public accelerators' projects towar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rough joint investment with the private sector and supplementing private accelerators' defici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