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타일 선호도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reference Sensibility and Hand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Lifestyle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견직물의 선호감성과 태평가)

  • 김춘정;조길수;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0-144
    • /
    • 200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견직물에 대한 감각·감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별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견직물의 소재 디자인시 감성관련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감각형용사는 ‘거칠다, 우글쭈글하다, 촘촘하다’등에서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은 평가하였으며, 감성형용사는 ‘개성적이다, 독특하다’등에서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으며 ‘클래식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캐주얼하다, 액티브하다, 신선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세 clluster별로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cluster 2를 가장 ‘촉감이 좋다, 구매시 선호한다’라고 하였다. 촉감선호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구매선호도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Body-Cathexis on Clothing Preferences (신체만족도가 의복 선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1
    • /
    • pp.107-11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 부위 (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스타일 선호는 의복이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정도에 대한 선호, 어두운 색상에 대한 선호, 허리, 힙(hips), 가슴(bust), 목(neck), 다리에 강조점을 두는 의복에 대한 선호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는 그 부위에 관련된 의복스타일 선호와 관계가 있었다. 예로 응답자가 체중부위에 만족하면 할수록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의복과 밝은 색상의 의복, 허리와 힙을 강조한 의복을 선호하였다. 이성적 행동이론이 이들 결과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의복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 Hwang, Jin-Sook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11 no.1
    • /
    • pp.165-17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c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were measured for five areas of body parts: head/upper body, lower body, height, weight and torso. Clothing style preferences consisted of clothing preferences for sexy styles, waist emphasis, tight fit, and dark col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 PDF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 이경림;박숙현;이영주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65-67
    • /
    • 2003
  •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체형 부위별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 자신의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장류 착용 경험이 많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인지도 및 만족도에 따른 아이템(재킷, 팬츠, 스커트)별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The Preferred Style of Bicycle Apparel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국과 미국의 사이클 선수들이 선호하는 사이클복에 대한 조사연구)

  • 최미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3 no.5
    • /
    • pp.684-693
    • /
    • 1999
  • 한국과 미국의 사이클 선수들이 선호하는 사이클복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착용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는 1997년 8월-10월 사이에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실시하였고 총 145명 (한국인=79명, 미국인 =66명)의 설문결과가 데이터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내용은 인적사항 사이클복에 대한인식 및 계절에 따라 선호하는 스타일 등에 대해 3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문형식은 그림형과 서술형으로 나누어 작성하였다. 데이터는 빈도와 백분율로 비교하였고 {{{{ chi ^2 }} 와 Fisher's exact 방법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한국인 사이클 선수들의 Rohrer 지수는 한국 표준 체위조사의 같은 나이 집단의 수치와 거의 차이가 없으며미국인 남자 사이클 선수는 같은 나이 집단의 미국 군인들을 위한 체위조사 결과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한국의 여자 사이클 선수들 중 79.6%가 사이클복이 시합이나 훈련중 기록향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미국인 사ㅣ클 선수들은 그들이 착용한 사이클복에 만족하고 있으며 상하가 분리된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사이클 선수들은 jersey 의 경우 round neckline에 stand collar가 있는 스타일을 좋아하며 jersey 와 shorts 모두 몸에 꼭 맞는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 Cho, Ha-Kyung;Lee, Joo-H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The Preference of the Silver Town based on the Psychological Variances -Mainly about the Life Style between from 30s to 60s- (심리적 변수에 따른 실버타운 선호도 -30대~60대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Chai, Sang-Kyun;Ha,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8
    • /
    • pp.211-228
    • /
    • 2013
  • In this study, it h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in the Seoul, Gyeonggi Province and DaeGu, GyeongBuk Province among males and females from 30s to 60s randomly to consider if the socio-demographical variance and the life style will meaningfully affect the preference of the silver town among elderly consumers as well as the future silver consumers. SPSS Win Ver.18.0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management of the collected data. As a consequence,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nces, it was analyzed that the academic ability and religions were meaningfully affecting the preference of the silver town statistically, and after assay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style affects the preference of the silver town, the more the family pursues the conservative life style the lower the preference of the silver town was observed, the more the life style covets the health, safety and the materials, the higher the preference of the silver town was analyz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life style and the preference of the silver town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nces.

Differences Between Wearing Styles and Preferring Styles and the Sensibility According to Men's Fashion Style (남성복의 감성 및 선호 스타일과 실제 착용간의 차이)

  • Rim, Byungmook;Lee, Janghyung;Kim, Jisu;Na, Youngj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4
    • /
    • pp.71-82
    • /
    • 2016
  • As times change rapidly the lifestyle, personality, and values of men have changed diversely. Not only have preferences for men's clothing changed, men's fashion market has also grown, and novel, non-preexisting styles have come into place. Also, there are many studies on sensibility of women's fashion while studies on sensibility of men's fashion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ategorized common styles for men in their 20s into 7 different representative samples and investigated consumers' sensibility evaluations for each representative sample. Style 1 (suit), style 2 (rider jacket + skinny pants), style 3 (blouson + straight pants), style 4 (cardigan + half pants), style 5 (military jacket + straight pants), style 6 (loose fit jacket + skinny pants), and style 7 (baseball jumper + straight pants) were prepared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he study compared male and female interest and knowledge of men's fashion, evaluated the sensibilit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en's fashion,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men's clothing and actual wearing of the clothing, and examined the preferred style in relation with the lifesty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s fashion was diversified and subdivided, and interest and knowledge about men's fashion was greater for males than females. Second, sensibility of men's fash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tyle, and it did not depend on genders. Thir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most favored style by the 20s and the actual style they commonly wear; the favored style and the actual worn style were consistent 66.1% of all the cases, inconsistent 33.9% of those. Style 3 had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actual wearing rate, and style 5 was the least preferred and worn. Fourth, the more extroverted lifestyle rather than introverted one, the more it was likely to prefer diverse sty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yle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 영재아의 학습스타일과 학습자 특성 간의 관계 연구)

  • Park, Kyung-Bin;Jung, Ga-You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0 no.2
    • /
    • pp.571-594
    • /
    • 2010
  • Learning styles affect how students access and handle their task, so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y study, when planning teaching-learning process, to enhance their potential to the maximum.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which reflect learne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gifted student's preferred learning styles are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s and learning style inventory. Also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t is hoped to get parents and teachers to understand the gifted who have various talents, and to support teaching programs for the gifted in order to develop their potential.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tudying style between the gifted child and the average child. Namely, learne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can affect learning styles. Als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udying style which the gifted students prefer and the teaching style which teachers use most frequently. Programs for the gifted should be planned through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according to the Consumers' Life Style - focused on the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style and color -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스타일 및 색 선호를 중심으로 -)

  • 한영호;신화경;정용섭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33
    • /
    • pp.54-6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design style and color, according to consumers' life styl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7th. 2002. to March 22nd. 2002 using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228 adults and frequency, percentage, mean, cross tab, F-test,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1) The types of life style were 3: regular family oriented type, progressive fashionable type, and conservative self-manageable type. 2) This study revealed relative difference in design style and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s' life style. Therefore, the type of life style could be used as powerful variable in interior design and marketing of allied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