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크린 크기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finement of Projection Map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Represent Noise-Reduced Foam Effects (노이즈가 완화된 거품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투영맵 정제)

  • Kim, J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7 no.4
    • /
    • pp.11-24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ramework that can represent the foam effects expressed in liquid simulation in detail without noise. The position and advection of foam particles are calculated using the existing screen projection method, and the noise problem that appears in this process is solved through an propo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important thing in the screen projection approach is the projection map, but noise occurs in the projection map in the process of projecting momentum into the discretized screen space, and we efficiently solve this problem by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denoising network. When the foam generating area is selected through the projection map, 2D is inversely transformed into 3D space to generate foam particles. We solve the existing denoising network problem in which small-scaled foam particles disappear. 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e screen-space projection framework, all the advantages of this approach can be accommodated. As a result, it show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whether it is possible to stably represent not only the clean foam effects but also the foam particles lost due to the denoising process.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a Diagonally Splitted Column to Improve Text Readability on a Small Screen (소형 스크린 상에서의 텍스트 가독성 향상을 위한 대각분할 칼럼 디자인과 평가)

  • Kim Yeon-Ji;Lee Woo-Hu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4 s.66
    • /
    • pp.51-60
    • /
    • 2006
  • Nowadays, reading text from screens is prevailing in everyday life. The advent of mobil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a cellular phone, PDA, and e-book reader facilitates us to enjoy various text-based contents any time and anywhere. Most studies comparing screen and paper readability show that screens are less readable than paper. Furthermore, the decrease of line length and number of line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mobile information devices deteriorate text read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d parameters affecting text readability on small screens and designed a new text layout to improve readability. We suggested a diagonally splitted layout of rectangular column, which is supposed to facilitate eye movement to trace text flow with ease. The experiment comparing readability between a traditional rectangular column and a diagonally splitted column was conducted. The result of experiment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xt layouts in terms of subjective satisfaction of reading task and a level of comprehension. However, in the screen size of $4000mm^2\;and\;8000mm^2$, reading speed was increased 18.9% and 34.0% respectively from a traditional rectangular column to a diagonally splitted column. We conducted a consecutive experiment to scrutinize the cause that improved the performance in readability task remarkably. The readability of text in a traditional rectangular column was compared with a left triangular column and a right triangular column in the condition of $4000mm^2/3:1$ ratio screen. The performance measuremen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read 21.1% and 67.6% faster respectively with the left triangular column and right triangular column than with the rectangular column. In consequence, the improvement of readability in the diagonally splitted column was attributed mainly to the increase of reading speed in the right triangular column.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diagonally splitted column improve text readability on a small screen and this result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designing an efficient text layout for mobile information devices

  • PDF

신문지 재활용 공정의 일차 점착성 이물질 실시간 정략을 위한 새로운 방법

  • 김동호;류정용;김용환;송봉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6-48
    • /
    • 2002
  • 본 연구는 신문지 고지의 점착성 이물질 중 Primary Stickies의 정 량에 관한 것으로 서, 실제 신문지료를 화상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매크로크기의 점착성 이물질올 측정할 때 효율적인 측정조건을 탐색하여 제지공정의 l 현장에서 일차 점착성 이물질을 정량 하는 새로운 측정기의 측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물질이란 제지공정에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은 불질의 총칭으로 dirt 및 각종 점착 성 이물질 즉, stickies를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스틱키{stickies}란 부드럽고, 점착성을 나타내는 이물질의 총청으로 주로 점착제와 확스에 의해 형성된다. 스틱키는 고지 재활 용의 효율성을 가장 크게 저해하는 이물질로 와이어, 펠트 및 기타 공정요소에 부착되 어 초지 시 지절을 발생시킴으로써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외관상 상품가치와 인쇄적성올 저하시키며, 최종 제품의 강도적 물성 및 가공적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 히 국내에서는 원가절감을 위해 고지의 재활용율올 증대시키고자 전력을 다하고 있으 며 환경보호 및 용수 절감올 위해 공정수를 절감하고 궁극적으로는 무방류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토지 계 내의 점착성 이물질의 투입과 농축 현상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초지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틱키 즉 점착성 이물질은 미세한 스크린의 슬롯 폭인 0.15 - -0.3mm 이상의 크기를 가져 스크린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매크로 스틱키{macro s stickies}와 이보다 작은 마이크로 스틱키(micro stickies)로 크게 분류된다. 즉 매크로 스틱키는 스크린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나 마이크로 스틱키는 스크린을 통하여 기계적 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스틱키는 또 거동 특성에 따라 primary s stickies와 secondary stickies로 구분할 수 있다. primary stickies는 펄핑과정에서 점착 성 이물질이 파괴됨에 따라 나타나지만, secondary stickies는 지류 제지공정의 백수에 용해 되거나 분산된 상태인 1때1 이하의 콜로이 드로 폰재 한다. 이 러 한 secondary stickies 는 pH, 온도의 변화나 각종의 첨가제에 의해 웅집이나 홉착 등을 발생할 수 있는 잠재 적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양성 고분자의 첨가는 펄프 섬유를 웅집시킬 뿐 아니라 지료에 함유된 secondary dtickies의 안정성을 저하시켜 응집, 침적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분리가 어렵고, 제지공정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쉬운 2차 스퇴키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은 용수절감 뿐 아니라, 초지공정의 침적물 절감을 통 한 공정개선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기술이라 할 수 있다.

  • PDF

라이너지 제조공정의 점착성 이물질에 대한 물질수지 해석

  • 이학래;함충현;김종민;강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04a
    • /
    • pp.156-157
    • /
    • 2001
  • 최근 제지업계는 원가절감과 환경보전을 위하여 고지 재활용율 증대와 공정 폐쇄화 를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특히 국산 고지의 활용 비율이 높은 골판지 원지 공정 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점착성 이물질에 의 한 공정 오염과 이에 따른 생산성과 제품의 품질 저하가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점착성 이물질, 즉 스닥키는 공정개선이나 제품 품질의 향상을 위해 투입되는 고분자 첨가 제와는 달리 주로 고지에 함유되어 있는 핫벨트, 점착성 테이프, 라벨, 도공파지 혹은 OMG 로부터 유래되는 합성고분자로 라텍스, 영크, 복사 토너 등 다양한 조성을 지니며 그 크기에 따라 매크로 스틱키와 마이크로 스틱키로, 성질에 따라 일차 스틱키와 이차 스틱키로 구분 된다. 매크로 스틱키는 일반적으로 라이너지 지료에서 0.15mm의 슬롯크기를 가지는 스크린 에 의해 걸러지는 점착성 이물질을 말하며, 마이크로 스틱키는 그 이하의 크기를 갖는 스탁 키를 일걷는다. 또 일차 스틱키는 고지 해리 시 발생한 스틱키를, 이차 스틱키는 계 내에 분 산된 상태로 존재하다 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점착성을 나타내는 스틱키를 말한다.

  • PDF

Particle-Based Sound Matching and Synthesis for Efficient and Realistic Foam Sound Generation (효율적이고 사실적인 거품 사운드 생성을 위한 입자 기반 사운드 매칭과 합성)

  • YoungChan Shin;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57-36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거품 입자의 물리적 속성을 활용하여 가상 시뮬레이션 장면에 맞는 거품 사운드를 합성하고 사운드의 물리적 현상을 기반으로 사운드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현실에서는 사운드의 근원지와 청중의 위치 관계에 따라 사운드 크기의 차이가 나타타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복잡한 3차원 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게 아닌, 2차원으로 투영된 입자의 유동을 분석하여 사운드를 합성하고 제어하는 방식을 소개한다. 우리의 방법은 거품 사운드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린 공간에서 계산된 거품 입자의 속도와 위치를 활용하여 청중의 위치 관계 및 사운드의 방향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거품 사운드를 사실적으로 합성하였다.

  • PDF

Content Adaptive Technique of Embedding Complementary Patterns for Nonintrusive Projection-based Augmented Reality (비간섭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을 위한 컨텐츠 적응형 보색 패턴 삽입 기술)

  • Park, Han-Hoon;Lee, Moon-Hyun;Seo, Byung-Kuk;Jin, Yoon-Jong;Park, Jong-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03-108
    • /
    • 2007
  • 최근 프로젝터의 보편화로 인해 프로젝터를 증강현실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관련 연구들을 흔히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이라고 부른다.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의 기하(geometry) 및 컬러(photometry)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정해진 패턴 영상을 투사하고 이를 카메라로 캡쳐한 후, 카메라 영상에 다양한 컴퓨터비전 기술들을 적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러한 스크린 기하 및 컬러 정보 획득 기술은 가시적인(visible) 패턴 영상이 사용자의 몰입감을 저해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스크린의 기하 및 컬러 정보가 수시로 변하는 환경에서는 가시적인 패턴 영상을 사용하는 기존의 스크린 기하 및 컬러 정보 획득 기술은 유용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패턴 영상을 비가시적(invisible)으로 만드는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기술들을 비간섭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이라고 한다. 특히, 보색 패턴(complementary patterns)을 증강현실 영상에 삽입하는 방법은 부가적인 장비없이 간단한 영상처리만으로 효과적으로 패턴 영상을 비가시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으며, 최근 가상 스튜디오에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삽입된 보색 패턴의 세기와 비가시성 사이는 상반관계(trade-off)를 가지므로,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보색 패턴의 비가시성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색 패턴의 비가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컨텐츠 적응형 패턴 삽입 기술을 제안한다. 증강현실 영상의 색감 및 텍스처의 복잡도에 따라 크게 4 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부분적으로 다른 채널 및 세기로 보색 패턴을 삽입한다. YIQ 컬러 공간에서 표현된 증강현실 영상을 균일한 크기의 영역으로 나눈 다음, 각 영역에 대해 I 성분이 지배적이면 Q 채널에 패턴을 삽입하고 Q 성분이 지배적이면 I 채널에 패턴을 삽입한다. 한편, 각 영역에 대해 텍스처의 복잡도가 크다면 강한 패턴을, 복잡도가 작으면 약한 패턴을 삽입한다. 여기서, 텍스처의 복잡도는 간단한 미분 필터(derivative filter)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다양한 실험 및 사용자 평가를 통해, 제안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크게 두 가지 상반관계를 가지는 장점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스크린의 기하 및 컬러 정보를 획득하는 성능 면에서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과 유사하도록 채널 및 패턴의 세기를 결정한다면, 기존의 방법에 비해 패턴의 비가시성이 크게 개선된다. 반대로, 제안된 방법의 패턴의 비가시성이 기존의 방법과 유사하도록 채널 및 패턴의 세기를 결정한다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스크린의 기하 및 컬러 정보를 획득하는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 PDF

Effect of Shading Method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in Summer Season (파프리카 여름재배시 차광방법이 생육과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 Ha, Jun Bong;Lim, Chae Shin;Kang, Hyo Yong;Kang, Yang Su;Hwang, Seung Jae;Mun, Hyung Su;An, Chul Ge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1 no.4
    • /
    • pp.419-427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shading methods, shading agent spray on the glasshouse and internal shading screen treatment,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and 'Coletti') in summer season cultivation. In the shading agent treatment, a commercial shading agent diluted with water at a ratio of 1 : 4 was sprayed on the roof of a glasshouse. In the internal shading screen treatment, a 10~20% shaded screen was used during the day time when the sun radiation was greater than $700W{\cdot}m^{-2}$. Compared to the unshaded control,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decreased in the greenhouse in the shading agent (SA) and shading screen (SS) treatments by 20% and 30%, respectively. Lower air temperatures and higher relative humidities were observed in the SA than in both the control and the SS treatment. Time to reach the break point of humidity deficit $8g{\cdot}m^{-3}$ was 2 hours late in the SA than in both the control and the SS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both the SA and the SS treatments showed lower instantaneous temperatures of leaf, fruit, and flower by $2^{\circ}C$, $5^{\circ}C$ and $3^{\circ}C$,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umber of branches, stem diameter, and leaf size among treatments although both shading treatments promoted plant height in both cultivars. Botrytis infection ratio declined with the SA treatment by 14.7% in 'Cupra' and 22.1% in 'Coletti' a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Shading increased fruit size in both cultivars, wherea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number of locules and thickness of fruit tissue among treatments. Shading treatment increased mean fruit weight by a range of 10 to 15 g per fruit, while it decreased soluble solids contents a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Similar Hunter valu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while fruit firmness increased slightly in shading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shading treatments improved marketable fruits by 11.7~22.6% and increased the number of fruits per plant by 4~9.2 in both 'Cupra' and 'Coletti'.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hading agent application on the roof of glasshouse would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options to reduce heat stress imposed on the paprika crop in summer cultivation, resulting in improved crop growth and fruit yield.

Web Document Transcoding based on CC/PP and Annotation (CC/PP와 애노테이션에 기반한 웹 문서 트랜스코딩)

  • 김회모;이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616-618
    • /
    • 2004
  • 모바일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이를 통한 웹 컨텐츠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기존의 웹 컨텐츠를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CC/PP 프로파일에 따라 웹 문서를 적절히 가공하여 전송하는 트랜스코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보다 정교한 수준의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원본 문서에 애노테이션(annotation)을 기술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한다. 제안된 애노테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시할 수 없는 컨텐츠를 임의의 리소스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디바이스의 스크린 사이즈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적절한 크기로 나누어 보여주며, 문서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맵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Moving Picture Variety according of Digital Broadcasting for Transition (디지털 방송 전환에 따른 영상 변화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35-336
    • /
    • 2013
  • 아날로그 방송이 2012년 12월 31일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 시대를 맞이했다. 디지털 방송은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디지털은 HD화질로 주사선이 2배가 넘는 1050~1250으로 영화스크린처럼 선명한 화면으로 아날로그 TV보다 4~5배 정도의 화질의 차이가 있으며, 음질에서도 CD 수준의 고음질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TV로 전환되었고, 화면크기와 전환 효과 비디오효과, 화면 분할, 3D 기법 적용 등 다양한 영상 변화를 나타낸다.

  • PDF

Dynamic/static Augmented Reality authoring system using smart device in HMD (HMD 환경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동적/정적 증강현실 콘텐트 저작 시스템)

  • Jeon, Jin-woo;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706-707
    • /
    • 2016
  • 본 논문은 HMD 환경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증강 객체의 동적 / 정적 속성을 부여하는 증강현실 콘텐트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2D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증강 객체의 3차원 위치, 자세,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증강 객체를 이용해 객체의 동적 경로를 설정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통해 비전문가도 현장에서 즉석으로 동적 / 정적 속성을 갖는 증강 객체 콘텐트 저작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