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크리닝

Search Result 45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Design of ATM Firewall Switch using Cell Screening (셀 스크리닝 방식에 기반한 ATM Firewall Switch의 설계)

  • Hong, Seung-Seon;Jeong, Tae-Myeong;Park, Mi-Ryong;Lee, Jong-Hyeop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8C no.4
    • /
    • pp.389-396
    • /
    • 2001
  • 기존의 라우터 기반의 패킷 스크리닝 방식은 ATM 네트워크 상에서는 패킷 수준의 스크리닝 기능의 적용을 위하여 SAR(Segmentation And Reassembly)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속의 셀 처리를 수행하는 ATM Switch의 셀 처리 속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셀 스크리닝 방식에 기반한 병렬 처리 구조의 ATM Firewall Switch를 제안한다. 제안된 Enhanced ATM Firewall Switch는 셀 단위로 분할된 패킷의 1, 2번 셀들에 대한 검사만을 통하여 스크리닝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셀 단위의 스크리닝 수행이 가능하며, 정책 캐쉬의 도입을 통해 셀 스크리닝 수행속도를 향상하였다. 또한 독립적인 User Cells Filter 기능 블록의 설계를 통하여 병렬 처리 구조의 셀 스크리닝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셀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였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battery pack design by applying the random extraction and screening technique (랜덤 추출과 스크리닝 기법을 적용한 배터리 팩 설계의 통계적 분석)

  • Lee, Pyeong-Yeon;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76-17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배터리 팩 설계를 위해 300개의 18650 리튬이온 셀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고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스크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300개의 고출력 원통형 18650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사용하여 전류적산법 기반 방전 용량(discharged capacity)과 HPPC(hybrid pulse power Characterization) test 기반 충전저항과 방전저항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스크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스크리닝 기법을 적용한 셀과 랜덤으로 추출된 셀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 PDF

Screening method using the cells deviation for Li-ion battery pack of the high power application (고출력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팩에 적합한 셀간 편차를 이용한 스크리닝 기법)

  • Lee, P.Y.;Lee, D.Y.;Pack, J.H.;Kim, J.H.;Lim, C.W.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7-15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 리튬이온 18650 셀(cell) 200개를 사용하여 고출력 어플리케이션의 운용 범위와 동적 특성을 적용한 스크리닝 방법을 제안하였다. 전기적 특성 실험 기반 배터리 용량과 OCV(open circuit voltage)의 요소를 고려한 16개의 내부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표준편차 기반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가중치를 각각의 요소에 적용하여 단위 셀의 대표 값을 결정하고 셀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스크리닝 기법과 제안된 스크리닝 기법을 200개의 단위 셀에 적용하여 두 기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Breast Cancer Screening with MRI (유방암 스크리닝 자기공명영상)

  • Cho, Nariya;Moon, Woo-Kyu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6 no.1
    • /
    • pp.1-5
    • /
    • 2012
  • Breast MRI is the most accurate adjunctive to the mammography for the screening of breast cancer. Despite lack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the effectiveness of MRI screening, it is now recommended for the women at high risk for breast cancer by the American Cancer Society and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based on several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In Korea, a retrospective study reported that preoperative MRI screening of the contralateral breast in women with unilateral breast cancer was associated with reduced metachronous cancer incidence. To introduce breast MRI as a supplemental modality to screening mammography in Korea, standardization and education of interpretation, establishment of MR-guided biopsy and adequate indication, and evaluation of cost-effectiveness and should be preceded.

Study on a screening method of retired Lithium Ion battery cells for recycling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재활용을 위한 스크리닝 방식 고찰)

  • Lee, Chun-Gu;Park, Joung-Hu;Lee, Seong-Jun;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225-227
    • /
    • 2018
  • 일반적으로 리튬이온은 배터리들은 각 배터리마다 고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서 직렬 또는 병렬로 패키징 되어서 팩으로 사용 될 때 각 셀 간의 전압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셀 벨런싱 회로 같은 셀 간 불균형을 회복시켜주는 기능이 없다면 배터리 팩 내의 셀 간 전압 불균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커지게 되고 이는 배터리 팩의 노화를 가속 시키거나 배터리 팩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는 폐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재활용하는데 있어서도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사항으로서 재활용 팩의 사용시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위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팩을 만들기 전에 스크리닝을 통해서 전기화학적 성분이 유사한 배터리들을 팩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프레시 배터리의 용량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프레시 배터리 용량은 프레시 배터리를 스크리닝 하기 위한 많은 기준들 중에서 가중치가 크지 않지만 폐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각 배터리마다 고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을 뿐만 아니라 각 배터리마다 상이한 배터리 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 배터리의 용량에 프레시 배터리를 스크리닝 할 때보다 큰 가중치를 두어 스크리닝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전류 프로파일로 노화된 배터리 팩 내의 셀들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폐배터리 셀들을 재활용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에 대해서 고찰한다.

  • PDF

Efficiency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dure through Introduction of Screening (스크리닝 도입을 통한 환경평가 절차 효율화 방안)

  • Shin, Kyung-Hee;Cho, Kong-Jang;Yim, Hyo-Soo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0 no.1
    • /
    • pp.129-150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ment to differentiate assessment procedure for projects in consideration of their environmental impact as a means to improve efficiency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procedure.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limited to lower impact projects. The current EA system in Korea has already attempted to introduce separate proceedings for certain projects.Tangible results from these efforts, however, have been limited. Other countries have adopted a "screening" system to determine whether EIA is applicable to a particular project, and if so, what procedure will be used therei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creening as the process wherein need for EIA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projects which have undergone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PERS) and which appear to have comparatively negligible environmental impact. In this case, EIA can be omitted and the developer can then draft a mitigation plan instead. This study found that exempting certain projects deemed as having low environmental impact can considerably shorten the duration required for both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nsultation,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Other expected effects from the adoption of this screening include reduction in delays in project execution due to environmental assessments and reduced red tape through the provision of increased autonomy to developers and the approving authorities.

  • PDF

Korean Suicide Risk Screening Tool and its Validity (한국형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와 타당성)

  • Kim, Jieun;Kang, Eunjeong;Jeong, Jin-Wook;Paik, Jo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3
    • /
    • pp.240-250
    • /
    • 2013
  • The early detection of suicidal ideation is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rief screening tool that can be easily administered in medical settings. The Suicide Risk Screening Tool was designed for use by physicians to provide a screening process that would be reliable, standardized, quick and feasible to implement. A 2-item screening tool was derived from the Screening for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e in the Norton Sound region of Alaska, USA. The scale was modified to reflec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including the elimination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was labeled the Korean Suicide Risk Screening Tool. Its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for medical setting were examined by explanatory study of 7 clinicians. Its validity was examined among a further 325 patients of four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using the results of interviewer-administered survey included demographic,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sent mental status as the external criterion. A brief 2-item suicide risk screening tool can be used by mental and non-mental health clinicians to accurately detect suicidality in patients.

The Basic Research of Screening for Optimal Voltage Balancing of a Li-Ion Battery (최적의 전압 밸런싱을 위한 배터리 스크리닝의 방법 연구)

  • Kim, J.H.;Shin, J.W.;Chun, C.Y.;Kim, W.S.;Cho, B.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9.11a
    • /
    • pp.262-264
    • /
    • 2009
  • 일반적으로, 단위 배터리간의 직/병렬 연결을 통해 구성되는 팩은 이를 구성하는 각 배터리간의 상이한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전압 불균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전압 불균형은 팩의 노화 및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전압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전압과 State of Charge(SOC)를 이용한 밸런싱 회로가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대체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단위 배터리로 구성되는 팩의 밸런싱 방법이다. 따라서, 동일하고 균일한 특성을 갖는 배터리들을 미리 선별하여 팩을 구성한다면, 밸런싱의 전반적인 효율증대가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전압 밸런싱을 위한 스크리닝(Screening)의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였다. 용량과 모델 파라미터(Lumped resistance;$R_{Diff}$)를 스크리닝의 척도로 고려하였고, 전압 불균형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용량, 모델 파라미터의 순으로 스크리닝을 진행하였다. 또한, 전압패턴인식을 이용한 판별법을 통해 제안된 스크리닝 방법을 검증하였다.

  • PDF

Discrete Wavelet Transform-based Screening Process for a Li-Ion Battery (이산 웨이블릿 변환(DWT)를 이용한 리튬 이온 배터리 스크리닝 방법)

  • Kim, J.H;Chun, C.Y.;Hur, I.N.;Cho, B.H.;Lee, S.J.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99-300
    • /
    • 2011
  • 상이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가진 단위 셀들을 미리 선별하여 팩의 안전한 운용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스크리닝(screening)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DWT;discrete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리튬 이온 배터리 스크리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축소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류프로파일을 통해 얻어진 충방전 전압을 이산 웨이블릿 변환에 적용하여 저주파 전압 성분과 고주파 전압 성분으로 분리하고, 각 단계별로 얻어진 성분들의 통계처리를 실시하여 스크리닝을 구현한다. 특히, 마지막 단계에서의 저주파 전압 성분과 고주파 전압 성분은 배터리의 State-of-health(SOH)를 예측하기 위한 성분으로 정의된다.

  • PDF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암세포 분화인자의 검색 및 그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 김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50-50
    • /
    • 1993
  • 최근의 암치료용 제제는 암세포의 분화를 재개시켜서 정상적인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약재개발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F9 EC세포주에 의한 분화인자 스크리닝 시스템을 확립하고 나아가 새로운 분화 유도인자를 스크리닝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F9 EC세포의 세포 배양조건을 먼저 확립하였으며 retinoic acid에 의한 F9 EC세포의 분화유도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확립하였다. 1 단계: F9 EC세포에 스크리닝할 물질의 단독처리 2 단계: 스크리닝할 물질에 dibutyryl cyclic AMP(dbc-AMP)와 theophylline을 첨가하여 처리 3 단계: 분화 marker유전자의 발현조사 그리고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천연 식물 및 해양동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분화인자의 검색을 시도한 결과, saponin, steroid 및 glycolipid계열의 물질이 분화인자로서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