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케치맵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XML 문서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스케치맵 시스템 (Sketch Map System using Clustering Method of XML Documents)

  • 김정숙;이야리;홍경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9-30
    • /
    • 2009
  •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지도(이하 맵)를 활용한 서비스는 맵에 접근한 후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매쉬업 형태의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맵의 재활용은 어렵다. 본 논문의 스케치맵 시스템은 기존의 대형 맵 시스템과는 달리 목적에 부합하는 특정 지점과 경로를 XML 문서로 표현한다. 또한, 스케치맵 간에 클러스터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맵에서 표현되는 지점을 최적의 내용으로 갱신한다. 그 결과로서, 목적지점에 대한 경로를 간단하게 약도로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맵 서비스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스케치 맵의 XML 문서 입력에 대하여 스케치맵 생성기에서 분석 분할 클러스터링의 과정을 통해 유효한 형태의 스케치맵을 생성한다. 스케치맵의 분할 및 병합을 위한 질의처리 방법으로는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스케치맵 시스템에 대한 기대효과를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여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보이는 맵들이 모여 거대한 맵을 형성함으로서 새로운 검색 포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인다.

중학생의 영토정체성에 관한 연구 -스케치맵에 나타난 영토, 국경, 이웃한 나라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regarding Territorial Identity: Assessing their Freehand Sketch Maps of Territory, National Border, and Neighboring Countries)

  • 전보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99-920
    • /
    • 2012
  • 본 연구는 탈영토화 시대의 영토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학생들의 영토 인식을 이해하고 진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이 그린 스케치맵을 통해 영토의 형태와 국경, 지리적 위치, 그리고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국가들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 알아 보았다. 또한, 북한과 DMZ, 독도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른 국가나 우리나라에 대한 가치, 태도, 감정이 간접적으로 어떻게 영토지도에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스케치맵과 사후 인터뷰를 통한 정성적인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스케치맵 방식은 학생들이 영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는 방식보다 영토정체성에 대한 맥락과 담론을 보다 풍부하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67개의 코드와 626개의 인용구를 포함한 코드리스트를 추출하였다. 정성적 분석에서 도출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나 학생들의 성적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SPSS를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리교육의 영역에서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모형과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PDF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 (Smart Social Grid System using Interactive Sketch Map)

  • 김정숙;이희영;이야리;김보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88-397
    • /
    • 2012
  • 최근 웹 기반 서비스에서 각광받는 분야 중 하나는 SNS로 불려지는 "인적 관계 서비스"이다. 이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지도 서비스는 오프라인 현실과 연동된 직관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시각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과거의 지도 서비스가 주로 물리적 현실 정보를 담고 표현하는 것이었다면 오늘날 지도는 실제 세계를 담는 단순한 검색 플랫폼을 넘어 사회관계를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의 구조를 기반으로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다양한 SNS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제공, 확대된 소셜 그리드를 통한 인맥 네트워크 구성 시 거버넌스 허브 툴로의 활용, 여타 SNS와 연계한 매쉬업 소프트웨어와의 브리지 역할, 소셜 그리드 데이터를 재생산하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 구축, 향상된 탐색 기술을 통한 보다 빠른 서비스 구축 등의 특징을 갖는다.

사실적이고 효율적인 얼굴 주름과 근육 수축을 표현하기 위한 스케치 인터페이스 (Sketch Interface for Realistic and Efficient Expression of Facial Wrinkles and Muscle Contractions)

  • 박소연;박성아;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365-36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타블렛을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주름 스케치를 입력받아 피부 패턴을 고려한 사실적인 얼굴 주름을 생성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주름을 생성하고 싶은 모델의 normal map에 간단한 스케치를 하면 해당 모델의 피부 패턴을 고려해 스케치를 주름으로 생성해준다. 또한, 얼굴 부위별 주름 형태를 분석하여 부위별 생성되는 주름의 형태가 다르고, 나이 설정을 통해 나이에 맞는 잔주름 및 주름 형태를 변형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주름 생성 방식은 주름에 대한 자세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도 간단한 스케치만 한다면 자동 계산을 통해 실시간으로 주름을 생성해주며, 얼굴 패턴에 따른 사실적인 주름이 생성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지식기반형 이미지 DBMS의 기능적 구성에 관한 고찰 (A structural analyzation of knowledge-based Image DataBase System.)

  • 이종호;홍석기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6-37
    • /
    • 1999
  • 디자인 프로세스상에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시각언어를 통한 디자인 컨셉 커뮤니케이션은 이미 여러 디자인분야에서 여러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스타일 스케치보드, 이미지 맵, 컬러맵, 캐털로그 리뷰 등).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디자인 리서치에 사용되어진 이미지들은 리서치 이후 저장되지 않고 폐기되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 작업에서 재활용되어지지 못하는 프로세스상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중략)

  • PDF

CUDA 기반 영상 분할을 사용한 비사실적 렌더링 (Non-Photorealistic Rendering Using CUDA-Based Image Segmentation)

  • 윤현철;박종승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1호
    • /
    • pp.529-536
    • /
    • 2015
  • 비사실적 렌더링(NPR; Non-Photorealistic Rendering)은 2차원 영상과 3차원 모델을 대상으로 하는 방법이 다르며 각각의 대상에 NPR을 적용하여 두 콘텐츠를 혼합하면 이질감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객체와 영상에 있어서 각각의 대상에 카툰 및 스케치와 같은 비사실적 효과를 적용하여 조화롭게 혼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 기법은 2차원 영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컬러 분포 특징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실사 영상이나 3D 객체의 컬러 수를 줄인다. 단순화된 컬러맵과 윤곽선 에지 데이터로부터 비사실적 렌더링을 실시한다. 컬러맵 정보의 추출 및 적용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장면 연출을 위해서 영상분할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영상분할 기법은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한다. 특히 크기가 큰 입력에 대해서는 비사실적 렌더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처리 시간이 많은 영상분할의 고속화를 위하여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이용한 병렬 컴퓨팅을 할 수 있는 GPGPU(General-Purpose GPU)를 사용한다. GPGPU의 사용으로 알고리즘의 수행속도를 크게 개선하였다. 또한 영상분할 후 단순화된 컬러를 추출하여 일련의 컬러맵을 생성한 뒤 3D 객체에 NPR을 적용할 때 추출해낸 컬러맵을 적용하여 2차원 영상과 3차원 객채 간의 이질감을 줄이고 조화롭게 하였다.

중국 윈난성(云南省) 소수민족 전통마을 청쯔고촌(城子古村)의 공간 인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gnition Characteristics at Minority Traditional Village of Chengzi in Yunnan Province of China)

  • 손영림;이인희;유재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101-108
    • /
    • 2019
  • Chinese ethnic minorities are inheriting their own traditions based on thousands of years of community life. Yunnan province in china is a castle in which many ethnic minorities have been living on the basis of various natural environments. Their traditional village can be regarded as a place reflecting minorities' thousands year of history and culture, and elements of positive social spaces are seen from the old village. Streets and places of the village are accumulated as images for residents. Based on their imagination-concept, sketch maps, reflecting residents' cognitive perception were collected. Analysis of 21 sketch maps shows that architectural elements, forming a unique landscape and community life contribute to establish a unity of one nation. the oldest tree in the village has a strong specificity as a place with the belief that the tree protects all residents in the village. Space in the head of the residents and Social spaces, embedded in the memories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community continued organically and the roads of the village showed clear recognition. Following this, the analysis methodology of social spaces and sketch will be examined in depth.

부산·경남지역 읍성 마을에서의 사회적 공간의 인지 특성 - 가덕도 성북(城北)마을, 진해구 웅천(熊川)마을을 대상으로 -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Space on Town Wall Villag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 The village of Seongbuk in Gadeok-Island and Ungcheon in Jinhae -)

  • 손영림;이인희;유재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1호
    • /
    • pp.109-116
    • /
    • 2019
  • Seongbuk Village and Ungcheon Village are Town Wall Villages that reflect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villagers have formed villages based on community life. The streets and places of the villages are accumulated as images in the memory of the inhabitants. Based on their imagination-concept, 30 sketch maps, reflecting residents' cognitive perception were collected. Analysis of 30 sketch maps shows that other forming of Collective maps. In the past, Villages historical facilities had changed rol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and the place has been continuous, an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vill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s and places has been formed. Following this, the analysis methodology of social spaces and sketch will be examined in depth.

체계적인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스마트 텍스트로닉스 제품 개발 프로세스 (Smart-textronics Product Development Process by Systematic Participatory Design Method)

  • 임수연;이상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3-170
    • /
    • 2021
  • 기능성 섬유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텍스트로닉스가 최근 스마트 의류, 스마트 홈, 스마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참여형 디자인 방법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텍스트로닉스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프로세스는 심층 인터뷰와 분석의 두가지 단계로 구성되며 심층 인터뷰 단계에서는 참여자가 사용행위, 행위별 요구조건, 만족도 수준 등을 포함한 사용자 여정맵과 스케치 및 간단한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한 아이디어 생성 활동을 수행한다. 이 후 분석 단계에서는 디자인 연구자가 심층 인터뷰 단계로부터 도출된 결과에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핵심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페르소나를 생성하고 각 페르소나의 주요 니즈를 E3 가치 체계의 가치요소와 연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텍스트로닉스 시장 파악하였으며, 제안된 방법론에 대한 검증을 위해 스마트 홈 분야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갖는 소파의 디자인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3D 프린팅을 이용한 얼굴 몰드 및 실리콘 마스크 제작 (Fabrication of Face Molds and Silicone Masks using 3D Printing)

  • 최예준;신일규;최강현;최수미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5호
    • /
    • pp.516-523
    • /
    • 2016
  • 노역분장을 위해서는 석고로 연기자의 얼굴 모형을 만들고, 그 위에 주름을 조소작업한 후 다시 석고로 음각 몰드를 제작하여 얼굴에 붙일 실리콘 피부 패치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처리 과정은 며칠이 걸리며 연기자나 분장사에게 어려움을 주고 있다. 최근에 3D 프린팅 및 스캐닝 기술이 발전하여, 얼굴을 스캔하여 실물로 제작하는 것이 쉬워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석고나 조소작업 없이 노역분장용 실리콘 마스크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얼굴 스캐닝, 인터랙티브 주름 모델링, 몰드 프린팅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제안한다. 고해상도 얼굴 모델에서도 주름을 실시간에 생성하기 위해 노멀맵 기반의 직관적인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그리고 최종적인 주름의 기하를 깊이맵을 이용하여 복원하고, 주름진 얼굴의 음각 몰드를 프린팅한다. 또한 완성된 음각 몰드에 실리콘을 부은 뒤 원래의 양각 얼굴을 겹쳐 실리콘 마스크를 제작함으로써, 제안 파이프라인이 기존 방식보다 노역분장용 마스크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