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일 지수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Quality Metric with Video Characteristics on Scalable Video Coding (영상 특성을 고려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기반 품질 메트릭)

  • Yoo, Ha-Na;Kim, Cheon-Seog;Lee, Ho-Jun;Jin, Sung-Ho;Ro, Yong-Ma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3 no.2
    • /
    • pp.179-187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qualify metric based on SVC and the subjective quality. The proposed quality metric is for a general purpose. It means we can use it for any video sequences regardless of its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e Quality of Service(QoS)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heterogeneous environment which has diverse restrictions such as limited network bandwidth and limited display resolution. Scalable Video Coding(SVC) is the efficient video coding skill in heterogeneous environment. Because SVC can be adapted to various quality bitstreams using three scalabilities(spatial, temporal, and SNR) from one bitstream which has full scalability. To maximize the QoS in this environment, we should consider the subjective quality which is the viewer response. And also we should consider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video sequence because the subjective quality is affected by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video sequence.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 subjective assess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high correlation with subjective quality. The proposed method can be a decision tool of SVC birstream extraction.

Micro-mechanical Failure Prediction and Verification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by Multi-scale Modeling Method (멀티스케일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미시역학적 파손예측 및 검증)

  • Kim, Myung-Jun;Park, Sung-Ho;Park, Jung-Sun;Lee, Woo-Il;Kim, M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1 no.1
    • /
    • pp.17-24
    • /
    • 2013
  • In this paper, a micro-mechanical failure prediction program is developed based on SIFT (Strain Invariant Failure Theory) by using the multi-scale modeling method for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nd the failure analysis are performed for open-hole composite laminate specimen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ed program. First of all, the critical strain invariants are obtained through the tensile tests for three types of specimens. Also, the matrices of strain amplification factors are determin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or micro-mechanical model, RVE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 Finally, the microscopic failure analysis is performed for the open-hole composite laminate specimen model by applying a failure load obtained from tensile test, and the predicted failure indices are evaluated for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Enhanced image detail control using Multi Channel Unsharp Mask Technique (멀티채널 언샤프 마스크 기법을 이용한 영상 세부제어)

  • Cho, Hyun-Ji;Nam, Doohe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1
    • /
    • pp.165-170
    • /
    • 2015
  • The unsharp mask technique emphasize the boundary of the image by adding the boundary of the original image. This technique improves quality by emphasize its boundaries but produce rough image from image noise. The multi channel unsharp mask is possible to enhance entire contrast of the image by applying at least two channels of unsharp mask. However, There is limitations to strengthen boundaries even if the scale strongly applies the multi channel unsharp mask technique. To solve this problem, linear scaling to nonlinear scaling by applying exponential function to existing multi channel unsharp mask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show enhanced contrast for desired area because of control scaling in details compared with existing unsharp mask technique.

Probe Diffusion and Viscosity Properties in Dimethyl Sulfoxide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 with High Degree of Hydrolysis (고검화도의 폴리(비닐 알코올)/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에서의 점성도 특성과 탐침입자의 확산)

  • Eom, Hyo-Sang;Park, Il-Hyun
    • Polymer(Korea)
    • /
    • v.34 no.5
    • /
    • pp.415-423
    • /
    • 2010
  • Poly(vinyl alcohol)(PVA) with high degree of hydrolysis of above 98%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DMSO), and the shear viscosity was measured up to $C{\simeq}0.14\;g/mL$ in the semi-dilute solution regime. Next, as probe particle, polystyrene(PS) latex was introduced into this matrix system and its delayed diffusion due to polymer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dynamic light scattering. When the solution viscosity of PVA/DMSO was plotted against the reduced concentration $C[{\eta}]$, which is scaled by the intrinsic viscosity, the molecular weight dependence was strongly appeared at C$[{\eta}]$ >2. Some heterogeneties in polymer solution were considered as its source. Contrary, the diffusion of probe particle in the matrix solution was observed as a single mode motion at whole concentration range but its ratio of its diffusion coefficient at solution to that at solvent, D/Do did not show any molecular weight dependence at all. However, the application limit of the stretched exponential function was disclosed at C$[{\eta}]$ >2.5.

Predicting Future Terrestrial Vegetation Productivity Using PLS Regression (PLS 회귀분석을 이용한 미래 육상 식생의 생산성 예측)

  • CHOI, Chul-Hyun;PARK, Kyung-Hun;JUNG, Sung-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1
    • /
    • pp.42-55
    • /
    • 2017
  • Since the phases and patterns of the climate adaptability of vegetation can greatly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an intensive pixel scale approach is required. In this study, Partial Least Squares (PLS) regression on satellite image-based vegetation index is conducted for to assess the effect of climate factors on vegetation productivity and to predict future productivity of forests vegetation in South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an temperature of wettest quarter (Bio8), mean temperature of driest quarter (Bio9), and precipitation of driest month (Bio14) showed higher influence on vegetation productivity. The predicted 2050 EVI in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have declined on average, especially in high elevation z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productivity monitoring of climate-sensitive vegetation and estimation of changes in forest carbon storage under climate change.

Projecting Water Balance for the Han River Basin Considering Climate Change Uncertainty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한강유역의 물수급 전망)

  • Seo, Seung-Beom;Kim, Young-Oh;Lee, J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30
    • /
    • 2011
  • 현재 우리나라는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20년 단위의 수자원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향후 발생가능한 물의 과부족을 평가하는 물수급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자원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미래 물수급 전망을 단일 값으로 제시하는 확정론적 기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과거 유출패턴이 미래에도 똑같이 재현된다는 가정 하에 물수급 분석을 수행한다. 이는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에 따른 물공급 시나리오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을 뜻하며, 현재 다양한 GCM(Global Circulation Model)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미래 수자원 변동 전망을 물수급 분석에 반영하지 않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자연유출량의 불확실성을 반영할 수 있는 물수급 전망 기법을 제안코자 한다. 먼저 국내유역에 적합한 GCM 시나리오들을 선정하였으며, 스케일상세화(downscaling) 기법을 통해 한강유역 중권역별 강우량, 증발산량 등의 일 단위 미래 수문기상 자료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구축한 기상자료를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인 TANK 모형에 입력하여 중권역별 미래 유출량을 산정하여 각 시나리오별 미래 유출량 변화를 전망하였다. 물수급 분석 모형으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미국 SEI-B와 제휴하여 개발한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인 K-WEAP을 사용하였으며, 물수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권역별 물공급 지수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기후변화 연구에서는 GCM 시나리오를 직접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수자원 전망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GCM 자체의 불확실성은 물론 과거 관측 자료를 입력자료로 하는 기존 연구 방법론으로 부터의 급진적인 변화에 따른 연구 연속성의 문제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CM 유출량 시나리오의 직접 적용 대신 과거 유출 시나리오별 가중값을 산정하여 반영함으로서 GCM 모의 결과의 불확실성을 저감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Improved Throughput Scaling of Large Ultra-Wide Band Ad Hoc Networks (거대 초 광 대역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개선된 용량 스케일링)

  • Shin, Won-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2
    • /
    • pp.303-310
    • /
    • 2014
  • We show improved throughput scaling laws for an ultra-wide band (UWB) ad hoc network, in which n wireless nodes are randomly located. First, we consider the case where a modified hierarchical cooperation (HC) strategy is used. Then, in a dense network of unit area, our result indicates that the derived throughput scaling depends on the path-loss exponent ${\alpha}$ for certain operating regimes due to the power-limited characteristics. It also turns out that the HC protocol is dominant for 2 < ${\alpha}$ < 3 while using the nearest multihop (MH) routing leads to a higher throughput for ${\alpha}{\geq}3$. Second, the impact and benefits of infrastructure support are analyzed, where m base stations (BSs) are regularly placed in UWB networks. In this case, the derived throughput scaling depends on ${\alpha}$ due to the power-limited characteristics for all operating regimes.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the total throughput scales linearly with parameter m as m is larger than a certain level. Hence, the use of either HC or infrastructure is helpful in improving the throughput of UWB networks in some conditions.

Verific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areal evapotranspiration in Yongdam Dam basin using evapotranspiration flux data (증발산 플럭스관측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보완관계 검증)

  • Kim, Eunji;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4-474
    • /
    • 2021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량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며, 증발산은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 표면 특성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증발산의 절대량을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수문학적 관점에서 유역단위의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반면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의 보완관계가설을 활용하면 복잡한 수문모델링을 거치지 않고 팬증발량으로부터 유역의 실제증발산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용담댐 유역의 증발산 보완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제증발산량(ETA)은 용담댐 내 덕유산 플럭스 타워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증발산량(ETP)으로는 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팬 증발량 자료를 활용하였고 습윤증발산량(ETW)은 Priestley-Taylor 공식을 통해 산정하였다. ETW는 수분이 무제한 공급되는 상황에서의 증발산량으로 정의되며, 동시에 ETA 및 ETP와의 상대적 비율로 스케일화하여 보완관계설정에 활용하였다. 대기의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ETA와 ETP간의 상대적 비율로 정의하였다. 이 때 팬 증발량은 기상 및 주변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아 증발량이 과대추정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보정한 값을 활용하였다. 보정계수는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한 기준증발산량과 팬 증발량의 기울기로 산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보정계수로 0.77을 사용하였다. 또한 ETW 산정 시 적용되는 Priestley-Talyor 계수(α)는 널리 알려진 값인 1.26 대신 유역의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0.99를 적용하였다. α 값의 조정을 통해 증발산 보완관계에 대한 E+의 평균 제곱근 오차(RMSE)가 0.685에서 0.075, Ep+의 경우 0.437에서 0.315로 개선되어 용담댐 유역의 증발산 보완관계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PDF

Analysis of CFD for Flow Discharge in Hard Micro-path of Drip Hose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 유량 변화에 대한 CFD 해석)

  • Kim, J.H.;Woo, M.H.;Kim, S.S.;Kim, D.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8-58
    • /
    • 2017
  • 점적 호스의 원통형 미로 구조물내의 유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금속판에 동일한 구조의 미로가 가공된 시험부를 활용하여 압력과 유량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CFD 해석하였다. 해석은 미로의 길이에 따른 유량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전체 미로에 구간별 총 8개의 배출구를 배치하고 밸브 조절을 통해 구간별 압력에 따른 유량을 측정함으로서 실험에 의한 압력과 유량의 관계를 검증하고 새로운 경질 미로를 설계하는데 응용하고자 한다. 경질 미로의 이론적인 해석에서 정밀도가 실험을 대신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점적관수의 경질 미로는 디자인을 달리함으로써 성능이 높고 미세한 스케일이 침착되지 않는 고성능의 점적관수 장치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미로 입구의 공급 유체 압력(Gauge pressure)을 0.5, 1.5, 2.5, 3.0 bar로 나누어 공급하였으며, 8개의 구간별 유출되는 유량은 전자저울에서 측정하였다. 향후 최적 미로의 새로운 설계를 위해 미로구조 전체를 CFD 해석하였고 그 결과를 실험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경질 미로내 각 구간별 세부적인 유동구조를 분석하였고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통해 향후 새로운 경질 구조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의 입구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 #1과 #2에 대한 CFD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경질 미로에 압력이 증가할수록 미로의 유체 속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2에서도 거의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미로 통로에서는 와류로 인한 이물질의 멈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흐름이 원활함을 알 수 있었다. 미로의 길이 #3과 #4에 대한 CFD 분석과 미로의 길이 #5와 #6에 대한 CFD 분석에서는 압력이 증가하고 미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로와 미로 사이의 넒은 통로에서는 유속이 크게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유체속의 이물질이 침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통로가 좁은 곳에서는 유속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과 #8은 미로의 상하단으로 유출되는 부분의 차이이므로 실질적으로 해석의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경질 미로에 대한 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별 유출량은 지수적인 반비례 현상을 나타내어 앞서 실험한 연구의 결과와 1~2% 오차 범위에서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에 대한 설계는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의 미로의 길이에 따른 CFD 분석의 결과는 실험적인 유출량의 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미로와 미로 사이의 넒은 통로에서는 유속이 크게 떨어져 이물질들이 침착될 가능성이 있었으며 실질적으로 넓게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에 대한 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별 유출량은 지수적으로 반비례 하였으며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에 대한 새로운 설계는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Urban Vitality Assessment Using Spatial Big Data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A Case Study of Daegu (공간 빅데이터와 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한 도시 활력 평가: 대구시를 사례로)

  • JEONG, Si-Yun;JUN, Byo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4
    • /
    • pp.217-233
    • /
    • 2020
  • This study evaluated the urban vitality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18 using emerging geographic data such as spatial big data, Wi-Fi AP(access points)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The emerging geographic data were used in this research to quantify human activities in the city more directly at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scales. Three spatial big data such as mobile phone data, credit card data and public transport smart card data were employed to reflect social, economic and mobility aspects of urban vitality while public Wi-Fi AP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were included to consider virtual and physical aspects of the urban vitality. With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ive indicators were integrated and transformed to the urban vitality index at census output area by temporal slots. Results show that five clusters with high urban vitality were identified around downtown Daegu, Daegu bank intersection and Beomeo intersection, Seongseo, Dongdaegu station and Chilgok 3 district. Further, the results unveil that the urban vitality index was varied over the same urban space by temporal slots. This study provides the possibility for the integrated use of spatial big data, Wi-Fi AP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as proxy for measuring urban vit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