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일러빌리티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Dynamic Full-Scalability-Conversion in SVC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의 실시간 스케일러빌리티 변환)

  • Lee, Dong-Su;Bae, Tae-Meon;Ro, Yong-M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3 no.6 s.312
    • /
    • pp.60-70
    • /
    • 2006
  • Currently, Scalable Video Coding (SVC) is being standardized. By using scalability of SVC, QoS managed video streaming service is enabled in heterogeneous networks even with only one original bitstream. But current SVC is insufficient to dynamic video conversion for the scalability, thereby the adaptation of bitrate to meet a fluctuating network condition is limited. In this paper, we propose dynamic full-scalability conversion method for QoS adaptive video streaming in H.264/AVC SVC. To accomplish full scalability dynamic conversion, we propose corresponding bitstream extraction, encoding and decoding schemes. On the encoder, we newly insert the IDR NAL to solve the problems of spatial scalability conversion. On the extractor, we analyze the SVC bitstream to get the information which enable dynamic extraction. By using this information, real time extraction is achieved. Finally, we develop the decoder so that it can manage changing bitrate to support real time full-scalabil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dynamic full-scalability conversion was verified and it was necessary for time varying network condition.

Method for Conditional Access Control in Secured SVC Bitstream (암호화된 SVC 비트스트림에서 조건적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

  • Won, Yong-Geun;Bae, Tae-Meon;Ro, Y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51-15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러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조건적 접근제어가 가능한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중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방법인 JSVM(Joint Scalable Video Model)은 부호화한 동영상에 대해 공간, 시간, 품질의 스케일러빌리티(Scalability)를 지원하는데, 각 스케일러 빌리티를 고려한 조건적인 접근제어기술은 스케일러빌리티에 따라 사용자를 제한해야 하는 경우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제안하는 방법은 공간, 시간, 품질의 세가지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도록 부호화(Encoding)후 구성되는 NAL(Network Abstract Layer)을 지원하는 스케일러빌리티에 따라 구분하고, 구분된 NAL 의 종류에 따라 암호화 key 를 다르게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접근제어 수준에 맞게 암호화 key 를 조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JSVM 에서 공간, 시간, 품질의 스케일러빌리티가 보장되고, 이때 생성되는 Key 의 조합으로 조건적 접근제어(Conditional access control)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calable Video Encoder S/W using layer based multi-processing (레이어 단위 멀티 프로세싱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더 S/W 개발)

  • Yi, Joo-Young;Kim, Jewoo;Kim, Yong-Hwan;Choi, Bye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598-601
    • /
    • 2011
  •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레이어간 예측 기능을 이용하여 시뮬케스트 코딩에 비해 코딩 효율을 높인다. 하지만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의 레이어간 예측으로는, 인트라 픽셀(inta pixel). 모션 정보(motion vector information), 레지듀얼(residual)등의 예측이 수행되는데, 이는 많은 계산 시간을 소요하게 되며, 시뮬케스트에 비해 코딩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인코더의 경우, 가장 최적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존 H.264 AVC에서 사용하는 예측을 수행한 뒤, 부가적으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의 레이어간 예측을 수행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이 많은 레이어를 포함할수록 인코딩에 의한 계산부하가 매우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 코어 이용하여 레이어별로 병렬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더의 구조를 제안한다. 이로써 하나의 영상이 포함하는 레이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코딩 계산 부하를 줄이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2개의 공간영역으로의 스케일러빌리티를 가지는 영상들에 대해서는 평균 24.8%의 속도가 향상되었고, 1개의 공간영역과 1개의 화질 영역으로의 스케일러빌리티를 가지는 영상들에 대해서는 평균 82%의 속도 향상을 보였다.

  • PDF

An approach to VOD traffic modeling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활용한 VOD 트래픽 모델링 방법)

  • 이호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481-483
    • /
    • 2000
  • 본 논문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의 스케일러빌리티(scalability)를 활용한 VOD 트래픽 모델링에 대하여 소개한다. VOD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비디오 데이터는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특징은 데이터 양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데이터 양이 비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는 시간축에 따라서 변화가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번째 특징은 비디오 데이터는 전송되는 양상이 시간축에 대하여 거의 끊김이 없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VOD 트래픽을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게 생각되었다.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은 함수에 대한 근사이다. 우수한 점은 함수에 대한 근사가 상당히 용이하고 또 유연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함수 근사의 정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우수한 점은 시간과 공간 양쪽에 대하여 함수 근사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VOD server와 client 사이의 트래픽을 이산 웨이블릿 변환인 스케일러빌리티를 활용하여 모델링하여 server와 client 사이에 보다 효과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를 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Bands Spread Coding Algorithm for Video Coding based on Forward Orthogonal Wavelet (직교 웨이브릿 기반의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대역 확산 부호화 알고리즘)

  • Seo, Jung-Hee;Park, Hung-B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33-36
    • /
    • 2003
  • 영상회의 시스템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에서 스케일러빌리티 및 점진적인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웨이브릿 기반의 영상을 부호화한다. 웨이브릿 기반의 동영상 부호화 기법인 SAMCoW 알고리즘은 움직임이 보상된 오차 영상의 웨이브릿 변환 계수들의 특성으로 인해 제로 트리의 무효 계수 예측이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직교 웨이브릿(Forward Orthogonal wavelet)을 기반으로 스케일러빌리티 및 점진적인 전송을 지원하며, 움직임이 보상된 오차 영상의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해 적응적 임계치를 이용한 대역 확산 부호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Scalable Video Coding Technique with FGS Temporal Scalability (FGST를 이용한 계층적 코딩기법에 관한 연구)

  • Kim, Jong-Uk;Kim, Jin-Cheol;Lee, B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83-786
    • /
    • 2002
  •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실시간 전송은 인터넷에서 중요한 기술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4 표준에서 채택된 FGS(Fine Granualrity Scalability)를 이용한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MPEG-4 FGS는 인터넷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특성의 단말기들과 대역폭 변동에서 유연성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계층 비디오 부호화 기법보다 PSNR값이 평균 1$\sim$2dB정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단일 계층 부호화 방법에 비해서는 효율성이 낮게 나타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이런 FGS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시간 스케일러빌리티를 갖는 FGST(FGS temporal scalability)층을 적용하였다. 기본계층은 일반적인 FGS 부호화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위계층 부호화로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갖는 FGST를 이용한다. 실험은 프레임율 10 fbs의 container와 mobile 영상에 대해 이루어졌고 두 영상 모두에 대해 FGS 부호화만을 적용하는 경우보다 상위계층으로서 FGST를 이용하는 경우 상당한 효율성 향상이 있음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bit-plane coding improvement of EBCOT algorithm (EBCOT 알고리즘의 bit-plane 부호화 개선에 대한 연구)

  • 이호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281-283
    • /
    • 2000
  • 본 논문은 EBCOT 알고리즘의 소개와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EBCOT 알고리즘은 웨이블릿 변환과 블록기반 bit-plane 부호화 방법을 활용한 알고리즘이다. EBCOT에서 사용하는 bit-plane 부호화 방법을 블록기반 fractional bit-plane 방법이라고 한다. 이 방법은 bit-plane 전체를 한번에 부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으로 나누어 부호화를 수행하고 또한 하나의 bit-plane에 대하여서도 4번의 pass를 거치면서 bit의 context에 따라서 부호화를 수행한다. EBCOT는 웨이블릿 변환에 의하여 resolution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고 fractional bit-plane 부호화에 의하여 SNR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며 블록기반 부호화에 의하여 ROI에 대한 random 접근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EBCOT는 부호화가 완료된 다음에 bit reduction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이전의 EZW나 SPIHT 방법에 비하여 장점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bit-plane 부호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Analysis of 3D Scalable Video Codec (3차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덱 설계 및 성능 분석)

  • Lee, Jae-Yung;Kim, Jae-Gon;Han, Jong-K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1 no.2
    • /
    • pp.219-236
    • /
    • 2016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3D scalable video codec by combining the Scalable HEVC (SHVC) and the 3D-HEVC which are the extended standards of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The proposed 3D scalable video codec supports the view and spatial scalabilities which are the properties of 3D-HEVC and SHVC, respectively. In the proposed 3D scalable codec, the high-level syntaxes are designed to support the multiple scalabilities. In the computer simulation section, we confirmed the conformance of the proposed codec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dec.

Fast Intermode Decision of Scalable Video Coding using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서 통계적 가설 검증 기법을 이용한 프레임 간 모드 결정)

  • Lee, Bum-Shik;Kim, Mun-Churl;Hahm, Sang-Jin;Lee, Keun-Sik;Park, Ke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111-115
    • /
    • 2006
  •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Scalable Video Coding)은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과 VCEG (Video Coding Expert Group)의 JVT(Joint VIdeo Team)에 의해 현재 표준화 되고 있는 새로운 압축 표준 기술이며 시간, 공간 및 화질의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기 위해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위해 계층적 B-픽처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의 기본 계층은 H.264|AVC와 호환적이므로, 모션 예측과 모드 결정과정에서 $16{\times}16,\;16{\times}8,\;8{\times}16,\;8{\times}8,\;8{\times}4,\;4{\times}8$ 그리고 $4{\times}4$와 같은 7개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블록을 사용한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 사용되고있는 계층적 B-픽처 구조는 키 픽처인 I와 P 픽처를 제외하고는 한 GOP (Group of Picture)내에서 모두 B-픽처를 사용하므로 H.264|AVC와 비교했을 때 연산량 증가와 함께 부호화 지연도 급격히 증가한다. B-픽처는 양방향 모션 벡터인 LIST0와 LIST1을 사용하고 양방향 모두에서 다중 참조 픽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가선 검증을 이용하여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 적용 가능한 고속 프레임간 모드 결정 알고리듬 대해 소개한다. 제안된 방법은 $16{\times}16$ 매크로 블록과 $8{\times}8$ 서브 매크로 블록에 통계적 가설 감증 기법을 적용하여 실행되며, 현재 블록과 복원된 참조 블록간의 픽셀 값을 비교하여 RD(Rate Distortion) 최적화 기반 모드 결정을 빨리 완료함으로써 고속 프레임간 모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방법은 프레임 간 모드 결정을 고속화함으로써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기의 연산량과 복잡도를 최대 57%감소시킨다. 그러나 연산량 감소에 따른 비트율의 증가나 화질의 열화는 최대 1.74% 비트율 증가 및 0.08dB PSNR 감소로 무시할 정도로 작다.

  • PDF

SHVC-based Texture Map Coding for Scalable Dynamic Mesh Compression (스케일러블 동적 메쉬 압축을 위한 SHVC 기반 텍스처 맵 부호화 방법)

  • Naseong Kwon;Joohyung Byeon;Hansol Choi;Donggyu Sim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8 no.3
    • /
    • pp.314-328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xture map compression method based on the hierarchical coding method of SHVC to support the scalability function of dynamic mesh compression.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eliminates the redundancy of multiple-resolution texture maps by downsampling a high-resolution texture map to generate multiple-resolution texture maps and encoding them with SHVC. The dynamic mesh decoder supports the scalability of mesh data by decoding a texture map having an appropriate resolution according to receiver performance and network environme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V-DMC (Video-based Dynamic Mesh Coding) reference software, TMMv1.0, and the performance of the scalable encoder/decoder proposed in this paper and TMMv1.0-based simulcast method is compared.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improves in performance the average of -7.7% and -5.7% in terms of point cloud-based BD-rate (Luma PSNR) in AI and LD conditions compared to the simulcast method, confirming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 texture map scalability of dynamic mesh data through the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