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커트 실루엣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스커트의 변천

  • 이종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4년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 /
    • pp.60-64
    • /
    • 2004
  • 스커트는 여성을 표현하는 심볼이기도 하며 스커트를 입은 모습의 인물 실루엣은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여성의 마크로 되어 있다. 또한 여성의 하반신을 커버하는 의상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커트는 오랫동안 유행의 초점이 되어 왔고 앞으로도 창작의 흥미가 끊이지 않는 부분이기도 할 것이다.(중략)

  • PDF

현대패션에 응용된 후프(Hoop)에 관한 연구

  • 정경희;배수정
    • 한국가정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정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77-7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후프(hoop)의 기원 및 변천과정을 고찰해보고 시대별로 후프의 유형을 분류한 후,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더욱 다양해진 후프가 현대패션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후프의 역사적ㆍ미적 가치를 재인식하여 오늘날 복식디자인에 창조의 영감을 줄 수 있는 하나의 모티브를 제시하는데 있다. 후프가 발생하였던 르네상스시대에는 신 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사고가 변화하면서, 복식에 있어서도 인간의 신체미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인체의 실루엣을 과장ㆍ확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속옷의 중요성과 역할에 따른 심미적인 기능이 복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였고, 뿐만 아니라 기교적인 면에서 속옷에 요구되는 장식성은 어느 시대보다 절실하였다. 그 결과 겉옷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속옷도 인체를 크게 보일 수 있는 후프가 고안되었다. 후프는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철사나 고래뼈 등을 세공하여 만든 테를 넣은 속치마를 말한다. 16세기 중엽 스페인에서 유행한 종형의 파딩게일(farthingale)을 시초로,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드럼형의 휠 파딩게일(wheel farthingale)과 오쓰뀌(hausse col)가 유행하였다. 17세기 초기에는 후프를 착용한 16세기 복식이 유행하였으나, 1625년 이후 슬림한 스타일의 17세기 복식이 유행하자 후프의 착용은 점차 쇠퇴하였다. 18세기에는 파니에(panier)가 유행하여 옆을 부풀린 스커트의 실루엣을 형성하였고, 19세기에는 크리놀린(crinoline), 벗슬(bustle)이 유행하였다.

  • PDF

BMI별 스커트 실루엣과 길이에 따른 시각적 효과 평가 (The Visual Effect Evaluation by Skirt Silhouette and Length, and Wearer's BMI Categories)

  • 이지;남영란;김동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12-825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interaction visual effect of skirt silhouettes and skirt length by body mass index.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to choose suitable skirts for their image. Twelve skirts were made, consisting of two categories of body mass index, three types of skirt silhouette and two levels of skirt length.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evaluated the visual effects of the experimental skirts using a questionnaire.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visual effect following the skirt's length and silhouette by body mass index were analyzed by three-way ANOVA. Overall, a shorter the body and lower body length resulted in better vertical effects in normal weight. In terms of horizontal effects, such as lower body thickness and full-body shape, the 40 cm skirt, 50 cm tight, and A-line skirt were generally shown as better images. Skirt length helped supplement body type rather than silhouette in the overweight section. When the length was 40 cm, three skirts showed a more positive image. This study provide result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to choose skirts that are suitable for their image.

개더스커트 형상프로포션의 3차원적 해석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Shapes of Gathered Skirts)

  • 이명희;정희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598-160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gathered skirts using a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And in this experiment, we have attempted to accumulate three-dimensional data of wearing model and find out adequate methods for analyzing shape of clothes. The experimental design consists of two factorial designs. We established three different kinds of fabrics, ratio of gathers. The measurement tool for three-dimensional model was whole body 3D scanner(Exima-WBS2H). Analysis program used in experiment is RapidForm 2004 PP1 and Pattern Design 2000. Data analysis utilizes SPSS WIN 10.0 Package. As the results show, there were different effect of gather and proportion of shapes among the measurements of width, thickness and areas made by different lines of vision in cross-sectional silhouette. And there were difference shapes of section area at each part of gathered skirts between vertical-outline silhouette and vortical-plane silhouette made by gathering conditions. And also the cross-sectional silhouettes and vertical silhouettes were related to shape of clothes.

한국적인 모티프를 응용한 스커트 디자인 연구 - 한복 치마의 형태와 스커트의 실루엣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shion Design Incorporating Korean-Style Motifs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hape of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es) Skirts and Skirt Silhouette -)

  • 강경림;김정희
    • 복식
    • /
    • 제63권6호
    • /
    • pp.140-149
    • /
    • 2013
  • The study aims to suggest new skirt designs through a modernistic application of the silhouette of Hanbok skirts. It also aims to promote the aesthetic beauty and excellence of Hanbok to the world by using Hanbok skirts that best express the beauty of Korea as motifs, and to promote a pride in Korean culture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Hanbok skirts. The study was focused on examining Hanbok skirts from the Three Kingdoms era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skirts in each era were compared to western silhouettes to suggest design cent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ilhouette. A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sha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waist-grip, the width and length of a skirt, wrinkles and ornamental lines, before being compared to skirt silhouettes of western costum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anbok skirt silhouettes in the Three Kingdoms era were similar to the A-Line silhouette of western costume, the Empire silhouette of unified Silla, the H-Line silhouette of the Goryeo Dynasty, the Bell-Line silhouett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Bustle Style applied to ceremonial costum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esearcher suggested five skirt designs by applying the above-mentioned five silhouettes, confirming the research premise that Hanbok skirt silhouettes are as diversified as those found in western costume. Designs were suggested for each silhouette, and are expected to lead to the development of designs befitting future trends and concepts through detaile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Hanbok skirt silhouettes.

3차원 동작분석장치를 이름한 하지동작 연구 (A Study on Walking Movements for Skirt Patterns with 3D Motion Analysis System)

  • Kim, Jung-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03-1613
    • /
    • 2001
  • 본 연구는 동작분석장치를 이용하여 하지동작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실제 동작 시 적응 할 수 있는 의복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하지부 실루엣 변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퇴돌기점을 기준으로 본 하지동작의 진행방향 이동과 상향 방향이동을 살펴보았는데 보행유형에 따라 여유량이 특히 요구되는 부위가 각기 다르며, 부위별 필요 여유 량도 각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 이러한 보행유형 별 스커트 실루엣의 특징은 기능복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하겠다. 평지보행 시는 발목부위가 전면방향보다 후면방향으로 이동의 범위가 크므로 트임이나 주름이 뒷면에 있는 것이 적합하고, 계단승강이나 버스승강의 경우 무릎전면에 여유량이 필요하므로 주름이나 트임을 앞쪽에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는 대퇴돌기점 높이정도에서 시작하여야 하고 무릎아래에 있는 앞트임은 하지동작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앞과 뒤 실루엣이 다른 스커트의 가상착의와 실제 착의에 대한 주관적 외관평가와 형태특성 비교 (Comparison Between Actual and 3D Virtual Skirts of Different Front and Back Silhouette with Regard to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Appearance and Shape Characteristics)

  • 이희란;홍경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5호
    • /
    • pp.91-108
    • /
    • 2017
  • Interests in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online shopping malls are increasing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st studies on 3D virtual clothing, however, are focused on observing drapes or ease of virtual clothing depending on fabric properties of representative clothing it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determine if current input of typical material characteristics in 3D CLO are sufficient to formulate virtual skirts with different front and back silhouettes; second, to determine if subjective appearance evaluation matched physic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ose skirts. In this study, appearances of typical cotton, wool, silk, rayon, and polyester skirts with different front and back pattern were compared between actual and virtual clothing depending on fabric materials. Subjective appear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7 experts regarding similarity between actual and virtual clothing with a 5-point scale. For objective evaluation of the both types of skirt shape, degree of roundness at the cross section, displacement of side seam, position of back waistline, and the number of folds at the skirt back were observed. In the case of cotton and wool, not the subjective appearance evaluation as well as shap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kirts were well matched to the actual shape of skirts with a few material inputs. However, current material inputs for silk, rayon and polyester were insufficient to cover material differences in formation of virtual skirts with different front and back silhouettes.

실시간 처리를 위한 천의 다단계 표현 방법 (A multi-level representation of cloth for real-time processing)

  • 배희정;장병태;백낙훈;이종원;유관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544-546
    • /
    • 2001
  • 움직임에 따른 변형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은 가상 현실이나 게임 제작 분야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반면에 캐릭터 등이 착용한 스커트나 바지 등과 같이, 복잡한 변형 특성을 가지는 옷감의 변혁은 캐릭터의 움직임에 따른 변형을 원하는 시간 내에 자연스럽게 생성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수의 이산점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변형을, 실시간적 처리를 고려하여 다단계로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방향을 가진 표면 요소로 기본 frame을 구성하여 이들의 시뮬레이션 결과로 비교적 사실적인 표면 전체의 실루엣을 얻고, 이를 세분화시킴으로써 움직임에 따른 세부적인 변형을 생성한다. 기존의 시뮬레이션 중심의 계층적 방법과는 달리, 변형된 기본 프레임의 유한 요소간에 작용하는 움직임과 위상 관계를 기하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움직임에 따른 표면의 세부적인 모양을 얻어 낼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로 캐릭터의 돌발적인 움직임에도 안정적이면서 그럴 듯한 움직임을 생성하며, 움직임에 따른 자연스러운 모양을 실시간에 생성할 수 있다.

  • PDF

서울 패션 위크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shion Style of Female Celebrities in Seoul Fashion Week)

  • 이지연;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84-295
    • /
    • 2019
  • 셀러브리티들은 한 시대의 지배적인 문화를 형성하기도 하며, 새로운 유행을 선도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대상이다. 서울 패션 위크에 참석하는 국내 여성 셀러브리티들은 자신만의 패션 미학을 대중들에게 노출함으로써 패션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기도 하며, 컬렉션을 개최하는 패션디자이너들의 브랜드 홍보 및 판매를 촉진시키는 결과를 창출한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서울 컬렉션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스타일의 분석을 토대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형의 스트레이트 실루엣, 무채색의 활용, 문양이나 장식이 없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셀러브리티들은 모던하면서도 미니멀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슬림 실루엣과 프린세스 실루엣, 원피스 드레스나 스커트의 착용, 부드러운 소재나 러플의 장식을 통하여 전통적인 여성미를 드러내는 페미닌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원피스 드레스에 재킷을 매치한 형태 또한 다수 나타남에 따라 남성미가 절충된 시크 페미닌 스타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박시 실루엣, 화려한 컬러들이 믹스된 멀티 컬러, 반짝이는 소재와 그래픽이나 레터링의 문양, 다수의 디테일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유행의 선도자로서의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맥시멀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 착의 시 고어드스커트의 패턴 제도 요인이 실루엣에 미치는 영향 (The Pattern Draft Factors Affecting the Silhouette of Gored Skirts in Virtual Clothing Simulation)

  • 최순희;김여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9-40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ow the number of panels, the amount of flare and the flare starting point affect the silhouette of the gored skirt. This study consisted of (1) creation of 3D body representations (2) comparison of silhouette between 3D virtual gored skirt and actual gored skirt by pilot experiment (3) pattern drafting of twenty-seven different gored skirts for 3D body representations (4) a computer simulation of twenty-seven different gored skirts for visualization and assessment (5) visual inspection of twenty-seven different 3D virtual gored skirts (6) comparison of ham shapes and measurements for the node and size analysis. A visual inspection of twenty-seven different 3D virtual gored skirts showed clear differences by the amount of flare and the flare starting point ; however, there was notably less difference in the width of ham among six-piece, eight-piece and ten-piece panels. Thi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less influence on the number of panels than the amount of flare width of ham and extent of ham for the 3D virtual gored ski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