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웨덴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19초

스웨덴 국립 디자인 대학의 시각 디자인 교육 (A Study on the Graphic Design Education at Konstfack in Sweden)

  • 강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
    • /
    • pp.165-172
    • /
    • 1996
  • 스웨덴 국립 디자인 대학은 15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디자인 교육기관의 하나로 스칸디나비아 디잔인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콘스트 팍(Konstfack)이라 불리워 지는 이 학교는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아 근대적인 모습으로 탈바꿈했으며 1970년대에 이르러 오늘날과 같은 실험적인 교과과정과 독특한 교육방식을 완성했다. 이 학교의 상징 엠블 렘에는 'Insight och Flit'라는 말이 새겨져 있는데 이것은 창조적인 직관과 끊임없는 노력을 중시하는 콘스트 팍의 정신을 그대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와 스웨덴은 정치, 경제, 사회제도나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다르다. 1800년대 후반의 스웨덴은 유럽 내에서 가장 늦게 산업혁명을 겪은 변두리 국가로서 경제적으로도 매우 낙후된 국가였다. 문화적으로도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의 유럽의 강국들과 비교하면 열세였고 국가적인 정체성도 채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1900년대 초반의 스웨덴의 지식인들은 스웨덴 적인 것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로 고민하였고 이들의 그러한 노력은 1950년대에 와서 스칸디나비안 그레이스, 스웨디쉬 모던이라고 하는 스타일을 만들어 내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웨덴 국립 디자인 대학은 스웨덴 디자인 협회, 디자인 전문잡지 <스벤스크 포름>등과 함께 스웨덴 디자인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 PDF

A Comparison of Technological Systems for Industrial Robots in Korea and Sweden

  • 성태경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3-255
    • /
    • 2004
  • 이 논문은 Carlsson and Stanklewicz(1991)가 창안한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s)의 개념을 한국과 스웨덴의 산업용로봇에 적용하여, 양자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술시스템의 개념을 재구축하고, 동태적인 측면에서 시스템의 진화과정을 보강한 다음, 한국과 스웨덴의 산업용로봇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양 기술시스템의 중요한 특징들을 비교하고 그 성과를 측정하였다. 한국과 스웨덴에 있어서 산업용로봇 기술시스템의 진화과정은 공히 미국, 일본 등 기술선도국을 모방하는 입장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기간'이 20여 년 이상 소요됨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양 시스템의 진화과정. 특히 태동기(embryo stage)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컸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술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산업네트워크, 기술하부구조, 그리고 제도적하부구조 면에서 강약점 및 특징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기술시스템의 동태적 성과면에서는 한국의 경우가 스웨덴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스웨덴 시스템에서는 초기에 우위를 누렸던 기계, 전기, 그리고 메카트로닉스 기술의 우위와 사용자 능력이 점차 약화되어온 반면에 한국의 시스템은 기술하부구조 등이 취약하였지만 해외시스템과의 연계, 재벌 내에서의 기업간 연계, 산학연 협동, 그리고 지역내 연계 등 시스템내의 연계성이 기술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보전해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어느 한 기술시스템이 자생적으로 생명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별적 형성 및 발전보다는 구성요소간 그리고 시스템내의 다양한 활동주체들의 상호작용과 연계성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스웨덴의 방산 수출정책

  • 윤재갑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146호
    • /
    • pp.56-71
    • /
    • 1991
  • 스웨덴의 방산업계는 최근 몇 년간의 군발주량 감소로 인하여 불안정한 상황에 직면해왔다. 전체 예산중 방산물자 구매에 할당하는 예산비율을 각 군별로 살펴보면 육군의 경우가 23%이며, 해군은 43%, 그리고 공군은 58%에 그치고 있다. 국방예산 전체로 볼 때 1950년대 중반에는 50%에 달하던 것이 현저히 낮아져서 현재는 전체예산의 35%만이 방산물자의 구매 및 연구개발에 할당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스웨덴 방산업계는 수출에 대한 비중을 점차 높여나가지 않을수 없게 되었다

  • PDF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지하비축시설 관찰기

  • 김영준
    • 석유와에너지
    • /
    • 7호통권5호
    • /
    • pp.45-48
    • /
    • 1981
  • 지난5월 스웨덴과 노르웨이 등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방문하여 이들 국가들이 전쟁에 대비하여 만들고 있는 각종지하시설들과 공동을 만드는 기술수준 ,노르웨이 북해유전개발 현황등을 연구시찰하였는바, 우리의 입장과 관련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계획과 연구개발

  • 전풍일
    • 원자력산업
    • /
    • 3_4호통권12호
    • /
    • pp.34-38
    • /
    • 1983
  • 이 글은 한국에너지연구소장 차종희박사가 스웨덴의 Royal Swedish Academy of Engineering Sciences에서 초청되어 83. 2. 22에 스웨덴에서 발표한 'Progress of the Nuclear Power Program in Korea'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작성한 것이다.

  • PDF

國際基準 錘사운딩試驗法 紹介

  • 류기송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10
    • /
    • 1992
  • 本稿는 스웨덴 土質工學會 및 協會가 國際土質工學會와 協定에 의하여 作成한 4種의 貫入試驗法에 관한 最終報告書에서 錘貫入試驗法(스웨덴式 사운딩 試驗法)만을 拔萃하여 紹介한 것이다.

  • PDF

해외 정보 -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프로그램에 있어서 사회과학 연구의 중요성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36권8호
    • /
    • pp.82-89
    • /
    • 2016
  • 스웨덴의 방사성폐기물 관리 전담 기관인 SKB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성공적인 처분을 위해서는 기술적 연구와 함께 사회과학적 연구도 함께 수행되어야 하며, 그 비율은 50:50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하여 고준위 방사성폐기물과 관련된 스웨덴 SKB의 사회과학 연구 활동과 의의,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시추공벽 영상처리에 의한 JRC 산정

  • 김재동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199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1-52
    • /
    • 1997
  • 본 발표의 내용은 발표자가 1996년 1년간 교육부 교수 해외연구지원프로그램에 의해 스웨덴의 왕립공과대학(Royal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수행한 연구내용을 주로 하고 있으며, 연구주제는 스웨덴 핵폐기물관리기관(SKB)의 수행연구과제들 중 하나 이다.

  • PDF

주거기능에 대한 고찰

  • 이문섭
    • 건축사
    • /
    • 5호통권76호
    • /
    • pp.16-22
    • /
    • 1975
  • 본 내용은 1973년 10월 ‘스웨덴’에서 있었던 ‘주택산업의 개발전망’이라는 심포지움중, 스웨덴 주택연구소 기술과장으로 있는 ‘Borelius Anno'여사의 발표내용으로서 주택기준 작성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항목별로 기술하고, 그에 따른 자료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본기준과 자료가 우리나라 실정에는 맞지 않으나 접근방법과 평면계획, 공간구성등은 좋은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