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워킹웨어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베이비부머 집단을 위한 보행 운동용 스마트 워킹웨어의 디자인 방향 연구 (A Research on Design Direction for the Smart Walking Wear to Support Walking Exercise for the Baby Boomer Group)

  • 반현성;황수정;김신혜;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29-140
    • /
    • 2018
  • 본 연구는 고령에 접어들고 있는 베이비부머 집단의 보행 운동용 스마트 스포츠웨어 및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용태도를 분석하고 베이비부머 집단의 특성에 맞는 스마트 워킹웨어 및 연동 애플리케이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기존 스마트 스포츠웨어와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기능성 사용성에 대한 수용태도를 묻는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대상은 50세 이상 65세 미만의 베이비부머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비부머 소비자들은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기능 및 성능안전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나 관리 및 내구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내구성 및 편의성 개선방향 및 사후 처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교육적인 기능으로 인식하며, 인지용이성 및 접근성에 대해 젊은 세대에 비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소비자의 보행운동용 워킹웨어의 디자인 및 기획방향으로는 '일반 스포츠웨어 디자인의 일상적 디자인', '소비자의 선호가 반영된 기능', '관리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높인 디자인' 등을, 보행운동용 애플리케이션의 기획 방향으로는 '쉬운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구성', '교육적 운동 콘텐츠 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용 임베디드 리눅스 솔루션 (Embedded Linux Solution for Smartphone System)

  • 윤민홍;김우식;이재호;김도형;김선자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1호통권97호
    • /
    • pp.68-81
    • /
    • 2006
  • 모바일 단말은 인간과 가장 친밀한 관계를 가진 정보기기다. 그 중 핸드셋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보기기로 세계 IT 산업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핸드셋이 보급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이 지난 현재 핸드셋은 발전된 하드웨어의 탑재와 다양한 기능을 융복합하는 진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제 핸드셋은 전화 통화를 제외하고도 수많은 통신 수단의 중심이 되었으며, WiBro, HSDPA 등 무선 네트워킹의 진화와 더불어 이런 현상은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으로는, 하드웨어의 사양이 높아져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의 복잡도가 늘어나고 있어, 스마트폰의 OS는 수 년 전 PC에서 사용되었던 수준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핸드셋 산업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스마트폰의 OS의 연구 및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스마트폰의 모습을 조망해본다.

스마트 인솔 Gym 서비스를 위한 자세 인식 시스템 (Physical Motion Detection Algorithms for Smart Insole Gym Service)

  • 이준현;조현욱;심민선;김웅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95-798
    • /
    • 2017
  • 근래에 들어,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으로 사람의 움직임에 대한 측정이 손쉬워 지면서, 워킹, 러닝, 사이클링 등의 인간의 신체 활동 상태를 감지하여 더 효율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획득, 제공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중 하나인 스마트 인솔을 통해서 수집되는 가속도 정보와 압력 정보를 사용하여 운동시에 사람의 운동 자세를 감지하고 측정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사람이 헬스센터에서 수행하는 각각의 자세는 운동의 특성에 따라 시계열 신호의 표현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 패턴을 통한 정확한 자세의 감지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더 정확한 자세를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자세의 감지를 위해 운동의 특징에 따라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시계열 정보를 처리 분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사람의 신체활동을 분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