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에너지

Search Result 92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patio-temporal pattern of energy fluxes in Northeast Asia using CLM5 (CLM5 기반 동북아시아 에너지 플럭스 분석 및 검증)

  • Yulan Li;Nguyen Thi Ngoc My;Minsun Kang;Minha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4-434
    • /
    • 2023
  • 다양한 지면 모형은 대기 강제력 데이터 세트에 의해 구동되며 육지의 물, 에너지 및 생지화학적 순환의 해석에 활용된다. 그 중 에너지 플럭스 교환을 추정하는 것은 극심한 가뭄, 폭염, 물 부족 등 극한 기후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너지 플럭스는 기상기후조건과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는데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생태계 프로세스의 매커니즘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버전인 Community Land Model 버전 5.0 (CLM5)를 이용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플럭스의 시공간분포를 분석하였다. CLM5의 시뮬레이션은 1991년부터 2010년까지 2.5° × 2.5° 그리드에서 실행되었고 주요 에너지 인자인 순복사량, 현열, 잠열을 모의하였으며, 실행결과는 FLUXNET의 동북아시아 사이트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 및 평가하였다. 대기 강제력 변수의 차이는 모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문인자와 토지피복유형에 따른 에너지 플럭스의 변동성을 분석하였고 잠열을 식생 증발산열과 지면 증발열로 파티션하여 연구지역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비율을 산정하였다. 20년간의 순복사열, 잠열과 온도의 시공간적 변동성의 연 추세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시아의 대부분 지역에서 잠열과 온도는 소폭 증가되였고 순복사열은 중국 내륙과 몽골지역에서 감소되였다. 본 연구는 지표와 대기 사이의 에너지 교환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후 증발산 및 물 플럭스와의 연동성과 관계성 분석에 활용하여 기후변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romoting Self-Reliant Islands Using Ocean Energy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섬 구축방안)

  • Lee, Woong K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1 no.2
    • /
    • pp.1-7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direction for energy self-reliant islands using marine energy. In other words, it was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ocean should be considered by conducting a strategic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hen establishing an energy-independent island project plan. It was also suggested to proceed with preemptive site selection. 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marine environment should be carried out dur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marine energy 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I emphasized the need to seek ways to expand marine environmental impact data and to actively participate and support the residents of the island, which is important in promoting self-reliant islands using ocean energy. This can be said to have a high probability of success when the government-led smart grid project group and KEPC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active participation and support for initiatives led by residents are needed. second,. KEPCO must collaborate with specialized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Smart Grid Project Group. Third, a strategic marin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hould be introduced. Fourth, continuous marine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s should be conducted.

Technical Trends of AMI and HEMS for Smart Grid Implementation (스마트그리드를 위한 AMI 및 HEMS 관련 요소 기술 현황)

  • Kim, H.Y.;Jeong, J.S.;Cha, W.S.;Shin, G.S.;Kim, S.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2
    • /
    • pp.11-19
    • /
    • 2013
  • 탄소 배출을 완화하려는 국제적인 노력 중의 일환으로, 전력 시스템에 ICT 기술을 접목시켜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간에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스마트그리드가 최근 각광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및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구축은 국내에서도 가장 먼저 수행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관련 사업 중의 하나이다. 이 사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 에너지 프로파일 2.0, 다수의 장치 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ZigBee IP, 마지막으로 장치들에 내장되어 제어를 담당하는 임베디드 운영체제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요소 기술의 현황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도록 한다.

  • PDF

DC Sputter로 성장시킨 단열 스마트필름과 응용에 관한 연구

  • Lee, Dong-Hun;Park, Eun-Mi;Ha, In-Ho;Jo, Eun-Seon;Kim, Hye-Jin;Han, Geon-Hui;Seo, M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124.2-124.2
    • /
    • 2015
  • 최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감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 (Smart Window) 기술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신개념의 하이브리드형 열선차단 코팅기술로 고투명, 고단열 등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음. 4계절 변화가 뚜렷한 대한민국 실정에 가장 적합하여 건축물의 냉 난방 에너지를 최소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열필름 제조 방식에는 보급형 필름으로 염료 방식, 금속 방식 등이 있고 고성능 필름에는 나노 세라믹 방식과 스퍼터 방식+세라믹 방식을 융합한 필름(스퍼터 IR 필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C pulse sputter를 이용하여 고굴절율 물질인 TiO2와 저굴절률 물질인 SiO2를 적층으로 성장시켜 단열 스마트필름을 제작해 보았다. 높은 가시광 투과율과 IR 차페 성능을 확인하였고, 제작한 스마트필름을 또다른 윈도우 기술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Smart Metering System Using a Power Strip (멀티탭을 활용한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 개발)

  • Wang, Seung-Min;Kim, Yo-Sep;Oh, Sea-In;Han, Byung-Ho;Huh, Heon;Yee, Yang-Hee;Chang, Hong-S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21-122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에너지 소비 효율화에 관심을 갖고 관련된 연구와 제품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필수 요소기술로는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크게 부각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전기기의 사용 전력 측정과 제어 기능을 갖는 기존의 멀티탭타입의 스마트 미터를 기반으로 대기전력을 갖는 가전기기의 원활한 제어가 어려웠던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멀티탭에서 얻어진 전력 정보를 원격 전송하여 스마트폰에서 소비자가 사용전력량과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on/off 명령을 통해 원격제어를 가능케 하는 양방향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Future Plan for Smart Grid System (스마트그리드 전개방향의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So-Hee;Park, Hyun-Seok;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58-61
    • /
    • 2010
  • 스마트그리드는 Modern Grid Initiative와 미국 에너지성인 DOE(Department of Energy)에 의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발전, 송전, 배전 및 수용가로부터 발생하는 수많은 혁신적인 신규기술 및 설비들을 통합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장래의 스마트그리드의 전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지역(또는 수용가군)을 대상으로 분산전원과 전력저장장치로 구성된 마이크로그리드를 중심으로 정보와 에너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계통을 스마트그리드의 모델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standardization trend of home network energy management based on Smart Grid network (스마트그리드 기반 홈네트워크의 에너지 관리 표준화 동향 분석)

  • Cho, Pyung-dong;Choi, Mun-hwan;Lee, Sang-m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491-494
    • /
    • 2012
  • Smart grid can be viewed as additional network constructed on electrical energy network and has close relationship with ICT. In this paper, we introduce smart grid standardization trends focusing on ITU-T activities and discuss future direction.

  • PDF

Development on Safety & Diagnosis Technology of Electric Energy under the Surrounding of Smart Home (스마트홈 전기에너지 안전진단 기술 개발)

  • Choi, Y.K.;Choi, D.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b
    • /
    • pp.155-163
    • /
    • 2005
  • 최근, 국내에서는 스마트홈 기술이 공동주택인 아파트를 중심으로 점차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홈의 주거공간은 홈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정보(가전)기기들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거생활환경에 의해 전기에너지의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먼저 스마트 홈 환경하 수용가 변압기 2차측에서의 전기합선과 누전에 대한 전기안전 및 진단의 기반기술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주거시스템이 지능형홈으로 발전함으로서, 소비 전기량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거주자의 정보가 전기기 사용유무에 따라서 전원상태를 지능적으로 차단/통전시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Auto 스위치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