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에너지

Search Result 92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Novel Transmssion Strategy for PLC System (전력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전송방식)

  • Sim, Isaac;Sun, Young-Ghyu;Hwang, Yu-min;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93-93
    • /
    • 2019
  • 최근 에너지 효율에 따른 에너지 관련 통신기술의 스마트화 및 융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인터넷망만을 이용한 통신기술 외에 유사시 상황을 위한 전력선 통신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력선통신은 변복조 모뎀을 전력선 양단에 연결한 뒤 기존에 사용되는 무선통신기술을 변환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낮은 주파수와 높은 전력을 가지는 전력선 특성에 맞지 않아 전력선 통신에 알맞은 통신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전력의 부하에 따라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검색하고 이에 따라 통신 방식을 변경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력선 통신에서 규격별 잡음 모델링을 연구하고 이에 따른 통신방식을 연구하였다.

  • PDF

Research On Improving Renewable Power Trading Method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Jae-Gyun;Yi, So-M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14-1315
    • /
    • 2011
  • 태양광 발전설비 등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한 발전설비는 설치면적이 넓은 편이어서 도심 거주지역에는 대용량을 설치 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원거리의 도서지역 등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발전설비를 보유한 사용자들의 실질적인 혜택을 위하여 발전설비를 통해 생산한 전력과 거주지 등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실시간 요금제 및 전력의 양방향화를 통해 사용자들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사용자별 전력생산과 전력소비의 시간대별 관리를 수행하고, 효율적인 전력사용이 이뤄지도록 하여 신재생에너지원에서 발전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전력 및 에너지 분야 사물인터넷 표준 연구

  • Lee, Hyeong-Ok;O, Seung-Hun;Go, Seok-Gap;Lee, Byeong-Tak;Nam, Ji-Seung;Kim, Yeong-Hyeon;Lee, Seung-Bae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12
    • /
    • pp.12-21
    • /
    • 2016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분야는 모든 기기, 사람, 사물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를 지향한다. 이에 반해 전력시스템은 폐쇄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차세대 전력망이라 일컬어지는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도 개방형 양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논의는 되고 있으나, 정보보안 취약성이 높아지고 사고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전력망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초연결 사회를 전력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용대상의 정의, 적용방법 등에 대한 기본적인 표준 정립을 통해 IoT 확산 저해요인을 조기에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전력 및 에너지 분야에 사물 인터넷을 도입하고 활성화 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IoT(eIoT) 표준 시스템에 대해 알아본다.

Electric Power Consumption Forecasting Method using Data Clustering (데이터 군집화를 이용한 전력 사용량 예측 기법)

  • Park, Jinwoong;Moon, Jihoon;Kim, Yongsung;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571-574
    • /
    • 2016
  • 최근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인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Smart Grid System)이 국내외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로 인해 그리드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적용되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EMS는 에너지 사용량 예측의 높은 정확성이 요구되며, 예측이 정확하게 수행될수록 에너지의 활용성이 높아진다. 본 논문은 전력 사용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들을 분석한다. 분석된 요인들을 적용하여 유사한 환경을 가지는 전력 사용량 데이터의 사전 군집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예측 일에 관련된 환경 정보와 가장 유사한 군집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 사용량을 예측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일간 전력 사용량을 예측하고 그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했을 때, 최대 52.88% 향상된 전력 사용량 예측 정확성을 보였다.

Study on the Real-Time Beacon data Routing technology (실시간 비콘 데이터 라우팅 기술에 대한 연구)

  • Lee, By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248-250
    • /
    • 2015
  • 건물 또는 실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찾는 스마트 측위 기술은 비콘 노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와 식별자 정보로 위치를 검색한다. 하지만 이러한 측위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이동 경로는 비콘 노드의 에너지 량, 거리 및 홉 수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다. 또한, 실외와 달리 건물 내의 비콘 노드가 설치된 상황에 따라 데이터 경로가 사라져 데이터를 유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환경에서 노드의 에너지양, 노드간의 거리 및 홉 수를 고려해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이로써 기존의 고정된 데이터 경로 모델에서의 발생하는 국부적인 에너지 손실 및 데이터 유실의 문제점을 개선했다.

Development of energy-saving lighting system based on cooperative control of sensors (협력제어센서기반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개발)

  • Lee, Hyunjae;Lee, Sang-Won;Bae, SungHyun;Jeong, Jong-Hyeog;Woo, Do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57-35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조도센서와 마이크로웨이브센서 기반의 협력제어를 통하여 기존대비 35%P 전력절감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LED 조명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센서모듈과 LED조명, 무선전송 모듈이 분리된 형태로 인지기반 조명 제어를 통하여 ESCO 사업에 적합한 에너지 절감형 융합 조명 시스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f Passive House Architectu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패시브하우스의 구조 연구)

  • Lee, Jeongmin;Kwon, Yonghun;Park, Sunghwan;Jung, I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56-159
    • /
    • 2021
  • 최근 발표된 정책으로 공공시설과 민간건물의 제로에너지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로에너지 기술인 패시브 기술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하여 스마트 주택에 쾌적한 내부 환경 조성과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을 도울 수 있는 패시브하우스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패시브하우스의 모의 구현을 통하여 관리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기술을 제안하며, 패시브하우스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Morphological Evolution of World Smart City in View of Environment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환경기술과 정보기술 관점에서 바라본 세계 스마트시티의 형태적 진화)

  • Han, Ju-Hyung;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6
    • /
    • pp.201-209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orphological evolution process for future vision of world smart cit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tudy was divided and compared by 4 continents and Korea focused on the convergence numbers of ET and IT in smart city and did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convergence number in device/technology by periods. The analysis materials were 32 cases of smart city in whole world and times were 4 periods. The results of study were listed below. First, the smart city in period 1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preserved environment and kept natural form of existing city and filled up device/technology. Second, the smart city in period 2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through ET-centric development. Third, the smart city in period 3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through advancement of ET and device/technology related to production of energy. Forth, the smart city in period 4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fusing, dissipating and creating new ET and IT through the advancement process of all technologies. In conclusion, morphological evolution of smart city will change systematic city structure of convergence form, not each discriminating development between ET and IT, and the forming of smart city will be evolved by repetitive convergence process of technologies continually.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Smart Public Facilities in Public Design - Focusing on examples of public facilities in smart cities - (공공디자인에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스마트 도시의 공공시설물 사례를 중심으로-)

  • Son, Dong J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3 no.4
    • /
    • pp.97-112
    • /
    • 2023
  • Background: In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in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urban functionali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Smart Public Facilities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enriching user experience by improving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safety, and in elevating the value of the city.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Public Facilities and explores the potential of Smart Public Facilities in solving urban challenges and progressing towards sustainable and Inclusive cities.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comprehensively examines existing theories and research results on Smart Public Facilities. The case study analyzes actual examples of Smart Public Facilities implemented in cit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rawing out effects, user satisfaction, and areas for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an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are evaluated, discussing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Smart Public Facilities. Results: Smart Public Facilities have been found to bring positive chang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urban management, energy efficiency, safety,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In terms of urban management, they play a crucial role in optimization, social Inclusiveness, environmental protection, fostering citizen participation, and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These changes create a new form of urban space, combining physical space and digital technology,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city. Conclus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implications, current status, and functions of Smart Public Facilities in service and design aspects, and their impact on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lives of citizens. In conclusion, Smart Public Facilities have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 optimization of urban management, enhancement of energy efficiency, increased information accessibility, User-Centric design, increased interaction, and social Inclusiveness.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integration of Public Facilities have made cities more efficient and proactive, enabling data-based decision-making and optimized service delivery. Such developments enable the creation of new urban environmen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physical space and digital technology. The advancement of Smart Public Facilities indicates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where future cities can become more intelligent, proactive, and User-Centric. Therefore, they will play a central role in Public Design and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Impact of Renewable Energy on Extension of Vaccine Cold-chain: a case study in Nepal (신재생 에너지의 백신 콜드체인 확장 효과: 네팔 사례 연구)

  • Kim, Min-Soo;Mun, Jeong-Wook;Yu, Jongha;Kim, Min-Sik;Bhandari, Binayak;Bak, Jeongeun;Bhattachan, Anuj;Mogasale, Vittal;Chu, Won-Shik;Lee, Caroline Sunyong;Song, Chulki;Ahn, Sung-Hoon
    •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 /
    • v.6 no.2
    • /
    • pp.94-102
    • /
    • 2020
  • Renewable energy (RE) is essential to comprise sustainable societies, especially, in rural villages of developing countries. Furthermore, application of off-grid RE systems to health care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is research, a RE-based vaccination supply management system was constructed to enlarge the cold-chain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safe storage and delivery of vaccines. The system was comprised of the construction of RE plants and development of vaccine carriers. RE plants were constructed and connected to health posts in local villages. The cooling mechanism of vaccine carriers was improved and monitoring devices were installed. The effect of the system on vaccine cold-chain was evaluated from the field test and topographical analysis in the southern village of Nepal. RE plants were normally operated for the vaccine refrigerator in the health post. The modified vaccine carriers had a longer operation time and better temperature control via monitoring and RE-based recharging functionality. The topographical analysis estimated that the system can cover larger region. The system prototype showed great potential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a sustainable and enlarged cold-chain. Thus, RE-based vaccine supply management is expected to facilitate vaccine availability while minimizing waste in the supply ch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