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스토어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he Plan of HTML5 based Mutual App-Store of Cable Service Operators (HTML5 기반 케이블 공동 앱스토어 구축 현황 및 계획)

  • Jung, Won 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38-40
    • /
    • 2013
  • 최근 IT를 포함한 모든 산업 및 기술 영역에서는 융복합화(Convergence)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모바일 시장을 필두로 방송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도입 및 확산되는 추세이다. 현재 모바일 분야에서 플랫폼 기반으로 스마트폰 생태계를 주도해 온 구글 애플이 구글 TV iTV 등을 통해 스마트 TV 영역으로 플랫폼 확산을 추진 중이며,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기존 TV 제조사들도 자체 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TV 플랫폼 확산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각 제조사 및 유료방송 사업자별로 독자 플랫폼 기반의 독자 앱스토어 구축 시도로 인해 시장 파편화 현상(각기 다른 플랫폼 제공, 플랫폼별 제한적인 가입자 기반의 앱 및 개발자 부족, 차별화된 콘텐츠 부족)으로 인해 스마트TV 앱 생태계 구축에 있어서 글로벌 업체와 경쟁할 수 있는 규모의 경제 확립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의 스마트 플랫폼 준비 상황 및 앱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공동 앱스토어 추진 현황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각 케이블 가입자가 채택한 스마트 플랫폼별 주요 특징, 공동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표준화 진행 현황, 앱스토어 구축 현황 및 계획을 정리하였다.

  • PDF

A Study on Consumer-Centric Smart Mobile Virtual Store (소비자 체험 평가를 통한 스마트 모바일 가상 스토어 활성화 방안 연구)

  • Koo, Hye-G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3
    • /
    • pp.209-219
    • /
    • 2013
  • Smart phone environment have an effect on consumer life style, as well as advances in technology. In this paradigm shift on digital convergence make change to commodities, services, and distribution channels for consumers. HomePlus wholesale that is representative distribution company in Korea launched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model that combined off-line store with online store and mobile shopping system called 'smart mobile virtual store'. That is highly praised by abroad media and festival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centric smart mobile virtual store of HomePlus. There are value and chance for developing the new digital distribution model, in this study, because the case study and evaluation of consumers is important in this momentous tim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tocol for Interworking Open Web Application Store (개방형 웹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의 설계 및 구현)

  • Baek, Jihun;Kim, Jihun;Nam, Yongwoo;Lee, HyungUk;Park, Sangwon;Jeon, Jonghong;Lee, Seungyo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10
    • /
    • pp.669-678
    • /
    • 2013
  • Recently, because the portable devices became popular, it is easily to see that each person carries more than just one portable device and the use of the smartphone stretches as time goes by. After the smartphone has propagated rapidly, the total usage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s has also increased. But still, each application store has a different platform to develop and to apply an application. The application store is divided into two big markets, the Android and the Apple. So the developers have to develop their application by using these two different platforms. Developing into two different platforms almost makes a double development cost. And for the other platforms, the weakness is, which still have a small market breadth like Bada is not about the cost, but about drawing the proper developers for the given platform application development. The web application is rising up as the solution to solve these problems, reducing the cost and time in developing applications for every platform. For web applications don't need to make a vassal relationship with application markets platform. Which makes it possible for an application to operate properly in every portable devices and reduces the time and cost in developing. Therefore, all of the application markets could be united into one big market through a protocol which will connect each web applications market. But, still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web application store and no current web application store is possible to interlock with other web application stores. In this paper, we are trying to suggest a protocol by developing a prototype and prove that this protocol can supplement the current weakness.

A Guidelines for Establishing Mobile App Management System in Military Environment - focus on military App store and verification system - (국방환경에서 모바일 앱 관리체계 구축방안 제시 - 국방 앱스토어 및 검증시스템 중심으로 -)

  • Lee, Gab-Jin;Goh, S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525-532
    • /
    • 2013
  • Recently. smartphones have been popularized rapidly and now located deep in our daily life, providing a variety of services from banking,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entertainment to smart-work mobile office through apps. Such smartphone apps can be easily downloaded from what is known as app store which, however, bears many security issues as software developers can just as easily upload to it. Military apps will be exposed to a myriad of security threats if distributed through internet-basis commercial app store. In order to mitigate such security concerns, this paper suggests a security guidelines for establishing a military-excusive app store and security verification system which prevent the security hazards that can occur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ilitary-use mobile apps.

A Protocol for interworking Open Web Application Store (개방형 웹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 Baek, Ji-Hun;Kim, Ji-Hun;Nam, Yong-Woo;Park, Sang-Won;Jeon, Jong-Hong;Lee, Seu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70-72
    • /
    • 2012
  • 최근 휴대용 기기들이 대중화되어 한사람이 하나 이상의 휴대용 기기를 소지하고 있고 스마트폰 활용도 또한 늘어나는 추세이다. 때문에 폭발적인 스마트폰 응용 활용이 늘어나고 있지만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각 플랫폼별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줘야 하는 종속적인 면이 있다. 앱스토어는 크게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으로 양분되어 있고 각 플랫폼에 맞춰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야 한다. 각각의 플랫폼에 맞춰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 비용도 더 들고 다른 소규모 플랫폼(Ex 바다)들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을 끌어 모아야만 자신들의 플랫폼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이 나오는 단점이 있다. 각 플랫폼에 맞춰서 개발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범용성에 대한 해결책과 모바일에서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웹 애플리케이션이 각광받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어느 휴대용 기기에서도 동작하기 때문에 각 플랫폼별로 개발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웹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끼리의 연동 프로토콜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들을 어느 웹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도 볼 수 있고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는 거대한 시장이 생겨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웹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라는 표준이 없고 존재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스토어가 없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연동에 관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App Store security policy trends (앱스토어 보안정책 동향)

  • Bae, Jung-Min;Bae, Yu-Mi;Jung, Sung-Jae;Jang, Rea-Young;Soh, W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587-590
    • /
    • 2014
  • Spread of smart devices increases, the App Store market is formed so huge, even at this point, every day the scale is increasing now. As a result, for the benefit of companies and private individuals, malicious apps that threaten the security of smart devices, have appeared occasionally in the App Store. Security of the terminal, has issued various solutions through research at many universities and companies, and country. However, solutions for research and policy approaches that are blocking the procedure to register the application malicious app, so that it is not registered in the App Store, Only company that operates the app store is doing it. And the reference is also insufficient, various problems have occurred.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problem of the security policy of the current App Store, presenting the breaking point.

  • PDF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Mobile Application Download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Wan, Lil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7
    • /
    • pp.189-196
    • /
    • 2014
  • Mobile applications are significantly impacting people's smart phone using behavior and mobile industry value chain. By examining sources of data on mobile applications use,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about what factors would affect the amount of apps download, which may be useful to guide app designers and publishers to develop more persuasive new apps and marketing strategies. The results indicated app ranking had effect on download amount of apps in both Android app market and Apple app store, while prices of apps had no impact on the amount of download. App type, developer experience, and locality had effect on the amount of download only for paid apps in Apple app store.

스마트TV 서비스 혁신에 따른 시장 전망 :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이론을 근간으로

  • Song, Min-Jeong;Lee, Hwa-Jin;Choe, Myeong-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12
    • /
    • pp.35-43
    • /
    • 2010
  • 본고에서는 스마트TV 혁신이 가져오는 시장의 변화를 전망하기 위해 '파괴적 혁신 이론' 과 애플 사례를 논의한 후, 스마트TV 혁신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제작 유통 시스템, 시장규모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스마트TV는 '폐쇄형'을 '개방형' 시스템으로 전환, 유통/제작자간 관계를 개선하고, 개방형 채널 및 VOD 도입으로 4년 후 전체 방송시장이 14조 9,800억 원으로 성장하고, 개방형 IPTV로 인한 확대금액만 약 4,623억 원으로 전망되며, 방송시장 매출액 중 PP 차지 비중도 2013년 44.1%까지 1.7%포인트 확대, 직접 창출되는 일자리는 4년간 약 4,676개로 추정된다. 이의 생산유발효과는 2조 3,995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조 260억 원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스마트TV 전체에서 도입을 예정하고 있는 TV앱스토어도 4년간 3,606억 원의 누적수익을 창출하며, 직접 창출되는 일자리는 약 2,322개, 생산유발 효과는 6,681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3,226억 원, TV앱스토어와 초기투자에 의해 기대되는 소프트웨어 시장고용확대 효과는 누적 3,586개로 예측되었다.

The Method for Managing Apps of Android Systems Using White List. (화이트리스트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앱 관리 방안)

  • Jee, Gyeong-Bae;Lim, Hyung-Min;Kim, Pill-Jung;Jyun, M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981-983
    • /
    • 2012
  • 많은 사용자 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앱을 국 내외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고 있다. 앱 스토어를 이용하여 배포되는 앱들은 개별 앱 스토어의 검증 체계를 통해 검증을 받고 있으나, 그 방법이 공통적이지 않다. 심지어 앱 스토어가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하여 앱을 설치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악성 앱으로 인한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증된 앱을 화이트리스트에 등록, 관리하여 사용자들에게 검증된 앱을 설치 사용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ent and external elements purchase decision on the App (컨텐츠 정보와 외적인 요소가 앱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Jae-Hyun;Choi,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708-711
    • /
    • 2012
  • 스마트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앱스토어 시장도 급성장 하고 있다. 애플과 구글의 앱스토어는 각각 65 만개, 60 만개의 유효 앱 등록량을 돌파했으며, 다운로드 역시 300 억과 200 억 다운로드를 돌파하였다. 앱 사용자들은 어떤 이유로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다운받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컨텐츠 정보와 외적인 요인을 4가지 요소(앱의 정보, 외부 추천, 사용 평가, 사용 통계)로 분류하여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시스템의 품질 개선과 추가로 국내에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는 사업자에게 실무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