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기술 적용 요소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8초

고 신뢰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자율컴퓨팅 기술

  • 박정민;고동범;김정준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11호
    • /
    • pp.16-22
    • /
    • 2016
  • 지능형 공장은 전통적인 제조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버-물리시스템,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반 기술들의 발전으로 지능형공장을 추구하는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분야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로 인해 복잡성이 매우 크고, 문제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제조설비의 고신뢰 자율컴퓨팅 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1)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통신미들웨어 기술동향, 2) 전통적인 자율컴퓨팅 기술동향 3) 고 신뢰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자율컴퓨팅 요소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Smart Factory for Small Companies)

  • 박상기;이명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6호
    • /
    • pp.39-47
    • /
    • 2016
  • 스마트팩토리의 세계시장 규모가 2015년 약 177조에서 2020년 약 437조까지 년 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한 보고서는 예측하였다. 한국은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위해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을 1만개까지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팩토리의 핵심기술은 IoT와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CPS)으로 구성되고 이에 필요한 핵심 하드웨어는 센서소자/모듈, 무선 센서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팩토리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통신구조를 논의한다. 그리고 일부 구성요소를 세 기업에 지원한 사례를 알아보고 스마트팩토리를 중소기업에 적용하는 방안 및 문제점을 논의한다.

  • PDF

스마트공장 보안성 강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 보안 기술

  • 허신욱;이가람;김동주;김호원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33
    • /
    • 2017
  • 최근 현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 이슈 확산과 함께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정부와 연구소, 대학의 주요 관심 대상이었던 스마트공장은 현업에서 활동하는 경영진에게 스마트공장이 현재의 제조업 위기 탈출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유일한 탈출구로 인식되어 적극적인 관심 표명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장의 경영자들은 스마트공장 실현 기술 개발과 현장 적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적용에 대해 우려하는 부분도 아직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공장 도입에 많은 금액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보안 취약성 문제, 기업 데이터 유출 문제가 그 대표적 우려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투자 금액 이슈는 고려하지 않고 스마트공장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보안 취약성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스마트공장의 주요 네트워크와 플랫폼에 대한 보안 이슈 및 기술, 그리고 산업 현장의 보안 기술의 특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킹 기술 동향 (A Study on the Networking Technology of Smart Grid)

  • 박창민;조평동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2호
    • /
    • pp.75-83
    • /
    • 2011
  • 최근 그린 환경을 위한 $CO_2$ 배출 절감과 에너지 자원의 효율화를 위하여 전력과 ICT의 융합인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들을 서로 연동하기 위한 상호 운용성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그리드의 상호 운용성 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복잡한 요소들의 효율적인 통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응용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요소를 쉽게 추가 가능한 확장성을 지원해 준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상호 운용성 기술에 대하여 알아보고 최우선적으로 적용이 필요한 스마트그리드 통신 표준 기술의 종류들과 이들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스마트폰 부품의 기술 현황 및 전망 - 중국시장과 VCM 특허로 본 스마트폰 카메라 동향

  • 김영준
    • 광학세계
    • /
    • 통권146호
    • /
    • pp.28-32
    • /
    • 2013
  • 카메라 없는 모바일 기기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스마트폰 카메라가 대중화되어 있다. 모바일 기기에는 카메라가 필수 요소이며, 특히 스마트폰에는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 시장은 더 이상의 논의가 무의미할 정도로 전망이 아주 밝다. (그림1)은 기본적인 카메라모듈의 구조로 국내 공급업체와 증권사의 자료를 참조하였다. 스마트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만큼 기술적으로나 사업적으로 많은 이슈가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시장과 자동초점 카메라모듈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의 일종인 VCM(Voice Coil Motor)의 특허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의 동향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ICT 기기인증 보안기술 현황

  • 박정효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5호
    • /
    • pp.20-26
    • /
    • 2014
  • 과거의 휴대폰, TV, 전화기 등의 기기들은 아날로그 신호 기반이 주류를 이루었고, 낮은 대역폭, 폐쇄된 네트워크 환경, 낮은 컴퓨팅 사양 등으로 그 적용 범위가 협소하였고, 어느 정도 보안성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기들이 등장하고 네트워크 대역폭 제공 범위가 확장되면서 정보통신 기기의 중요성과 위협요소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태블릿 PC, 스마트 TV, 스마트워크, 스마트그리드 등 스마트 기기 시대가 개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정보통신기기의 보안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되었다. 본고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기의 안전한 운영을 위하여 해당 기기를 식별하고 진위를 판단할 수 있는 신뢰된 인증방법에 대한 현황을 소개한다.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농업 생산 모델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Interface component for smart farming production model based on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9-512
    • /
    • 2016
  • 스마트 농업의 온실 관제 시스템으로 표현되는 생산 모델에서의 구성요소와 관련 서비스 표준 기능에 IT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스마트 농업 전 과정의 효율과 질적 향상을 기대하게 되었고 특히 IT 영역의 정보 분석 기술과 자동제어 기술은 농산물 생산에 많은 장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T와 접목한 스마트 농업 환경 중 생산 모델에서의 표준기능과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제시한다.

  • PDF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 제안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for Idea Generation of Smart Products)

  • 최정민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453-464
    • /
    • 2017
  •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자 편의와 감성을 충족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스마트 제품과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빠르게 발전되고 있는 입출력 기술과 센싱 기술, 자능형 시스템 등은 다채로운 인터랙션 방식과 새로운 사용자경험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의 활용을 사용자 관점에서 고려해야 하는 스마트 제품 컨셉 디자이너들의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제품의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는 것으로, 디자이너들이 기술 기반의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출하는 방안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스마트 제품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스마트 제품 인터랙션 구현을 위한 기술 및 제품 요소들을 파악하였고, 디자인 분야에서 제안되어온 프레임웍 선행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제품의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였으며, 프레임웍 구성요소들이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사례를 통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안한 프레임웍은 제품 구성요소, 상황인식 관련 요인, 정보입력 요인, 피드백 출력 요인 네 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되며, 각각에 있어서 사용자경험 관점을 반영한 세부요소들이 정의된다. 또한 각 세부요소 별로 기존에 있는 스마트 제품/시스템의 예시가 제시되어 어떤 요소인지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되었으며, 제품 아이디어 사례를 통해 아이디어 발상 지원 도구로서의 프레임웍 활용성이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다양하고 심도있는 사례연구를 통해 각 요소들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함으로써, 스마트 제품의 인터랙션 아이디어 발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홈 케어의 CCRC 사례 연구 : 중국 고령자 CCRC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art Home Care of CCRC for the Elderly : Focus on the CCRC Community for the Elderly in China)

  • 사린;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03-815
    • /
    • 2021
  • 전 세계의 고령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방대한 인구수를 보유한 중국의 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7가지 적용 요소와 중국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중국의 노후 현황과 미래 기술수요에 맞춘 스마트 홈 케어 CCRC의 7가지 적용 요소의 가치제안을 제시한다. 첫째, 생활환경 분위기를 개선하고 공간 환경의 쾌적함을 높인다. 둘째, 노인의 신체와 환경 안전을 중시한다. 셋째, 온라인 편의서비스를 제공한다. 넷째, 노인들의 신체 건강과 심리 건강을 보장한다. 다섯째,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반응할 수 있는 효율을 높인다. 여섯째, 노인의 몸 상태와 주변 환경을 예측한다. 일곱째, 레저용 놀이기구를 증설한다. 이를 통해 고령자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스마트 서비스 환경을 제공해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