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기술 적용 요소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고 신뢰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자율컴퓨팅 기술

  • Park, Jeong-Min;Go, Dong-Beom;Kim, Jeong-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11
    • /
    • pp.16-22
    • /
    • 2016
  • 지능형 공장은 전통적인 제조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버-물리시스템,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반 기술들의 발전으로 지능형공장을 추구하는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분야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로 인해 복잡성이 매우 크고, 문제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제조설비의 고신뢰 자율컴퓨팅 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1)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통신미들웨어 기술동향, 2) 전통적인 자율컴퓨팅 기술동향 3) 고 신뢰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자율컴퓨팅 요소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Smart Factory for Small Companies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 Park, Sahnggi;Lee, M.L.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6
    • /
    • pp.39-47
    • /
    • 2016
  • 스마트팩토리의 세계시장 규모가 2015년 약 177조에서 2020년 약 437조까지 년 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한 보고서는 예측하였다. 한국은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위해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을 1만개까지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팩토리의 핵심기술은 IoT와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CPS)으로 구성되고 이에 필요한 핵심 하드웨어는 센서소자/모듈, 무선 센서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팩토리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통신구조를 논의한다. 그리고 일부 구성요소를 세 기업에 지원한 사례를 알아보고 스마트팩토리를 중소기업에 적용하는 방안 및 문제점을 논의한다.

  • PDF

스마트공장 보안성 강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 보안 기술

  • Heo, Shinwook;Lee, Garam;Kim, Dongju;Kim, Howon
    • Review of KIISC
    • /
    • v.27 no.2
    • /
    • pp.29-33
    • /
    • 2017
  • 최근 현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 이슈 확산과 함께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정부와 연구소, 대학의 주요 관심 대상이었던 스마트공장은 현업에서 활동하는 경영진에게 스마트공장이 현재의 제조업 위기 탈출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유일한 탈출구로 인식되어 적극적인 관심 표명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장의 경영자들은 스마트공장 실현 기술 개발과 현장 적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적용에 대해 우려하는 부분도 아직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공장 도입에 많은 금액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보안 취약성 문제, 기업 데이터 유출 문제가 그 대표적 우려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투자 금액 이슈는 고려하지 않고 스마트공장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보안 취약성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스마트공장의 주요 네트워크와 플랫폼에 대한 보안 이슈 및 기술, 그리고 산업 현장의 보안 기술의 특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Networking Technology of Smart Grid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킹 기술 동향)

  • Park, C.M.;Cho, P.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2
    • /
    • pp.75-83
    • /
    • 2011
  • 최근 그린 환경을 위한 $CO_2$ 배출 절감과 에너지 자원의 효율화를 위하여 전력과 ICT의 융합인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들을 서로 연동하기 위한 상호 운용성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그리드의 상호 운용성 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복잡한 요소들의 효율적인 통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응용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요소를 쉽게 추가 가능한 확장성을 지원해 준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상호 운용성 기술에 대하여 알아보고 최우선적으로 적용이 필요한 스마트그리드 통신 표준 기술의 종류들과 이들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스마트폰 부품의 기술 현황 및 전망 - 중국시장과 VCM 특허로 본 스마트폰 카메라 동향

  • Kim, Yeong-Jun
    • The Optical Journal
    • /
    • s.146
    • /
    • pp.28-32
    • /
    • 2013
  • 카메라 없는 모바일 기기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스마트폰 카메라가 대중화되어 있다. 모바일 기기에는 카메라가 필수 요소이며, 특히 스마트폰에는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 시장은 더 이상의 논의가 무의미할 정도로 전망이 아주 밝다. (그림1)은 기본적인 카메라모듈의 구조로 국내 공급업체와 증권사의 자료를 참조하였다. 스마트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만큼 기술적으로나 사업적으로 많은 이슈가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시장과 자동초점 카메라모듈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의 일종인 VCM(Voice Coil Motor)의 특허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의 동향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ICT 기기인증 보안기술 현황

  • Park, Jeong-Hy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5
    • /
    • pp.20-26
    • /
    • 2014
  • 과거의 휴대폰, TV, 전화기 등의 기기들은 아날로그 신호 기반이 주류를 이루었고, 낮은 대역폭, 폐쇄된 네트워크 환경, 낮은 컴퓨팅 사양 등으로 그 적용 범위가 협소하였고, 어느 정도 보안성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기들이 등장하고 네트워크 대역폭 제공 범위가 확장되면서 정보통신 기기의 중요성과 위협요소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태블릿 PC, 스마트 TV, 스마트워크, 스마트그리드 등 스마트 기기 시대가 개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정보통신기기의 보안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되었다. 본고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기의 안전한 운영을 위하여 해당 기기를 식별하고 진위를 판단할 수 있는 신뢰된 인증방법에 대한 현황을 소개한다.

Interface component for smart farming production model based on Network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농업 생산 모델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 Kim, Dong il;Chung, hee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9-512
    • /
    • 2016
  • The standard of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defines the components in applying IT technologies to a greenhouse and specifies the requirements and the architecture for the technological issues. The system collects information for the growth management of corps and can control the facilities promoting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s in greenhouse. This system includes the growth environment management service,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service, and etc. In this paper,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actualized IT convergence case for agriculture, namely Smart Farming as a solution to cope the presented problems. In addition, suggest to standard functional model and standardization items for the smart farming based on network.

  • PDF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for Idea Generation of Smart Products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 제안)

  • Choi, Jung Min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0
    • /
    • pp.453-464
    • /
    • 2017
  •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smart products and services have been spread in our daily life, providing users with conveni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Particularly, input and output technologies, sensor technologies, and intelligent system technologies have offered new opportunities for diverse interaction patterns and new user experiences.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interest in the idea generation of product designers who need to combine various technological aspects with users' need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which can be used in an idea generation stage. To do so,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roduc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interaction technologies, including input/output modality and context-aware technologies, were also investigated. Then, the frameworks that have been proposed in the deisgn fields were reviewed. This paper finally proposed the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and explained its application to the idea generation, using several case studies. The proposed framework consists of four categories: product components, context-awareness elements, information input elements, and feedback output elements. Each of these are divided into several sub-categories, focused on users' needs. Sub-categories includes some elements of interaction, and each of the elements is explained with an existing smart product/system. The paper also describes how the proposed framework would be used in the idea generation process, using some design ideation examples. In the future study, more various concept ideas will be proposed through some elaborated case studies, and the framework is expected to be verified in terms of its possibility as an idea generation tool.

A Study on the Smart Home Care of CCRC for the Elderly : Focus on the CCRC Community for the Elderly in China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홈 케어의 CCRC 사례 연구 : 중국 고령자 CCRC 중심으로)

  • SHI, LIN;Jung, J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803-815
    • /
    • 2021
  • As the world's aging population increases, the aging problem in China, which has a huge population, has reached a serious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CCRC model of smart home care. Seven application factors of CCRC of smart home care and problems of CCRC of smart home care in China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a value proposition for the 7 application elements of smart home care CCRC tailored to China's aging status and future technology demand. First, it improves the environmental atmosphere and increases the comfort of the spatial environment. Second, we value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safety of the elderly. Third, online convenience services are provided. Fourth, we guarantee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Fifth, i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responding to unexpected situations. Sixth, predict the physical condi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Seventh, add more recreational rides. Through this, we exp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a safe and comfortable smart service environment for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