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건설기술

Search Result 3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Vacuum Pressure Effect on Thermal Conductivity of KLS-1 (진공압에 따른 한국형 인공월면토(KLS-1)의 열전도도 평가)

  • Jin, Hyunwoo;Lee, Jangguen;Ryu, Byung Hyun;Shin, Hyu-Soung;Chung, Taeil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7 no.8
    • /
    • pp.51-58
    • /
    • 2021
  • South Korea, as the 10th country to join the Artemis program led by NASA, is actively supporting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lunar exploration. In particular, the utilization of water as a resource in the Moon has been focused since it was discovered that ice exists at the lunar pole as a form of frozen soil. Information o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lunar regolith can be used to estimate the existence for ice water extraction by thermal mining. In this study, the vacuum pressure effect on thermal conductivity of KLS-1 was investigated with a DTVC (Dusty Thermal Vacuum Chamber). The reliability of KLS-1 was reconfirm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rmal conductivity of known standard lunar regolith simulants such as JSC-1A. An empirical equation to assess thermal conductivity considering dry unit weight and vacuum pressure was propos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simulate lunar cryogenic environment using the DTVC.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스마트 건전성 평가기술

  • 윤정방;이진학;김정태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6
    • /
    • pp.59-67
    • /
    • 2004
  • 최근 교량 및 발전구조물, 고층빌딩과 같은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스마트 계측 및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관심과 연구개발 및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과거 '한강의 기적'이라 일컬어지는 초고속 경제성장과정에서 교량, 터널, 항만, 공항, 발전소, 댐 등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건설이 급증하였으나, 설계 당시에 고려되지 못하였던 각종 하중 조건과 환경 요인으로 인해 구조 건전성(structural integrity)의 저하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서생활권의 향상 및 물류비용의 개선, 고속전철사업 등으로 인한 장대 교량의 건설, 효율적 국토이용을 위한 초고층빌딩의 건설, 석유자원의 고갈에 대비한 다양한 형태의 발전구조물의 건설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사회기반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스마트 계측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Methods of Smart Water Grid to Small Municipalities in Nepal (네팔 소도시 내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적용 방안)

  • Jang, Dong Woo;Choi, Gye Woon;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
    • /
    • 2019
  • 네팔의 경우 상하수도를 비롯한 기본적인 위생시설이 크게 미비하며 수도인 카트만두조차 수십 년 된 노후관로가 상수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하수처리 시설이 사실상 전무하며, 지하수를 주요 수원으로 활용하는 대다수 지역은 식수의 오염에 따른 수인성 전염병에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네팔에서는 깨끗한 물과 안정적인 수도공급, 하수처리 시설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며, 이에 스마트워터그리드 기술의 도입을 통한 수질개선, 안정적인 수도공급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스마트워터그리드 기술을 네팔 소도시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네팔 소도시의 수자원 및 상수도 시설을 답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시설 및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 기술의 적용 방향과 단기 및 중장기 계획을 제시하였다. 또한, 네팔 소도시 중 하나인 Beni시를 시범지역으로 하여 과거 30년 동안 월 강수량 기반의 가뭄지수를 분석하고, EPANET을 통하여 상수관망해석을 실시였다. 연구 결과, 가뭄의 발생횟수가 점차 빈번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수관망 해석 시 대부분의 수요절점 내 수압이 설계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모의되었고, 향후 관 노후화를 고려한 절점 수압의 확보와 수질개선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ritical Technology Element for Development of Smart Compensation System in Public Sector (공익사업 손실보상체계 스마트화를 위한 핵심기술요소 도출)

  • 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29-33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도로, 하천건설, 댐건설 등 공익사업 중에 발생하는 보상업무와 관련하여 보상민원을 감소시키고 투명한 보상체계 수립을 위해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선진화된 보상체계 개발에 필요한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핵심요소 기술도출을 위해 전문가 설문 및 면담 등을 통해 18개의 후보군을 도출하였으며 6개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내용으로는 보상민원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의사결정 및 사전검토 기술, 보상물건 측정 및 계측 자동화 기술, 클라우드 기반의 표준화된 보상자료 관리시스템 개발, 보상 민원 처리 및 공개기술 등이 포함되었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핵심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보상업무 체계를 개편할 경우 보상업무 스마트화 및 첨단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ctual Analysis and Activation Pla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스마트 건설안전기술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 Choi, Kw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25-226
    • /
    • 2022
  • 다른 업종보다 2배 이상 많은 건설업 사망률이 높아지면서 만성적인 안전 문제 해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유지해 온 안전관리대책으로는 건설사고를 줄일 수 없는 상황에서 근로자의 안전관리를 위해 4차 산업기술을 반영한 스마트건설안전기술(SCST) 도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정립되지 않은 SCST의 개념을 정의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SCST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적용 전후 SCST 도입의 필요성, 편의성, 효과성 분석을 통해 현장 관점에서 문제점과 기타 기술 도입에 걸림돌이 되는 요인 등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도출한다. 또한 현재 수준의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기술 조합을 결정하고 활성화 계획을 제시한다.

  • PDF

Assessment of the Coupled Electric-Thermal Numerical Model for Microwave Sintering of KLS-1 (한국형 인공월면토(KLS-1) 마이크로파 소결을 위한 전기장-열 연계해석 모델 평가)

  • Jin, Hyunwoo;Go, Gyu-Hyun;Lee, Jangguen;Shin, Hyu-Soung;Kim, 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5
    • /
    • pp.35-46
    • /
    • 2022
  • The in-situ resource utilization (ISRU) for sustainable lunar surface and deep space explorations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ls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preparation technology using lunar regolith is in progress. Microwave sintering technology for construction material preparation does not require a binder and is energy efficient. This study applies microwave sintering technology to KLS-1, a Korean lunar simulant. It is crucial to secure the homogeneity to produce a sintered specimen for construction material. Therefore,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microwaves, cavities, and raw materials is required. Using a numerical model in terms of efficient assessment of several cases and establishment of equipment operating conditions is a very efficient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lso proposes and verifies a coupled electric-thermal numerical model through cross-validation and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numeric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to present an efficient method for producing construction material using microwave sintering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