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폰 보유율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부모 카운슬링 - 우리 아이의 눈 건강을 위협하는 스마트 기기

  • Kim, Hyo-Myeong
    • 건강소식
    • /
    • v.36 no.9
    • /
    • pp.30-31
    • /
    • 2012
  • 어린이들의 휴대폰 보유율이 2010년 14%에서 2011년에는 29.5%로 2배 넘게 늘어났다. 현재 어린이 6명 중 1명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웅크린 채로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한창 발육중인 아이들에게 정신적으로 또 신체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Status and Risk among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위험 분석)

  • Lee, So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2
    • /
    • pp.203-212
    • /
    • 2014
  • With regard to recently emerged problem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ults and adolescents, this paper researched upper-grade elementary students depending on various demographic factors that have not been studied thoroughly so fa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70 students in grades 4~6 of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average rate of smartphone ownership was about 66%. Second, about 1% of the students belonged to high-risk group, 5.7% to at-risk group, and normal user group was 93.3%. Third, based on the demographic factors, grade and academic achievements eac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type of addiction group. For example, students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or in higher grade were more likely to be highly addictive. Fourth, both groups of at-risk and of normal-user pertaining to these factors - in urban areas, male students, sixth-grade, in dual income families - showed higher addictiveness score. But they were contrasted in the aspects of household economy and academic performance: at-risk group was more addictive in affluent families or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whereas normal-user group had higher level of addictiveness in case of poor families or lower academic performance.

Producing of Application Usage Recording Program and Analyzing Smartphone Application Usage of High School Student with the program (어플리케이션 사용기록 프로그램 제작 및 이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행태 분석)

  • Chung, Ji-Yun;Kim, Myoung-J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5
    • /
    • pp.417-423
    • /
    • 2016
  • Recently smartphone has propagated all age groups rapidly due to the fact that the advance of media and the increase of smartphone penetration. In South Korea, high-school students' smartphone retention rate is 90.2%. This study proceed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martphone usage by a feasibility study, and also by recording the log data of actual usage patterns of smartphone applications. The feasibility study investigates subject's smartphone usage, and the log data analysis measures the accurate usage recorded for about three months. We compared the feasibility study and the log data for the daily smartphone usage, and investigated the change of usage pattern during the weekdays, weekends, and the before, during and after exams. High-school students are unique group in capital area. As a result, we found that high-school students' smartphone usage pattern in capital area has not affected by weekday or weekend but has affected by the before, during and after exams.

Analysis of Usage Behaviors for the Electronic Resources of Undergraduates in a Smart Mobile Environment: Focused on the Usage Statistics of the A-Academic Library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대학생의 전자자료 이용행태 분석 - A대학도서관 이용통계를 중심으로 -)

  • Kim, S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4
    • /
    • pp.53-82
    • /
    • 2020
  • With the increase in smartphone ownership and Internet usage using smartphone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is shifting from the existing PC to the smart mobile. The current undergraduate students are called Generation Z who prefer smartphones to PCs and video contents to text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ir usage behaviors of electronic resources in an academic library in a smart mobile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ed a usage statistics analysis with 61,433 usage records of e-books, audiobooks, and e-learning contents and 1,595 records of users in the A academic library during 3 years from 2016 to 2018. The scope of the data includes the date of use, the subject, the year of publication, the channel of use, and each user's gender, affiliation, status, admission date, and graduation date.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resource use, but also the usage behaviors according to the us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service plans that are applicable in the near future and reflect changing circumstances.

A Smart Phone-based Wild Flower Recognition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스마트폰을 이용한 야생화 인식 및 정보 제공 시스템)

  • Choi, Sung-Ryong;Hong, Sung-Duk;Lee, Keon-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002-1005
    • /
    • 2014
  • 아웃도어 열풍과 자연생태공원 조성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야생화를 접할 기회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스마트 기기의 보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등산 탐방로, 생태공원 등에 조성되어 있는 야생화를 판별해 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촬영한 야생화 이미지에서 배경과 대상을 분리하는 방법과 색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야생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Use and Assesment with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for Realizing Smart Campus (스마트 캠퍼스 실현을 위한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서비스 활용성 및 유용성 조사)

  • Lee, Jin-Myong;Jo, Eun-Bit;Li, Hua-Yu;Rha, Jong-Yo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7
    • /
    • pp.27-39
    • /
    • 2017
  •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mart campus and look for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rat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by conducting online survey of 580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s have the highest ownership rate, followed by laptops, desktops, and digital cameras. Purchase intention of virtual reality devices is highest followed by smart watches/bands, and tablets. Second, mobilization in campus life is almost realized, however the usage of desktops is still high in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context. Digital devices have been perceived particularly useful when searching and sharing information. Third, students use digital services such as search engines, messengers, and online libraries in their learning, and they use messengers, music and video services in their lives. Service usage rate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not proportional.

A Study for Automatic Attendance System by Face Recognition (얼굴인식 기반 자동출석에 관한 연구)

  • Kim, Ho-young;Kim, Seong-Hyeon;Cho, Seong-Jae;Jung, Uk;Kim,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394-397
    • /
    • 2018
  • 휴대폰을 개인마다 보유할 정도로 보편화하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학가에서 출결관리를 자동화하려는 바람이 불고 있다. 이는 이전의 출결시스템의 결점인 출결 확인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자동화된 스마트 출결시스템에 허점이 많아 출결 정보에 대한 신빙성과 공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그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출석 체크 프로그램이다. 수업에서 사진을 찍으면 AWS Recognition 기술을 활용해 얼굴을 인식하여 Django web sever로 보내고 그 얼굴과 학사 시스템에 등록되어있는 학생의 사진을 비교하여 어떤 인물인지 파악한다. 비교한 인물이 일정 유사율을 넘었을 경우 그 학생의 얼굴 사진을 학습, 계속해서 서버 안에 있는 같은 인물 파일에 넣어서 유사율을 높이는 식으로 진행된다. 그렇게 하여 스마트 출결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출결 확인 시간을 대폭 줄일 것이고, 부정적인 방법으로 출석할 수 있는 방법을 없애 기존의 시스템에 없던 신빙성과 공정성을 확립할 것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생의 경우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출결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교수님 또한 손쉽게 학생들의 출결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무결성이 확보된 정확한 출결 정보를 자동으로 데이터화하여 이용자와 관리자의 편의를 보장할 것이다.

Broadcasting Software System for Interactive Service based on Deep Learning (차세대 딥러닝 인공지능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방송 소프트웨어 시스템)

  • Yang, Geunseok;Shin, Yongwoo;Roh, Minchul;Kang, Seongho;Joo, Ingyu;Kwak, Jaechul;Ku,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26-28
    • /
    • 2017
  • 스마트폰 보유율과 모바일 이용 행태가 급변함에 따라 방송사에서는 양방향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양방향 서비스 방송에서 시청자가 보낸 문구를 실제 화면에 보여주기까지 PD 와 담당자들의 수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하루 평균 약 7,200 건 (MBC 오늘아침 소통중계)의 양방향 서비스 관련 로그가 남게 되어, PD 가 일일이 판별하기에는 많은 노력이 따른다. 이러한 불필요한 노력을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감정 분석을 이용한 딥러닝 인공지능 기반 양방향 서비스 방송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첫째, 시청자들이 전송한 의견, 건의사항, 내용 등을 전처리 과정을 진행한다. 둘째, 감정 사전을 이용해 전처리 된 단어와 비교하여 시청자가 보낸 문구의 감정 점수를 계산한다. 셋째, 과거 실제 방송에 송출된 시청자 문구를 감정 점수와 함께 딥러닝을 이용하여 훈련시킨다. 본 논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2017 년 생방송 오늘아침 소통중계에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효율성을 보였다. 앞으로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 방송 소프트웨어 시스템 도입으로, PD 가 방송 제작에 더욱 집중 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방송을 준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earing- impaired Person (청각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통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Yun, Dong-Hee;Kim, Young-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5
    • /
    • pp.111-116
    • /
    • 2016
  •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s survey of information gap, smartphone retention rate of disabled people stayed in one-third of non-disabled people, the situation is significantly less access to inform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non-disabled people. In this paper, we develop an application, CallHelper, that helps to be more convenient to use mobile voice calls to the auditory disabled people. CallHelper runs automatically when a call comes in, translates caller's voice to text output on the mobile screen, and displays the emotion reasoning from the caller's voice to visualize emoticons. It also saves voice, translated text, and emotion data that can be played back.

'Seniors Guide', Fun Senior Life App (즐거운 시니어 생활을 위한 앱, '시니어 길잡이')

  • You Jung Ahn;Ji Sim Kim;Kyong Ah Kim;Min Kyeong Cho;Young Su Lee;Sung Hyuk Ahn;Ji Hong Kim;Seo Yeon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53-654
    • /
    • 2023
  • 한국이 정보 선진국으로 발전함에 따라 노인들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증가하고 있지만, 디지털 환경에 대한 접근성과 경험 부족 등의 이유로 아직도 디지털 약자이다. 그런데도 노령층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노령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령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Seniors Guide'를 개발하였다. 'Seniors Guide'는 사용자 거주지역 주민 센터의 자치 프로그램 정보, 노인 일자리 정보, TV 프로그램 알람, 투약 시간 알람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등 노령층에서 자주 이용하는 다양한 정보와 기능들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앱으로 구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