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시대

Search Result 821,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The STEAM Learning Model Design Based on Smart Learning for Re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Powerhouse (21세기 지식강국 실현을 위한 스마트교육기반 STEAM 교육 모형 설계)

  • Kim, Sun-Hoi;Nam, Dong-Soo;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69-372
    • /
    • 2012
  • 교육의 패러다임이 디지털 융 복합 환경의 지속적 발전과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의 가속화, 사회 경제적 변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적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사회적 변화와 함께 급변하게 변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대에 태어난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네이티브들이다. 이러한 학습자의 변화에 맞추어 교육도 변화되어야한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여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했으며 또한 융합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STEAM 교육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STEAM 교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장으로서의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꾀하게 할 수 있으며, 21세기 지식강국 실현을 위해 우리나라의 교육경쟁력을 확보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User's Intend-based Navigation System using Ontology on Mobile (모바일 환경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사용자 의도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

  • Choi, Young-Soo;Yang, Hyu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59-61
    • /
    • 2011
  • 스마트폰 사용자 1천만 시대가 도래하였다. 올해 안에 스마트폰 가입자가 2천만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면서 소위 대박을 꿈꾸는 스마트 폰 앱 개발의 열풍에 불을 지피고 있다[1].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관련 앱도 속속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2]. 하지만 최근 출시된 네비게이션 앱이라 할지라도 기능상으로는 기존 네비게이션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스마트폰 가입자의 30% 가량이 20대 이하의 연령임을 고려해 볼 때 비운전자를 타켓으로 한 네비게이션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3].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비게이션에서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순한 시스템을 벗어나 비운전자라도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사용자 의도에 기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이라는 가정 하에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온톨로지는 사용자 의도를 추론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 PDF

Architecture of LCMS for Smart Learing Based on BigData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러닝을 위한 LCMS 구조)

  • Kim, Seong-Jin;Park, Seok-Cheon;Lee, Sang-M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234-1237
    • /
    • 2013
  •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빅데이터의 시대에 교육서비스시장은 스마트 교육이라는 새로운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자기 주도적이며 개인화되고 쌍방향커뮤니케이션 등의 특징을 가진 스마트러닝 환경에서는 LMS와 LCMS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정보홍수 시대이므로 LCMS가 해야 할 역할이 크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교육서비스에서 빅데이터의 아키텍쳐와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LCMS에 대해 분석하고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 스마트시티에서의 바이오인식 기술표준화

  • Kim, Jason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135-146
    • /
    • 2022
  •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다가올 디지털 인프라 사회에서의 스마트시티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사이버 경제활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히 비대면 디지털 환경에서 바이오인식기술의 중요성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인식 관련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EC JTC1 SC37(Biometrics)/SC27(Security)과 ITU-T SG17 Q10(ID Management & Telebiometrics) 등 바이오인식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과 아시아바이오인식협의회(Asian Biometric Consoritum) 사실 표준화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모바일기기·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분야,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자율주행 응용분야, 국제공통·국가공용 ID카드분야, 동물보호 공학분야 등 미래의 스마트시티에서 활용될 바이오인식기술에 대한 전망과 함께 관련되는 국제표준에 대한 주요내용과 적용분야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디지털 사회로의 대전환 시대가 도래함에 따른 생체인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시티의 발전전망을 고찰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환 시대의 선박통신 변화

  • Yang, Gyu-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
    • /
    • 2017
  • 디지털 ICT 기술이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어 세상을 변화시키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조선 해양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최신의 ICT 기술이 융합되어 디지털 선박이나 e-navigation 및 GMDSS 현대화 과정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조치들은 선박과 육상 간의 원활한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육상에서와 같은 대용량 고속통신을 보장할 수 있는 상시 접속 가능한 통신 채널이 확보되어야 하며, 특별한 별도의 단말기가 아닌 스마트폰으로서 선내 어느 곳에서나 제한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홈

  • Lee, Hak-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4
    • /
    • pp.44-49
    • /
    • 2015
  • 본고에서는 최근 사물인터넷시대를 맞이하여 센서와 컨트롤기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트래픽, 빅데이터의 관리와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장에 따라 새롭게 급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홈 분야를 중심으로 시장현황, 업체동향 및 기술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고, 쾌적하고, 비용 절감이 되는 스마트홈 서비스 및 솔루션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농장탐방 - 농업회사법인 (유)이정(육계)

  • Im, Seol-Hui
    • KOREAN POULTRY JOURNAL
    • /
    • v.51 no.1
    • /
    • pp.136-139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현시대의 키워드로 떠오르는 만큼, 1차 산업에서도 새로운 시대를 받아들이기 위한 준비가 계속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스마트팜'을 접목하여 농업의 현장에서 생산성과 효율성 및 품질 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관련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지난 8월 스마트팜 1호 농장인 '농업회사법인 미소농장'을 방문 이후 스마트팜 2호 농장인 '농업회사법인 (유)이정'의 박승신 대표를 찾았다.

A Study on Public Interest of Smart Media and Online Service Policy of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공영방송의 스마트 미디어 및 인터넷 정책의 공익성에 관한 연구)

  • Choi, Min-Jae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4
    • /
    • pp.31-58
    • /
    • 2013
  • With the expansion of digital media platform, there has been a new conceptualization about public function of public broadcasting in and around European countrie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Universal Access including smart and Internet media has been emphasized in Britain and France. However, there is lack of public discussion on service strategy of Internet and smart media platform when public function of public broadcasting is discuss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not only the public function of public broadcasting in the field of Internet and smart media through audience research but also how the national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ensure public interest and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Internet and smart media platform. The results suggested that smart phone users evaluated real-time broadcasting and VOD are the most important services among the public functions which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have to persue. Futhermore, the users showed high intension to use when the free real-time broadcasting service is offered. Therefore,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have to improve the social recognition on necessity and public interest of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through the free real-time broadcasting services on Internet and smart media platform. And policies which can ensure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digital media are needed to become important broadcasting institute.

  • PDF

Science Technology - 농업도 첨단시대! 도시형 '스마트 팜' 눈앞에 성큼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78
    • /
    • pp.66-67
    • /
    • 2018
  • '스마트 팝'이 도시 농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농사는 농부가 농촌에서 지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도시의 농업화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메가트렌드다. 장소를 가리지 않고 농업의 틀을 다지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덕분이다.

  • PDF